목차
1. C 부인의 진단명 및 진단기준
1) 우울장애의 하위유형과 주요 진단특징
2)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
3) 우울장애에 동반되는 세부 유형과 주요 진단특징
2. C 부인의 인지적 오류
1) 우울증을 일으키는 인지적 오류들
1) 우울장애의 하위유형과 주요 진단특징
2)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
3) 우울장애에 동반되는 세부 유형과 주요 진단특징
2. C 부인의 인지적 오류
1) 우울증을 일으키는 인지적 오류들
본문내용
로 봅니다.
2. C 부인의 인지적 오류
인지적 오류는 생활사건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흔히 범하게 되는 논리적 잘못이나 모순을 뜻합니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 대부분은 인지적인 왜곡 즉 인지적 오류를 보인다고 합니다. C 부인의 평가 면접 내용을 놓고 볼 때 C 부인 역시 여러 가지 인지적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C 부인의 인지적 오류 중 2가지를 살펴볼까 합니다.
평가 면접 내용 중 “어머니의 죽음에 대해 스스로 비난했고, 자신은 화형에 처 해져야 마땅한 마녀라고 느끼고 있었다. “는 것은 정신과적인 망상과 함께 ‘과도한 책임’이라는 인지적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경험하는 것은 슬픈 일이며 한동안 침울해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일에 대해 자책하고 책임을 자신에게 전가하는 것은 역기능적 신념에 의한 인지적 오류입니다.
또 다른 한 가지는 ”혹시라도 자신이 언젠가는 통제력을 잃어버려 아이들을 죽이게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있었다.”라는 내용에서 ‘예언자적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으로도 사료됩니다. 이는 합당한 근거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해 추론하고 그에 따라 일어날 결과 또한 부정적으로 예견하고 있는 것으로 ‘재앙적(파국적) 사고’의 인지적 오류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것이 인생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리 예견하고 그 결과 또한 부정적으로 단정 짓는 것은 우울증을 유발하는 인지 특성을 나타내는 왜곡된 인지적 오류입니다.
◈ 우울증을 일으키는 인지적 오류들 ◈
왜곡된 사고
정의
흑백 논리
사물을 이분법적인 범주로 구분하여 보는 경우
( 예: 내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을 모두 적으로 본다. )
파국적 사고
항상 부정적인 측면만 바라보고 최악의 상태를 생각하는 경우
과잉 일반화
한두 번의 사건이나 경험에 근거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내리고, 무관한 상황에도 이를 적용하려는 경우
의미확대/ 의미축소
어떤 사건이나 경험의 중요성을 부정적 해석구조에 따라 지나치게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경우
잘못된 명명
사람의 특성이나 행위를 기술할 때 과장되거나 부적절한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예: 자신의 잘못을 과장하여 ‘나는 실패자다’, ‘그는 인간쓰레기다’라는 식의 잘못된 명명을 사용)
독심술
충분한 근거도 없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마음대로 추측하고 단정하는 경우
예언자적 오류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단정하고 확신하는 경우
독단적 추론
원인과 결과의 관련성을 잘못 추론하여 결론을 내리는 경우
선택적 추상화
어떤 상황에서 일어난 여러 가지 일 중에서 일부만을 뽑아내어 상황 전체를 판단하는 경우
감정적 추리
(임의적 추론)
충분한 근거도 없이 막연히 느껴지는 감정에 따라 결론을 내리는 경우
개인화
자신과 무관한 사건/ 일을 자신과 관련된 것으로 잘못 해석하는 경우
과도한 책임
나쁜 일이나 실패는 전적으로 자기 책임으로 보는 경우
인과성의 가정
과거에도 그랬다면 미래에도 그럴 것이라고 보는 경우
◈ 우울증을 일으키는 인지적 오류들 ◈
2. C 부인의 인지적 오류
인지적 오류는 생활사건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흔히 범하게 되는 논리적 잘못이나 모순을 뜻합니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 대부분은 인지적인 왜곡 즉 인지적 오류를 보인다고 합니다. C 부인의 평가 면접 내용을 놓고 볼 때 C 부인 역시 여러 가지 인지적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C 부인의 인지적 오류 중 2가지를 살펴볼까 합니다.
평가 면접 내용 중 “어머니의 죽음에 대해 스스로 비난했고, 자신은 화형에 처 해져야 마땅한 마녀라고 느끼고 있었다. “는 것은 정신과적인 망상과 함께 ‘과도한 책임’이라는 인지적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경험하는 것은 슬픈 일이며 한동안 침울해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일에 대해 자책하고 책임을 자신에게 전가하는 것은 역기능적 신념에 의한 인지적 오류입니다.
또 다른 한 가지는 ”혹시라도 자신이 언젠가는 통제력을 잃어버려 아이들을 죽이게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있었다.”라는 내용에서 ‘예언자적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으로도 사료됩니다. 이는 합당한 근거 없이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해 추론하고 그에 따라 일어날 결과 또한 부정적으로 예견하고 있는 것으로 ‘재앙적(파국적) 사고’의 인지적 오류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것이 인생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리 예견하고 그 결과 또한 부정적으로 단정 짓는 것은 우울증을 유발하는 인지 특성을 나타내는 왜곡된 인지적 오류입니다.
◈ 우울증을 일으키는 인지적 오류들 ◈
왜곡된 사고
정의
흑백 논리
사물을 이분법적인 범주로 구분하여 보는 경우
( 예: 내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을 모두 적으로 본다. )
파국적 사고
항상 부정적인 측면만 바라보고 최악의 상태를 생각하는 경우
과잉 일반화
한두 번의 사건이나 경험에 근거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내리고, 무관한 상황에도 이를 적용하려는 경우
의미확대/ 의미축소
어떤 사건이나 경험의 중요성을 부정적 해석구조에 따라 지나치게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경우
잘못된 명명
사람의 특성이나 행위를 기술할 때 과장되거나 부적절한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예: 자신의 잘못을 과장하여 ‘나는 실패자다’, ‘그는 인간쓰레기다’라는 식의 잘못된 명명을 사용)
독심술
충분한 근거도 없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마음대로 추측하고 단정하는 경우
예언자적 오류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단정하고 확신하는 경우
독단적 추론
원인과 결과의 관련성을 잘못 추론하여 결론을 내리는 경우
선택적 추상화
어떤 상황에서 일어난 여러 가지 일 중에서 일부만을 뽑아내어 상황 전체를 판단하는 경우
감정적 추리
(임의적 추론)
충분한 근거도 없이 막연히 느껴지는 감정에 따라 결론을 내리는 경우
개인화
자신과 무관한 사건/ 일을 자신과 관련된 것으로 잘못 해석하는 경우
과도한 책임
나쁜 일이나 실패는 전적으로 자기 책임으로 보는 경우
인과성의 가정
과거에도 그랬다면 미래에도 그럴 것이라고 보는 경우
◈ 우울증을 일으키는 인지적 오류들 ◈
키워드
추천자료
[A+]사례관리
목표관리제도(MBO) 정의, Locke의 목표관리(MBO) 이론, 목표관리제도(MBO) 효과,장점, 목표관...
말하기듣기지도(말하기듣기교육) 개념과 원리, 말하기듣기지도(말하기듣기교육) 단계, 말하기...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이론을 적용한 편마비 환자의 사례연구
정신지체장애인(지적장애) 사례관리(진행과정평가, 7차 면접, 상담일지 수록)_이론적 고찰, ...
[LG CNS][LG EDS][LG CNS 연봉제][LG CNS 인사관리시스템]LG CNS(LG EDS)의 연봉제, LG CNS(L...
[사회복지실천론] 기술기반
[교육과정 및 평가] 7차 영어과 교육개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