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 작품해석과 줄거리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운몽 작품해석과 줄거리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구운몽 집필배경

2. 구운몽 줄거리 분석

3. 인상깊었던 내용

4. 구운몽 작품해석

본문내용

줄 알지 못하여 멀리 맞지 못하니 죄를 사하소서. 원수 이번은 돌아올 때 아니어니와 이미 왔으니 전상에 올라 예하소서.” 상서 분향 예배하고 전에 내리더니 문득 실족하여 엎더져 놀라 깨달으니 몸이 영중에서 교의에 의지하였고 날이 이미 밝았더라.(233-235)
토번 정벌에 나섰던 양소유는 반사곡 영중(營中)에서 한 꿈을 꾼다. 이 꿈 속에서 그는 백릉파를 만나 가연을 맺고, 남해 용자(龍子)를 퇴치한 뒤 용궁에 초대되어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형산을 유람하게 된다. 이러한 양소유의 꿈은 제8장과 제9장에 걸쳐 15쪽 정도의 분량으로 서술되어 있는데, 인용 대목은 이 꿈의 끝부분으로서 1쪽 정도의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서술 분량만으로 본다면 이 대목은 별로 주목할 만한 것이 되지 못하며, 지금까지 이 대목이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것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꿈은 구운몽에서 현실과 꿈의 관계를 규정하는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어, 단순히 서술 분량만으로는 따질 수 없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는 카이저가 ‘사건 전개로 보았을 때는 단순한 에피소드가 서사적 과정에서 보면 바로 작품의 요점일 수 있다’고 한 그런 것이라 할 수 있다. 작자가 이 꿈 속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작품 말미에서 다시 거론하여 현실과 꿈의 차별을 허무는 중요한 기제(機制)로 삼고 있음에서 알 수 있듯, 이 꿈은 작품의 전체 구도를 염두에 두고 치밀하게 설정해 둔 고도의 서사적 장치임에 틀림없다.
이 꿈을 여기서 특별히 주목하는 것은 양소유가 꿈속에 유람한 산이 바로 남악 형산이고, 꿈에서 만난 노승이 바로 육관대사라는 이유에서다. 이는 바로 양소유의 이 꿈속세계가 성진의 현실세계와 완전히 일치되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양소유의 현실은 곧 성진의 꿈일 뿐이니, 양소유의 꿈은 성진의 입장에서 보면 ‘꿈속의 꿈’이 된다. 바로 그 ‘꿈속의 꿈’의 세계가 성진이 수도하던 형산 연화도량이며, 그곳에서는 육관대사의 설법이 그대로 계속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성진의 ‘꿈속의 꿈’의 세계가 곧 그의 현실세계라는 극히 중요한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원수 이번은 돌아올 때 아니어니와 이미 왔으니 전상에 올라 예하소서”라는 노승의 발언을 통해서도 뒷받침된다. 이 말은 성진의 이 ‘꿈 속의 꿈’의 세계(양소유의 꿈속세계)가 바로 각몽 후에 그가 돌아갈 현실세계임을 분명히 해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구운몽에서 현실과 꿈은 서로 감싸면서 감싸이는 동심원적 순환관계에 있음이 드러나며, 이러한 동심원적 순환은 무한히 확장축소될 수 있다 현실 속에 꿈이 있고 꿈속에 현실이 있어, 성진의 꿈은 양소유의 현실이 되고, 양소유의 꿈은 성진의 현실이 된다. 양소유의 삶이 성진의 한 순간 꿈이었던 것처럼, 성진의 삶 역시 양소유의 한 순간 꿈일 뿐이다. 현실과 꿈은 끝없이 서로를 감싸면서 그 실재를 부정하고 있으니, 현실과 꿈의 절대적 구분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기준점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현실과 꿈은 얼마든지 뒤바뀔 수 있는 것이다.
  • 가격3,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1.10.08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67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