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 이후 초등학교까지 자녀에 대한 부모의 효과적 양육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아기 이후 초등학교까지 자녀에 대한 부모의 효과적 양육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부모의 권위 형성(the authority stage: 2세-4.5세)을 통한 효과적 양육
2. 설명하는 단계(the interpretive stage : 5세 ~ 초등학교 시기)의 양육론

본문내용

을 때 이러한 문제들의 대처가 어려울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어린이들은 추리 능력이 발달되고 인지적 발달도 구체적 조작기에 이르렀으므로 부모의 지시에 대해 무조건 순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게 된다. 6세 어린이들은 그들이 원하는 것이 곧 공정한 것이며, 8-9세가 되면 고정적이고 실제적인 공정성의 개념을 갖게 되고, 12세가 되면 상대적인 평등의 개념을 갖게 되는데, 이는 어떤 사람에게 정당한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정당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부모는 자녀의 자기 추론에 의한 정당성 개념에 대한 합리화에 대처해 나가야 한다.
(5) 개입 정도에 대해 결정하기
부모가 자녀에게 얼마만큼 개입하는 것이 옳은가 하는 것은 부모기의 첫단계부터 시작되는 문제중 하나다. 이 시기의 부모는 자녀의 신체적 요구에는 덜 개입하게 되나 자녀와 함께 무엇인가 한다는 생각에서 그들의 생활에 더 많이 개입하게 된다. 부모 개입에 대한 이미지는 부모 자신이 어렸을 때 그들의 부모가 자신과 얼마나 많은 시간을 보냈는가 하는 것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부모는 자녀와 지나치게 동일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개입이 너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것도 삼가야 하며 가장 적절한 개입의 정도를 결정해야 한다.
부모가 자녀의 요구에 틀림없이 시달리고 있을 때 부모 자신만을 위한 시간도 필요하다. 부모가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조절하고, 때로는 자신의 일을 가지며, 배우자를 위한 시간을 할애하는 등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가 자녀의 일에 언제, 얼마만큼 적절하게 개입하며, 또 자녀가 독립적으로 여러 가지 일을 시도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부모 자신들의 노력이나 부모기에 대한 이미지로서만 가능한 것이라기보다는, 때로는 주위의 어른들이나 친구, 조부모, 선생님, 상담자 등의 개입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설명하는 단계에서의 부모는 자녀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즉, 유아기 자녀와의 불평등한 권위관계에서부터 12세 자녀들과는 비교적 평등한 관계로 발전해 나가며 부모와 자녀 양쪽이 서로 설명해 가는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설명하는 단계는 사춘기 직전으로 아동기의 마지막을 나타내며 청소년기에 대한 새로운 기대에 접근하게 된다.
이 시기의 부모들은 지금까지 지나온 부모기의 성공과 실패에 대하여 따져 보며 부모기에 대한 자신들의 이미지와 신념들을 자녀에게 설명하면서 틀림없이 변화하고 성장하게 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9.06
  • 저작시기202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51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