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
3. 실험기기 및 부품
4. 예비실험
2. 이론
3. 실험기기 및 부품
4. 예비실험
본문내용
t라고 합니다. 위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를 Ealry voltage 라고 합니다.
하지만 만약에 가 너무 커져서 공핍층이 베이스 영역을 모두 차지해 버린다면 베이스 영역이 없어지게 됩니다.
그 상황을 우리는 펀치 쓰루(Punch-Through)라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이미터와 컬렉터가 합쳐져 버려서 커다란
Breakdown voltage가 형성되고 급격한 역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결국 TR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최대 를 각 TR의 Datasheet에 명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3. 실험기기 및 부품
(1) BJT CA3046(1개)
(2) 저항 100(1개), 1k(1개), 100k(1개)
(3) 직류 전원공급기 1대
(4) 오실로스코프 1대
4. 예비실험
(1) <그림 2.6>과 같이 회로를 구성해서 PSPICE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log()and log() vs (Gummel plot), -log(), - 그래프를 구하시오. 단, CA3046의 Gummel Poon SPICE 모델을 사용하라. PSPICE에서 Plot>Add Traces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x-축 변경은 Axis Setting>Axis Variable>IC(Q1)으로 변경할 수 있다.
=> log() vs
=> vs => - log()
=> -
(2) (식 2.6)으로 표현된 BJT의 콜렉터 전류는 Early 효과를 무시할 경우 다음 식과 같이 베이스-에미터 전압의 지수 함수로 표시된다.
여기서 IS는 순방향 포화 전류이며, NF 및 VT는 각각 순방향 emssion coefficient, 열전압이다. PSPICE의 log()vs 그래프에서 포화전류 IS를 구하시오.
=> 식 에서 NF=1, =26, =0.6 이므로
양변에 ln을 취해주면 , 여기에 NF=1, =26, =0.6, =120.630 을 대입하면, 의 식이 나오고, IS를 구하면, = 이 나온다.
(3) BJT의 Early 현상을 포함할 경우 콜렉터 전류는 (식 2.11)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VAF 및 VAR은 각각 순방향 및 역방향 Early 전압이다. 따라서 그래프에서의 기울기가 가 된다. PSPICE의 그래프에서 Early 전압 VAF를 구하시오.
=> 약 20.84V
(4) BJT의 콜렉터 및 에미터를 바꾼 상태에서 PSPICE로 시뮬레이션 1)을 되풀이하시오.
=> log() vs
=> vs => - log()
=> -
하지만 만약에 가 너무 커져서 공핍층이 베이스 영역을 모두 차지해 버린다면 베이스 영역이 없어지게 됩니다.
그 상황을 우리는 펀치 쓰루(Punch-Through)라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이미터와 컬렉터가 합쳐져 버려서 커다란
Breakdown voltage가 형성되고 급격한 역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결국 TR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최대 를 각 TR의 Datasheet에 명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3. 실험기기 및 부품
(1) BJT CA3046(1개)
(2) 저항 100(1개), 1k(1개), 100k(1개)
(3) 직류 전원공급기 1대
(4) 오실로스코프 1대
4. 예비실험
(1) <그림 2.6>과 같이 회로를 구성해서 PSPICE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log()and log() vs (Gummel plot), -log(), - 그래프를 구하시오. 단, CA3046의 Gummel Poon SPICE 모델을 사용하라. PSPICE에서 Plot>Add Traces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x-축 변경은 Axis Setting>Axis Variable>IC(Q1)으로 변경할 수 있다.
=> log() vs
=> vs => - log()
=> -
(2) (식 2.6)으로 표현된 BJT의 콜렉터 전류는 Early 효과를 무시할 경우 다음 식과 같이 베이스-에미터 전압의 지수 함수로 표시된다.
여기서 IS는 순방향 포화 전류이며, NF 및 VT는 각각 순방향 emssion coefficient, 열전압이다. PSPICE의 log()vs 그래프에서 포화전류 IS를 구하시오.
=> 식 에서 NF=1, =26, =0.6 이므로
양변에 ln을 취해주면 , 여기에 NF=1, =26, =0.6, =120.630 을 대입하면, 의 식이 나오고, IS를 구하면, = 이 나온다.
(3) BJT의 Early 현상을 포함할 경우 콜렉터 전류는 (식 2.11)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VAF 및 VAR은 각각 순방향 및 역방향 Early 전압이다. 따라서 그래프에서의 기울기가 가 된다. PSPICE의 그래프에서 Early 전압 VAF를 구하시오.
=> 약 20.84V
(4) BJT의 콜렉터 및 에미터를 바꾼 상태에서 PSPICE로 시뮬레이션 1)을 되풀이하시오.
=> log() vs
=> vs => - log()
=>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