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환경계획과 건축디자인 적용 계획 및 사유(근거)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환경계획과 건축디자인 적용 계획 및 사유(근거)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건축개요

2. 설비시스템
2.1. 급수설비
2.2. 급탕설비
2.3. 배수 및 통기설비시스템
2.4. 오수처리시스템
2.5. 전기 및 조명설비
2.6. 난방설비
2.7. 소방설비시스템
2.8. 환기설비

본문내용

h1/60 + Qc/60 = (13.5~18)/60 + 3.6/60 ≒ 0.26~0.36㎥/min
2) 급수방식
압력탱크방식
압력탱크를 설치하여 에어컴프레서로 공기를 공급해 그 압력으로 급수하는 방식이다. 압력차가 생기면 수압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압력탱크 출구쪽에 압력조정밸브를 설치하여야 하고,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설비비 유지관리비가 든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탱크를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고, 고가수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건물의 외관이 깨끗하다는 장점이 있다. 발전기를 설치하면 정전시에도 급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압력탱크방식을 선택하였다.
2.2. 급탕설비
1) 급탕량 산정
기구수에 의한 급탕량 산정
기구명
수량
기구 1개의 시간당 급탕량 (/hr)
급탕량 (/hr)
세면기
32
57
1,824
청소싱크
9
75
675
배선싱크
8
38
304
부엌싱크
3
75
225
접시세척기
1
200
200
샤워
4
850
3,400
총합
6,628
6,628 × 0.4(동시사용률) = 2651.2/hr
2) 급탕방식
중앙식 급탕방식
가열장치, 저탕조 등의 설비기기를 기계실 등의 1개소에 설치하고 급탕을 필요로 하는 개소에 배관으로 공급하는 방식인 중앙식 급탕방식을 사용하고자 한다. 급탕 개소가 많고 다량의 급탕량을 필요로 하는 사무소, 병원 등의 대규모 건물에 주로 이용된다.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지만, 유지관리에 용이하고 열효율이 좋고 대규모 건물에 적합하므로 선택하였다.
2.3. 배수 및 통기설비시스템
1) 배수설비계획
합류배수처리
해당 건축물은 연면적 7,500㎡으로, 1,600㎡ 이상인 건물은 오수와 잡배수를 합류해서 처리하는 합류배수처리 방식을 이용해야 하므로 이 방식을 선택하였다. 오수와 집배수 외에 우수배수도 함께 처리한다.
2.4. 오수처리시스템
1) 중수도 설비
중수도 설비를 설치하는 기준이 건축연면적 6만㎡ 이상이거나 공장인 경우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2.5. 전기 및 조명설비
1) 전기설비
강전류(220V이상)
- 조명·콘센트 설비, 배전선, 축전지, 간전, 자가발전, 피뢰침설비와 접지공사
약전류(110V이하)
- 전화, 확성기, 라디오, 텔레비전, 전기시계, 신호표시기, 방송설비, 자동화재탐지
수송설비 : 엘리베이터
2) 조명설비
전반조명 방식
- 조명대상 실내 전체를 일정하게 조명하는 방식.
천장에 조명 기구를 직접 부착시키는 천장부착등
인공광원인 형광등을 사용하도록 한다.
2.6. 난방설비
온풍난방(중앙난방 - 간접난방)
6층 이상인 교육연구시설의 난방설비는 중앙난방 방식으로 해야 한다. 그 중에서 공기를 열매로 하는 온풍난방방식을 선택하였다.
- 중앙공조실에서 따뜻한 공기를 만들어 보내는 방식으로 온습도와 풍량조정이 가능하며, 누수와 동결의 우려가 없다.
시공이 간편하고 열효율이 좋아 설치비 및 연료비가 적게 든다.
쾌감도가 떨어지고 소음이 발생한다.
2.7. 소화설비시스템
1) 방화구획
학생회관은 지하1층, 지상7층 규모의 건축물로 10층 이하에 해당하면서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바닥면적 3,000㎡ 이내마다 방화구획을 해야한다. 모든 층의 바닥면적이 3,000㎡ 미만이므로 지하1층, 3층, 4층, 5층, 6층, 7층에 방화구획을 하고자 한다.
2) 구획부분의 구조
갑종방화문
- 비차열 1시간 이상의 성능
- 철재로써 철판의 두께가 1.5mm 이상인 것
- 골구를 철재로 하고 그 양면에 각각 두께 0.5mm 이상의 철판을 붙인 것
자동방화셔터
- 비상문과 방화셔터의 2중 구조를 하나로 통합한 철재방화셔터 적용
3) 소방시설
옥내 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 설비
2.8. 환기설비
1) 건물 용도에 따른 환기 기준
다음은 다중이용시설의 필요 환기량에 대한 표이다. 국내 설비규칙 제 11조 제4항에 의하면 다중이용시설 중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아래 필요환기량을 충족하는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학생회관 건물은 교육연구시설이므로 필요환기량이 36(CMH/인)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2) 기계환기설비
① 창이 없는 지하실은 바람의 영향을 받을 수 없으므로 신선한 공기의 공급과 실내 공기의 배출 모두를 기계설비에 의존하는 1종 환기 방식을 사용한다.
② 각 층의 화장실과 2층의 학생식당은 냄새나 오염물질의 발생 등이 있을 수 있어 기계환기설비 중 자연급기와 강제배기를 사용하는 방식인 3종 환기 방식을 추가로 사용한다.
③ 그 외의 공간들(학생처, 동아리실, 열람실 등)에는 1종 환기 방식을 사용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09.08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5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