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0.5cm ± 0.002cm
부피의 계산
평균값 : 7.07cm
표준오차 : 0.009cm
보고할 값 v= 7.07cm ± 0.009cm
밀도의 계산
평균값 : 2.68g/
표준오차 : 0.015g/
보고할 값 : = 2.68 ± 0.015g/
부록에서 찾은 값: = 2.7 g/
3) 결과 및 토의
두 실험은 우리가 직접 질량과 지름 또는 모서리의 길이를 측정하여 그것으로부터 밀도를 구해내는 실험이다. 두 실험에서는 처음 잰 수치의 오차가 나중에 구할 수 있는 부피와 밀도의 오차까지도 영향을 준다.
실험1에서 지름을 쟀을 때 간혹 다른 값보다 너무 큰 차이가 나버렸다. 이런 수치들은 버렸다. 실험의 정확성을 위해 버려져야 마땅하기 때문이다. 실험1에서의 나중에 나온 밀도의 값은 오차범위 내에 부록에 나온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약간의 오차가 있지만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실험 같은 경우는 수치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해 생긴 오류이다. 만약 측정 횟수가 증가한다면 오차범위를 줄이고 정확한 값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실험2에서의 나중에 나온 밀도의 값은 오차범위 내에 부록에 나온 값이 포함되어 있어서 정밀한 실험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부피의 계산
평균값 : 7.07cm
표준오차 : 0.009cm
보고할 값 v= 7.07cm ± 0.009cm
밀도의 계산
평균값 : 2.68g/
표준오차 : 0.015g/
보고할 값 : = 2.68 ± 0.015g/
부록에서 찾은 값: = 2.7 g/
3) 결과 및 토의
두 실험은 우리가 직접 질량과 지름 또는 모서리의 길이를 측정하여 그것으로부터 밀도를 구해내는 실험이다. 두 실험에서는 처음 잰 수치의 오차가 나중에 구할 수 있는 부피와 밀도의 오차까지도 영향을 준다.
실험1에서 지름을 쟀을 때 간혹 다른 값보다 너무 큰 차이가 나버렸다. 이런 수치들은 버렸다. 실험의 정확성을 위해 버려져야 마땅하기 때문이다. 실험1에서의 나중에 나온 밀도의 값은 오차범위 내에 부록에 나온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약간의 오차가 있지만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실험 같은 경우는 수치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해 생긴 오류이다. 만약 측정 횟수가 증가한다면 오차범위를 줄이고 정확한 값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실험2에서의 나중에 나온 밀도의 값은 오차범위 내에 부록에 나온 값이 포함되어 있어서 정밀한 실험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