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과 다산 사상 내용의 체계적인 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율곡과 다산 사상 내용의 체계적인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1. 리기론(理氣論)
2. 심성론(心性論)
3. 세계관
4. 덕

본문내용

하나로 말한다면 인(仁)이고 나누어 보면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네 가지 원리인 것입니다.
그러나 다산은 성리학과 달리, 덕(德)을 인간의 자주지권의 결단에 의해 실천해야 할 후천적 덕목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그 논거는 맹자의 사단(四端)을 새롭게 해석하는 것에서 찾았습니다. 우선, 주자는 단(端)을 ‘실마리’로 해석하여서 측은지심을 마음속에 존재하는 본체인 성(性)의 발현으로 이해하여, 측은지심을 본체인 인(仁)에 관한 인식의 ‘실마리’라고 파악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다산은 단시설(端始說)을 주장하였습니다. 단시설은 사단의 단(端)이 실마리가 아닌 시작(처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산은 인(仁)을 실천하는 시초로 측은지심으로 보았습니다. 즉, 사단은 선천적이지만 사덕은 실천을 통해 얻어지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덕은 사단을 시발점으로 하여 지속적인 도덕적 실천을 통해 성취되는 것으로 본 것입니다.
※ 참고문헌
한국철학사 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5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김영우, 율곡 사상에 대한 다산의 이해와 비판적 계승, 율곡학연구, 28(0) : 59-86, 2014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1.11.22
  • 저작시기202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8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