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1. 리기론(理氣論)
2. 심성론(心性論)
3. 세계관
4. 덕
1. 리기론(理氣論)
2. 심성론(心性論)
3. 세계관
4. 덕
본문내용
하나로 말한다면 인(仁)이고 나누어 보면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네 가지 원리인 것입니다.
그러나 다산은 성리학과 달리, 덕(德)을 인간의 자주지권의 결단에 의해 실천해야 할 후천적 덕목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그 논거는 맹자의 사단(四端)을 새롭게 해석하는 것에서 찾았습니다. 우선, 주자는 단(端)을 ‘실마리’로 해석하여서 측은지심을 마음속에 존재하는 본체인 성(性)의 발현으로 이해하여, 측은지심을 본체인 인(仁)에 관한 인식의 ‘실마리’라고 파악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다산은 단시설(端始說)을 주장하였습니다. 단시설은 사단의 단(端)이 실마리가 아닌 시작(처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산은 인(仁)을 실천하는 시초로 측은지심으로 보았습니다. 즉, 사단은 선천적이지만 사덕은 실천을 통해 얻어지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덕은 사단을 시발점으로 하여 지속적인 도덕적 실천을 통해 성취되는 것으로 본 것입니다.
※ 참고문헌
한국철학사 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5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김영우, 율곡 사상에 대한 다산의 이해와 비판적 계승, 율곡학연구, 28(0) : 59-86, 2014
그러나 다산은 성리학과 달리, 덕(德)을 인간의 자주지권의 결단에 의해 실천해야 할 후천적 덕목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그 논거는 맹자의 사단(四端)을 새롭게 해석하는 것에서 찾았습니다. 우선, 주자는 단(端)을 ‘실마리’로 해석하여서 측은지심을 마음속에 존재하는 본체인 성(性)의 발현으로 이해하여, 측은지심을 본체인 인(仁)에 관한 인식의 ‘실마리’라고 파악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다산은 단시설(端始說)을 주장하였습니다. 단시설은 사단의 단(端)이 실마리가 아닌 시작(처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산은 인(仁)을 실천하는 시초로 측은지심으로 보았습니다. 즉, 사단은 선천적이지만 사덕은 실천을 통해 얻어지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덕은 사단을 시발점으로 하여 지속적인 도덕적 실천을 통해 성취되는 것으로 본 것입니다.
※ 참고문헌
한국철학사 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5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김영우, 율곡 사상에 대한 다산의 이해와 비판적 계승, 율곡학연구, 28(0) : 59-86, 2014
추천자료
이이의 교육사상
이황의 교육사상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사부학당, 조...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다산 정약용 (茶山 丁若鏞) (약력 , 실학 세계, 정약용의 사상-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
[방통대 교육학과 4학년 교육사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
[방통대 교육학과 4학년 교육사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