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1) 감각운동기(sensory motor stage, 출생에서 2세까지)
(1) 1단계 (반사 행동기) : 출생에서 1개월
(2) 2단계 (1차 순환반응) : 1개월에서 4개월
(3) 3단계 (2차 순환반응) : 4개월에서 8개월
(4) 4단계(2차 순환반응의 협응) : 8개월에서 12개월
(5) 5단계 (3차 순환반응) : 12개월에서 18개월
(6) 6단계 (정신적 표상기) : 18개월에서 24개월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2~7세)
(1) 직관적 사고
(2) 상징적 사고
(3 )자기중심성
(4) 비가역성
(5) 물활론적 사고
(6) 도덕적 실재론
(7)꿈의 실재론
▶ 결론
▶ 나의 생각 및 제언
▶ 본론
1) 감각운동기(sensory motor stage, 출생에서 2세까지)
(1) 1단계 (반사 행동기) : 출생에서 1개월
(2) 2단계 (1차 순환반응) : 1개월에서 4개월
(3) 3단계 (2차 순환반응) : 4개월에서 8개월
(4) 4단계(2차 순환반응의 협응) : 8개월에서 12개월
(5) 5단계 (3차 순환반응) : 12개월에서 18개월
(6) 6단계 (정신적 표상기) : 18개월에서 24개월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2~7세)
(1) 직관적 사고
(2) 상징적 사고
(3 )자기중심성
(4) 비가역성
(5) 물활론적 사고
(6) 도덕적 실재론
(7)꿈의 실재론
▶ 결론
▶ 나의 생각 및 제언
본문내용
각적 특성에 의해서 판단하고, 사물의 내적 연관성이나 규칙 또는 조작을 이해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같은 양의 물을 좁고 높은 컵과 넓고 낮은 컵에 따라주면 아이들은 좁고 높은 컵을 선택한다.
(2) 상징적 사고
경험을 상징이나 언어로 표상할 수 있어 과거를 재구성하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사물들을 머릿속에서 비교할 수 있는 사고이다.
예를 들어 가상놀이를 들 수 있는데, 엄마아빠놀이, 병원놀이와 같은 가상적인 사물과 상활들을 실제 사물이나 상황처럼 상징하곤 한다.
(3)자기중심성
유아가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하지 못하고 자신의 관점과 다른 사람의 관점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유아 앞에 있는 교사가 \"오른손을 드세요\"하면서 오른손을 들면 유아가 보는 관점에서의 교사의 오른 손은 유아의 왼손 방향에 있으므로 왼손 방향을 들곤 한다.
(4) 비가역성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면 이것을 머릿속에서 거슬러 올라가 처음의 사고로 되돌리는 능력이 부족해서 역으로 추리하는 가역적 사고를 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긴 유리컵에 같은 양의 물을 담았다가 넓은 컵에 옮겨 담은 후 다시 그 물을 긴컵에 옮겨 담으면 물의 양이 같다는 것을 역추리하지 못한다.
(5) 물활론적 사고
무생물도 살아 있으며 자기처럼 감정과 의도를 가지고 있고 각자의 의지에 따라 움직이고 사고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좋아하는 인형과 자주 놀아주지 않으면 슬퍼한다고 생각하거나, 인형 솜이 터졌을 경우 반창고를 발라달라고 한다던가, 또한 아이가 돌에 부딪혀 울 때 돌을 ‘때찌’하며 때리는 시늉을 하면 아이는 눈물을 그치고 분이 풀리는 행동을 보인다.
(6) 도덕적 실재론
규율이나 규칙은 지키지 않으면 벌을 받기 때문에 절대로 지켜야 하며, 이 규칙은 정해진 것으로 바뀔 수 없다고 본다. 행위의 잘잘못을 판단할 때 행위의 결과에 의해서만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러 돌을 던져 컵을 하나를 깬 아이와 지나가다가 실수로 3개의 컵을 깨뜨린 아이가 있을 때 이 시기 아이들은 일어난 동기보다 행위의 결과만을 보고 컵을 3개 깬 아이 가 더 잘못했다고 판단한다.
(7)꿈의 실재론
유아는 꿈과 현실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여, 꿈에서 일어났던 상황들이 꿈에서 깨어난 후에도 현실에서도 그대로 있다고 생각하며 꿈은 실재라고 믿고 자신의 꿈이 다른 사람에게도 보인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밤에 귀신이 자신을 잡으려 할 때 아빠가 나와서 귀신을
예를 들어 같은 양의 물을 좁고 높은 컵과 넓고 낮은 컵에 따라주면 아이들은 좁고 높은 컵을 선택한다.
(2) 상징적 사고
경험을 상징이나 언어로 표상할 수 있어 과거를 재구성하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사물들을 머릿속에서 비교할 수 있는 사고이다.
예를 들어 가상놀이를 들 수 있는데, 엄마아빠놀이, 병원놀이와 같은 가상적인 사물과 상활들을 실제 사물이나 상황처럼 상징하곤 한다.
(3)자기중심성
유아가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하지 못하고 자신의 관점과 다른 사람의 관점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유아 앞에 있는 교사가 \"오른손을 드세요\"하면서 오른손을 들면 유아가 보는 관점에서의 교사의 오른 손은 유아의 왼손 방향에 있으므로 왼손 방향을 들곤 한다.
(4) 비가역성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면 이것을 머릿속에서 거슬러 올라가 처음의 사고로 되돌리는 능력이 부족해서 역으로 추리하는 가역적 사고를 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긴 유리컵에 같은 양의 물을 담았다가 넓은 컵에 옮겨 담은 후 다시 그 물을 긴컵에 옮겨 담으면 물의 양이 같다는 것을 역추리하지 못한다.
(5) 물활론적 사고
무생물도 살아 있으며 자기처럼 감정과 의도를 가지고 있고 각자의 의지에 따라 움직이고 사고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좋아하는 인형과 자주 놀아주지 않으면 슬퍼한다고 생각하거나, 인형 솜이 터졌을 경우 반창고를 발라달라고 한다던가, 또한 아이가 돌에 부딪혀 울 때 돌을 ‘때찌’하며 때리는 시늉을 하면 아이는 눈물을 그치고 분이 풀리는 행동을 보인다.
(6) 도덕적 실재론
규율이나 규칙은 지키지 않으면 벌을 받기 때문에 절대로 지켜야 하며, 이 규칙은 정해진 것으로 바뀔 수 없다고 본다. 행위의 잘잘못을 판단할 때 행위의 결과에 의해서만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러 돌을 던져 컵을 하나를 깬 아이와 지나가다가 실수로 3개의 컵을 깨뜨린 아이가 있을 때 이 시기 아이들은 일어난 동기보다 행위의 결과만을 보고 컵을 3개 깬 아이 가 더 잘못했다고 판단한다.
(7)꿈의 실재론
유아는 꿈과 현실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여, 꿈에서 일어났던 상황들이 꿈에서 깨어난 후에도 현실에서도 그대로 있다고 생각하며 꿈은 실재라고 믿고 자신의 꿈이 다른 사람에게도 보인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밤에 귀신이 자신을 잡으려 할 때 아빠가 나와서 귀신을
추천자료
[피아제인지발달이론]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아동발달A형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 중 감각운동기와 전조작기 세분화하여 비교 설명
[유아발달 과제]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단계는 감각적 운동기 구체적 조작기, 전조작기 ...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는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로 구분된다....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한 전...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감각운동기 전조...
인지발달단계(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단계는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로 ...
[인간과 교육] A+ 레포트.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
[유아발달]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는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