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학개론 보조공학기기(장치) 기구 소개 및 판매 사이트 소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교육학개론 보조공학기기(장치) 기구 소개 및 판매 사이트 소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보조공학 사이트
1. 사이트 주소
2. 서비스 대상
3. 운영 목적 및 운영 방법
4. 특성

Ⅱ. 보조공학기기
1. 보완/ 대체 의사소통 보조기구
2. 이동 보조기구
3. 목욕 및 용변 보조기구
4. 시력 장애인용 보조기구
5. 청각장애인용 보조기구
6. 컴퓨터 보조기구
7. 식사 및 주방 보조 기구
8. 문구 및 사무용 보조기구

Ⅲ. 총평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기본 높이에서 30㎝ 정도 조절이 가능
특징
-휠체어나 의자에 앉거나, 또는 서서 주방일을 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싱크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
-싱크대의 높낮이는 리모컨 또는 버튼으로 조작함
[굽은 나이프]
장애 유형: 지체 장애, 뇌 병변 장애
기능
-나이프의 손잡이를 잡고 음식물을 자름
특징
-단단한 손잡이를 가진 나이프로 날이 굽어 있음
-굽어진 날로 인해 한 손 사용만으로 음식물을 자를 수 있음
일상생활 동작(ADL)은 누구나 매일 반복하여 수행하는 자조활동(옷 입고 벗기, 식사하기, 화장실 사용, 세면, 목욕 등)이며,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하기 힘든 경우에는 이를 보완 대체해 줄 수 있는 일상생활 보조기구를 활용할 수 있다.
문구 및 사무용 보조기구
일상생활 동작(ADL)은 누구나 매일 반복하여 수행하는 자조활동(옷 입고 벗기, 식사하기, 화장실 사용, 세면, 목욕 등)이며,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하기 힘든 경우에는 이를 보완 대체해 줄 수 있는 일상생활 보조기구를 활용할 수 있다.
[손목 일체형 필기 보조도구]
장애 유형: 지체 장애, 뇌 병변 장애
기능
-손, 손목에 힘이 약하거나 관절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아 필기구를 잡기 힘든 경우 사용
-벨크로(찍찍이)이를 이용하여 손과 손목을 고정한 뒤, 필기구를 끼워 사용
-필기 보조도구 앞쪽에 있는 작은 구명에 필기구를 끼워서 사용
특징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알루미늄 재질로 사용자의 손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
-손에 필기 보조도구를 끼우고 검지를 구멍에 넣어 지지하며, 손목은 벨크로(찍찍이)로 고정함
[공 모양 손잡이]
장애 유형: 지체 장애, 뇌 병변 장애
기능
-손의 섬세한 운동이 어려워 작음 굵기의 필기구를 쥐기 힘든 경우 사용
-작은 굵기의 필기구를 쥐기 힘든 경우에 사용하며 홀더 사이에 있는 구멍으로 펜이나 뜨개바늘을 넣어 사용
특징
-더 사이에 있는 구멍으로 펜이나 뜨개바늘을 넣어 사용
-홀더가 공 모양으로 되어 있어 편하게 쥘 수 있으며, 왼손, 오른손 모두 사용이 가능함
[한 손 사용자용 가위]
장애 유형: 지체 장애, 뇌 병변 장애
기능
-한 손으로 가위질을 해야 하는 경우 사용
-가위 날사이에 종이를 넣고 손잡이를 한 손으로 누름
특징
-가위가 판에 박혀 있음
-가위 날사이에 종이를 넣고 손잡이를 한 손으로 살짝 누리면 종이가 잘림
Ⅲ. 총평
보조공학 사이트를 조사하기 전 보조공학에 대해서 무지한 상태였기 때문에 과연 보조공학 사이트가 많이 있을까? 걱정되었다. 하지만 나의 걱정과는 다르게 보조공학 기기를 소개하거나 보조공학 센터에 대한 설명 카테고리가 있는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장애를 가지고 있는 분들과 그의 지인, 가족이 보조공학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곳이 있다는 점에 다행이라고 생각하였다.
특히, 사단법인 한국 시각 장애인 연합회에서는 ’시각 장애인의 이해‘ 카테고리를 만들어 시각 장애인과 대화하는 방법 등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 사이트에서는 보조공학 기기를 판매하거나 보조공학 센터 등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닌 시각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시각 장애인을 만났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하게 알려준 것이다. 이를 통해 보조공학 사이트를 교육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끔 만든 점에서 인상 깊었다. 나 또한 시각 장애인을 만났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또한, 보조 공학 기기를 찾아보기 전에는 보조공학이라면 휠체어, 특수안경, 보청기 밖에 생각이 나지 않았다. 하지만, 보조 공학 기기를 검색하면서 다양한 장애에 맞는 수많은 보조 공학 기기가 있다는 점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어렸을 때부터 장애에 대한 교육을 많이 받아왔으며 나 또한 언제든 장애를 가질 수 있으므로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수없이 외쳐왔다. 하지만 정작 장애를 보조할 수 있는 공학 기기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조차 관심이 없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무지한 나를 반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생활 전면에 보조 공학 기기가 배치되어있는 것을 보며 장애가 생기면 늘 아무렇지 않게 보냈던 일상생활조차도 어려운 과제가 되며 넘어야만 할 산이라는 것을 몸소 느끼게 되었다. 나 또한 고도 근시로 시력이 매우 좋지 않아 무겁고 두꺼운 안경을 착용하고 있다. 그래서 시력이 좋은 사람들은 불편하다고 느끼지 못하는 점에서 나는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시력이 좋은 사람들을 부러워하고 있다. 하지만 고도 근시는 장애로 볼 수 없다. 따라서 내가 느끼는 불편함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 비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고 장애를 극복하고 일상생활을 무리 없이 보낼 수 있는 보조 공학 기기가 더 발명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유아교육과 학생으로서 장애아동을 어떻게 보육하고 교육해야 할지 계속해서 고민하는 것은 숙명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특수교사로 진로를 바꾸지 않더라도 일반 교사 또한 장애아동 교육을 받아야 하며 특수교사와 협응해 장애아동을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특수교육을 아무리 이론적으로 공부하더라도 아동마다 장애 특성이 다르고 성격이 다르므로 계속해서 어떻게 교육해야 할지 연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장애아동의 재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보조 공학 기기나 교구들의 특성을 미리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번 과제를 통해 장애아동에 대한 정보(보조공학기기, 교구 등) 지식이 바탕으로 깔려있어야만 특수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고 깨닫게 되었고 이후 장애아동의 부모님에게 장애아동의 특성에 맞는 정보를 공유하고 그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도록 노력해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특수 교육공학-장애아를 위한 보조공학(2008). 권충훈김훈희 옮김. 양서원
지체 장애아동 교육(2007). 구본권. 시그마프레스
▶ 특수교육 시설설비 가이드(2004). 김원경, 한홍석. 도서 출판 특수교육
▶ 경기도 재활 공학 서비스 연구지원센터 2007 보조기구편람
▶ 경기도 재활 공학 서비스 연구지원센터 www.atrac.or.kr
http://www.himskorea.co.kr
  • 가격2,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21.11.05
  • 저작시기2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80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