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021년 2학기 고급간호연구 기말
1. 간호연구에 관한 문헌검색을 위해 적절한 검색어와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1) 다음 진술된 연구문제에서 가장 타당한 것으로 생각되는 주요어(Key word)를 제시하시오.
2)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Core database)를 5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2.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지를 제시하고, 각각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에서의 적용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3. 다음의 용어를 설명하고, 아래 <가설 예>에서 해당되는 부분을 찾아 기호로 쓰시오.
1) 연구가설
2) 귀무가설
4. 다음의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 한가지를 설명하시오.
1) 대상자 선택편중
2) 통계적 회귀
5. 다음 연구의 결과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유의수준α=.01 기준).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Variables)를 모두 찾아 제시하시오.
2) 1)의 답을 제시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6. 참고문헌
1. 간호연구에 관한 문헌검색을 위해 적절한 검색어와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1) 다음 진술된 연구문제에서 가장 타당한 것으로 생각되는 주요어(Key word)를 제시하시오.
2)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Core database)를 5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2.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지를 제시하고, 각각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에서의 적용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3. 다음의 용어를 설명하고, 아래 <가설 예>에서 해당되는 부분을 찾아 기호로 쓰시오.
1) 연구가설
2) 귀무가설
4. 다음의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 한가지를 설명하시오.
1) 대상자 선택편중
2) 통계적 회귀
5. 다음 연구의 결과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유의수준α=.01 기준).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Variables)를 모두 찾아 제시하시오.
2) 1)의 답을 제시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로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속 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조사 분석 단계에서 통계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대상자 선택 편중을 줄이는 데 유용하다.
2) 통계적 회귀
실험 횟수가 증가할수록 실험 결과는 평균값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 동일한 모집단에 대해 특별한 실험적 처리가 없었으므로 결과는 평균으로 수렴하게 되는 것이다.
통계적 회귀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뢰도 높은 도구 사용해야 한다. 신뢰도의 주요 독립 변수는 시간 테스트, 조사의 내부 측면 및 평가자이다. 이때 정량화된 샘플의 경우 샘플링 오차의 절댓값이 작을수록 조사의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
5. 다음 연구의 결과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유의수준α=.01 기준).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Variables)를 모두 찾아 제시하시오.
총신체활동량 증가(Physical activity level)
2) 1)의 답을 제시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위 결과의 논문에서는 양측 검정의 두 그룹 간 평균에 대한 차이 검정을 위해 G*Power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α= .05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 문제의 유의수준α=.01 기준과 다른 유의 수준을 보인다. 실제 논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총 신체 활동량(Physical activity level), 건강증진 행위 향상(Health promoting behavior), 삶의 질(Quality of life) 이었다.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총 신체 활동량(Physical activity level)이 1881.17±1883.68, 대조군의 총 신체 활동량이 434.60±406.74으 로 실험 군의 총 신체 활동량이 더 높았다(U=65.00, p<.001).건강 증진 행위 점수 역시 실험군 129.89±16.39, 대조군 120.78±19.08 으로 실험군이 더 높았다(t=-2.20, p=.033). 유의수준 α= .05를 기준으로는 총 신체 활동량, 건강증진 행위 모두 ‘도심 숲길 걷기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건강증진 행위가 더 양호할 것이다’의 가설을 지지하기 충분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유의수준 α= .05를 기준으로 삶의 질 역시 ‘도심 숲길 걷기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삶의 질이 더 높을 것이다’가설을 지지하기 충분한 실험군 23.94 ± 4.36, 대조군 20.70 ± 4.46으로 두 군 간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t=-2.42, p=.020)
유의수준α=.01으로 기준으로 했을 때 총 신체 활동량(Physical activity level)의 p 값은 < 0.001로 유의수준α=.01 보다 작은 경우로 연구 가설이 채택될 수 있다. 하지만 건강증진 행위 향상(Health promoting behavior)의 p 값은 0.033으로 유의수준α=.01 보다 큰 경우이고, 삶의 질(Quality of life)의 p 값도 0.020으로 유의수준α=.01 보다 큰 경우이다. 그래서 귀무 가설이 채택된다.이러한 것으로 보았을 때 유의수준α=.01으로 기준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말할 수 있는 변수는 총 신체 활동량 증가(Physical activity level)라고 말할 수 있다.
6. 참고문헌
박영숙 외 1인(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방정숙 외 4인(2016). 직장인의 도심 숲길 걷기 프로그램이 건강증진행위, 신체적 건강,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10), 140-148
2) 통계적 회귀
실험 횟수가 증가할수록 실험 결과는 평균값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 동일한 모집단에 대해 특별한 실험적 처리가 없었으므로 결과는 평균으로 수렴하게 되는 것이다.
통계적 회귀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뢰도 높은 도구 사용해야 한다. 신뢰도의 주요 독립 변수는 시간 테스트, 조사의 내부 측면 및 평가자이다. 이때 정량화된 샘플의 경우 샘플링 오차의 절댓값이 작을수록 조사의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
5. 다음 연구의 결과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유의수준α=.01 기준).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Variables)를 모두 찾아 제시하시오.
총신체활동량 증가(Physical activity level)
2) 1)의 답을 제시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위 결과의 논문에서는 양측 검정의 두 그룹 간 평균에 대한 차이 검정을 위해 G*Power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α= .05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 문제의 유의수준α=.01 기준과 다른 유의 수준을 보인다. 실제 논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총 신체 활동량(Physical activity level), 건강증진 행위 향상(Health promoting behavior), 삶의 질(Quality of life) 이었다.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총 신체 활동량(Physical activity level)이 1881.17±1883.68, 대조군의 총 신체 활동량이 434.60±406.74으 로 실험 군의 총 신체 활동량이 더 높았다(U=65.00, p<.001).건강 증진 행위 점수 역시 실험군 129.89±16.39, 대조군 120.78±19.08 으로 실험군이 더 높았다(t=-2.20, p=.033). 유의수준 α= .05를 기준으로는 총 신체 활동량, 건강증진 행위 모두 ‘도심 숲길 걷기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건강증진 행위가 더 양호할 것이다’의 가설을 지지하기 충분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유의수준 α= .05를 기준으로 삶의 질 역시 ‘도심 숲길 걷기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삶의 질이 더 높을 것이다’가설을 지지하기 충분한 실험군 23.94 ± 4.36, 대조군 20.70 ± 4.46으로 두 군 간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t=-2.42, p=.020)
유의수준α=.01으로 기준으로 했을 때 총 신체 활동량(Physical activity level)의 p 값은 < 0.001로 유의수준α=.01 보다 작은 경우로 연구 가설이 채택될 수 있다. 하지만 건강증진 행위 향상(Health promoting behavior)의 p 값은 0.033으로 유의수준α=.01 보다 큰 경우이고, 삶의 질(Quality of life)의 p 값도 0.020으로 유의수준α=.01 보다 큰 경우이다. 그래서 귀무 가설이 채택된다.이러한 것으로 보았을 때 유의수준α=.01으로 기준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말할 수 있는 변수는 총 신체 활동량 증가(Physical activity level)라고 말할 수 있다.
6. 참고문헌
박영숙 외 1인(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방정숙 외 4인(2016). 직장인의 도심 숲길 걷기 프로그램이 건강증진행위, 신체적 건강,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10), 140-148
키워드
추천자료
2020 고급간호연구 기말 온라인평가]다음 물음에 대한 답을 쓰시오 고급간호연구 기말 commun...
[방통대 경영학과 3-2 기말시험] 마케팅조사론
(방송통신대 고급간호연구 기말과제물)간호연구에 관한 문헌검색을 위해 적절한 검색어와 전...
고급간호연구 기말 2021] 주요어,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
2021년 2학기 고급간호연구 기말시험
[고급간호연구 2021 기말과제] 1. 간호연구에 관한 문헌검색을 위해 적절한 검색어와 전자데...
[고급간호연구 기말 2021년] 1. 간호연구에 관한 문헌검색 주요어 2.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
고급간호연구 기말 2021) 주요어,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
2021년 2학기 고급간호연구 기말시험 과제물(주관식 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