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심장의 구조와 특성
2. 정의
3. 병태생리
4. 원인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8. 간호
Ⅲ. 사례보고서
1. 간호 정보조사지
2. 간호과정
#1. 폐포와 폐 간질 조직의 체액 축적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
#2. 불안과 체위와 관련된 수면장애
#3. 의식저하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참고문헌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심장의 구조와 특성
2. 정의
3. 병태생리
4. 원인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8. 간호
Ⅲ. 사례보고서
1. 간호 정보조사지
2. 간호과정
#1. 폐포와 폐 간질 조직의 체액 축적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
#2. 불안과 체위와 관련된 수면장애
#3. 의식저하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 3시간(수면장애)
: 현재 복용하지 않으나 수면 제 복용한 적 있음
- 주무실 때 수시로 깨고 뒤척 거림을 관찰함
-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편안하게 누워 있을 수 있다.
②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잠을 잘 잤다고 말로 표현한다.
-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덜 불안하다고 말로 표현한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편안하게 누워 있을 수 있다.
⇒ 대상자가 편하게 누워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달성)
②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잠을 잘 잤다고 말로 표현한다.
⇒ 대상자는 12월 5일 잠을 잘 잤다고 말로 표현하였다.(달성)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덜 불안하다고 말로 표현한다.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덜 불안하다고 말로 표현하진 않았으나 안절부절한 모습이 줄어든 것을 관찰하였다.(부분달성)
간호계획(Nursing plans)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불안의 증상과 증후를 수시 로 사정한다.
1. 불안함을 수시로 관찰함으로써 대 상자의 불편감을 줄여주고 필요한 간호를 빨리 제공해 줄 수 있다.
1. 불안의 증상과 증후를 사정 하였다.
- 몸이 경직되어 있었고 안절 부절 못했다.
2. 대상자에게 기침,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한다.
2. 산소운반과 기도 청결을 촉진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옆에서 심호흡을 같이 해주면서 유도하였고 기침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3. 호흡 촉진을 위한 다양한 자 세에 대해 교육시키고 도와 준다.
3. 호흡 촉진을 위한 자세로 호흡곤 란을 감소시키고 숙면을 취하도록 도울 수 있다.
3. 대상자의 침대 머리 쪽을 최 대한 올려주고 식탁을 가져 와 몸을 앞으로 기댈 수 있 게 해주었다.
4. 조용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 공한다.
4. 조용하고 안락한 환경으로 불안을 감소시키며 숙면을 취하도록 도울 수 있다.
4. 취침 시 소등을 해드렸고 소 음 줄여주기, 주변에 불필요 한 물건을 제거해 주었다.
5. 필요시 마다 처방된 산소공 급해 준다.
5. 산소공급은 대상자의 노력을 감소 시키고 안위를 증진시킬 수 있다.
5. O₂ 3L nasal prong을 사용 하다가 처방에 따라 산소량 을 조절하였다.
#3. 의식저하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 의식저하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간호사정(Assessment)
간호목표(Nursing goals)
평가(Evaluation)
Subjective data
- 허공을 가르키며 “반지내놔!” 라고 소리 지르심
- “이거(억제대) 풀어!”
- “여기 성당이죠?”
- “물 좀 주세요, 물 좀 주세요, 물 좀 주세요, …” 반복
Objective data
11/28
11/29
11/30
12/1
12/2
진정
(RASS)
Y
Y
Y
Y
Y
섬망
(CAM-ICU)
Y
Y
Y
Y
Y
- 진정/섬망
- 치료적 절대 침상 안정 상태
- side rail밖으로 발을 내미는 모습 관찰됨
- 사지 억제대 적용 중
- 욕창위험 사정척도 점수 13점
-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욕창이 발생하지 않는다.
②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IV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의식이 돌아온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욕창이 발생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욕창이 발생하지 않았다.(달성)
②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IV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 대상자가 IV를 제거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실패)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의식이 돌아온다.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의식이 돌아왔다.(달성)
간호계획(Nursing plans)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욕창 위험성을 사정한다.
1. 욕창발생위험 정도를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11/28
13점
12/2
16점
11/29
15점
12/3
14점
11/30
15점
12/4
14점
12/1
15점
12/5
14점
1. 욕창 위험성을 사정하였다.
2. 욕창 예방간호를 실시한다.
2-1.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 다.
2-2. 치료적 매트리스나 침대를 제공한다.
2-3. 피부상태를 매 근무번마다 사정한다. 발적이 있으면 보호장치를 사용한다.
2-1. 체위를 자주 변경해 주면 특정 부위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 지는 시간이 감소되므로 욕창생 성을 막아준다.
2-2. 치료적 매트리스와 침대는 천골 부위의 압력을 줄여준다.
2-3. 발적은 특정 부위에 압력이 증 가되었고 피부가 손상되고 있다 는 첫 신호이다.
2-1.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 주었다.
2-2. air mass pad를 제공하였 다.
2-3. 매 근무번마다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3.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3. 의식변화의 정도를 파악하여 뇌 기능의 이상상태를 알 수 있다.
11/28
Y
12/2
Y
11/29
Y
12/3
N
11/30
Y
12/4
N
12/1
Y
12/5
N
3.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4. 필요시 억제대를 적용한다.
4. 낙상을 방지하고 혼돈 환자의 자 해의 위험성과 특별한 치료 시 움 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4. 사지에 억제대를 적용하였다.
참고문헌
1.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 Ⅰ」. 파주 : 수문사.
2. 이향련 외(2010). 「성인간호학Ⅰ」. 파주 : 수문사.
3.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상」. 서울 : 현문사.
4. JOYCE M.BLACK 외(2007). 「성인간호학Ⅱ」. 서울 : 정담미디어
5. 대한순환기학회 심부전 매뉴얼 지침서 (2013)
6. 네이버. “심부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762&cid=40942&categoryId=32319
7. 질병관리본부. “심부전”.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980
8. 드럭인포. “약물”,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 현재 복용하지 않으나 수면 제 복용한 적 있음
- 주무실 때 수시로 깨고 뒤척 거림을 관찰함
-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편안하게 누워 있을 수 있다.
②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잠을 잘 잤다고 말로 표현한다.
-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덜 불안하다고 말로 표현한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편안하게 누워 있을 수 있다.
⇒ 대상자가 편하게 누워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달성)
②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잠을 잘 잤다고 말로 표현한다.
⇒ 대상자는 12월 5일 잠을 잘 잤다고 말로 표현하였다.(달성)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덜 불안하다고 말로 표현한다.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덜 불안하다고 말로 표현하진 않았으나 안절부절한 모습이 줄어든 것을 관찰하였다.(부분달성)
간호계획(Nursing plans)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불안의 증상과 증후를 수시 로 사정한다.
1. 불안함을 수시로 관찰함으로써 대 상자의 불편감을 줄여주고 필요한 간호를 빨리 제공해 줄 수 있다.
1. 불안의 증상과 증후를 사정 하였다.
- 몸이 경직되어 있었고 안절 부절 못했다.
2. 대상자에게 기침,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한다.
2. 산소운반과 기도 청결을 촉진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옆에서 심호흡을 같이 해주면서 유도하였고 기침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3. 호흡 촉진을 위한 다양한 자 세에 대해 교육시키고 도와 준다.
3. 호흡 촉진을 위한 자세로 호흡곤 란을 감소시키고 숙면을 취하도록 도울 수 있다.
3. 대상자의 침대 머리 쪽을 최 대한 올려주고 식탁을 가져 와 몸을 앞으로 기댈 수 있 게 해주었다.
4. 조용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 공한다.
4. 조용하고 안락한 환경으로 불안을 감소시키며 숙면을 취하도록 도울 수 있다.
4. 취침 시 소등을 해드렸고 소 음 줄여주기, 주변에 불필요 한 물건을 제거해 주었다.
5. 필요시 마다 처방된 산소공 급해 준다.
5. 산소공급은 대상자의 노력을 감소 시키고 안위를 증진시킬 수 있다.
5. O₂ 3L nasal prong을 사용 하다가 처방에 따라 산소량 을 조절하였다.
#3. 의식저하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 의식저하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간호사정(Assessment)
간호목표(Nursing goals)
평가(Evaluation)
Subjective data
- 허공을 가르키며 “반지내놔!” 라고 소리 지르심
- “이거(억제대) 풀어!”
- “여기 성당이죠?”
- “물 좀 주세요, 물 좀 주세요, 물 좀 주세요, …” 반복
Objective data
11/28
11/29
11/30
12/1
12/2
진정
(RASS)
Y
Y
Y
Y
Y
섬망
(CAM-ICU)
Y
Y
Y
Y
Y
- 진정/섬망
- 치료적 절대 침상 안정 상태
- side rail밖으로 발을 내미는 모습 관찰됨
- 사지 억제대 적용 중
- 욕창위험 사정척도 점수 13점
-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욕창이 발생하지 않는다.
②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IV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의식이 돌아온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욕창이 발생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욕창이 발생하지 않았다.(달성)
② 대상자는 일반병실로 전실할 때까지 IV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 대상자가 IV를 제거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실패)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의식이 돌아온다.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의식이 돌아왔다.(달성)
간호계획(Nursing plans)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욕창 위험성을 사정한다.
1. 욕창발생위험 정도를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11/28
13점
12/2
16점
11/29
15점
12/3
14점
11/30
15점
12/4
14점
12/1
15점
12/5
14점
1. 욕창 위험성을 사정하였다.
2. 욕창 예방간호를 실시한다.
2-1.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 다.
2-2. 치료적 매트리스나 침대를 제공한다.
2-3. 피부상태를 매 근무번마다 사정한다. 발적이 있으면 보호장치를 사용한다.
2-1. 체위를 자주 변경해 주면 특정 부위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 지는 시간이 감소되므로 욕창생 성을 막아준다.
2-2. 치료적 매트리스와 침대는 천골 부위의 압력을 줄여준다.
2-3. 발적은 특정 부위에 압력이 증 가되었고 피부가 손상되고 있다 는 첫 신호이다.
2-1.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 주었다.
2-2. air mass pad를 제공하였 다.
2-3. 매 근무번마다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3.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3. 의식변화의 정도를 파악하여 뇌 기능의 이상상태를 알 수 있다.
11/28
Y
12/2
Y
11/29
Y
12/3
N
11/30
Y
12/4
N
12/1
Y
12/5
N
3.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4. 필요시 억제대를 적용한다.
4. 낙상을 방지하고 혼돈 환자의 자 해의 위험성과 특별한 치료 시 움 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4. 사지에 억제대를 적용하였다.
참고문헌
1.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 Ⅰ」. 파주 : 수문사.
2. 이향련 외(2010). 「성인간호학Ⅰ」. 파주 : 수문사.
3.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상」. 서울 : 현문사.
4. JOYCE M.BLACK 외(2007). 「성인간호학Ⅱ」. 서울 : 정담미디어
5. 대한순환기학회 심부전 매뉴얼 지침서 (2013)
6. 네이버. “심부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762&cid=40942&categoryId=32319
7. 질병관리본부. “심부전”.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980
8. 드럭인포. “약물”,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키워드
추천자료
간경화 케이스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울혈성 심부전 CHF (신생아)
성인간호학실습 심부전 heart failure case study
CHF case study (울혈성 심부전)
[성인간호학실습A+]울혈성 심부전 case, 성인간호학 실습 case, congestive heart failure
성인간호학 폐렴 case study, 간호과정3개
[간암 간호] 성인간호학 간암(HCC)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간기능 저하와 관련된 출혈위...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간호과정 3개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협심증(Unstable angina),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