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행동주의 이론에 근거하여 아동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강화와 처벌의 예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지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에 나는 자녀에게 시금치와 당근을 조금씩 짤라서 먹도록 강요하였으며, 자녀가 시금치와 당근을 먹었을 때, 자녀가 좋아하는 사탕이나 소세지를 주었던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아이들이 자기중심적 사고가 강하고 인지발달 수준도 낮기 때문에 강화나 처벌이 불필요하다는 말을 하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본적으로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기 때문에 자녀가 바르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자녀에게 벌을 가하기도 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벌은 교육적 효과가 극히 미미할 뿐 아니라 오히려 아이들의 반발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부모도 사람이기에 자녀에게 벌을 내리다가 자녀를 과하게 때릴 수도 있고, 한순간의 실수로 자녀가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녀 훈육을 위해서는 벌이 필수이며, 벌을 받지 않고 오냐오냐 키운 아이들은 자신만 아는 그런 이기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우리 아이, 어떻게 사랑해야 할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덴마크식 자녀 교육) 제시카 조엘 알렉산더 저 | 이은경 역 | 상상아카데미 | 2021.09.01
-기본적으로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기 때문에 자녀가 바르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자녀에게 벌을 가하기도 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벌은 교육적 효과가 극히 미미할 뿐 아니라 오히려 아이들의 반발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부모도 사람이기에 자녀에게 벌을 내리다가 자녀를 과하게 때릴 수도 있고, 한순간의 실수로 자녀가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녀 훈육을 위해서는 벌이 필수이며, 벌을 받지 않고 오냐오냐 키운 아이들은 자신만 아는 그런 이기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우리 아이, 어떻게 사랑해야 할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덴마크식 자녀 교육) 제시카 조엘 알렉산더 저 | 이은경 역 | 상상아카데미 | 2021.09.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