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사업 동향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OTT 사업 동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국내, 국외 사업자 동향
(2) 글로벌 사업자 국가별 동향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비스 확장이 이루어질 계획이다. 이러한 글로벌 서비스 확장을 고려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서비스가 시작된 미주 지역이 가장 시장 점유가 높을 것으로 볼 수 있고, 이후 유럽 지역의 점유가 높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반면 아시아 및 라틴 아메리카는 최근에 글로벌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므로 시장 점유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을 것이다.
애플 티비 플러스 역시 최근 서비스를 시작했으므로 국가별 가입자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다만 애플 티비 플러스의 경우, 기존 애플 제품 이용자들이 국가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디즈니 플러스에 비해 지역별 가입자 격차가 적을 것으로 보인다. 단, 콘텐츠의 지원 언어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영어권 국가들의 점유율이 높을 것으로 보이고, 아시아 지역의 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측된다.
훌루(Hulu) 역시 글로벌 OTT 서비스를 제공한다. 훌루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와 21세기 폭스, 타임 워너 등의 미국계 기업의 투자로 만들어진 플랫폼이다. 2007년부터 서비스를 시행했고, 디즈니 플러스의 출범 이전에는 디즈니의 지적재산권을 통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했기 때문에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2019년 이후로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21세기 폭스를 인수하면서 훌루 역시 디즈니를 통해 운영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현재는 디즈니 플러스와 함께 글로벌 OTT 플랫폼으로 자리잡았으나, 디즈니 플러스의 경우에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장하는 반면 훌루는 여전히 제한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훌루는 미국과 일본에서만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미국 내에서는 상당히 높은 이용자수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에는 구독자가 2850만명을 기록하였고, 2020년에는 3660만명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는 디즈니 플러스의 출범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데, 디즈니 플러스와 훌루를 통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독자 서비스를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훌루의 경우, 미주지역에서의 시장 점유율은 높지만 아시아 지역이나 유럽 지역 등에서는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디즈니 플러스와 통합되어 운영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 다른 글로벌 OTT로 아마존(Amazon)의 프라임 비디오(Prime Video)가 있다. 2006년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여 현재 약 1억 5천만명의 가입자를 가지고 있다. 세계적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아마존의 투자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넷플릭스와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국가에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제공되는 언어의 경우 제한되어 있으므로 일부 지역에서는 이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어 역시 비교적 최근에 지원이 시작되면서 국내에서는 시장 점유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미주 지역에서는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아시아 지역에서는 일본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국가에서 넷플릭스에 비해 낮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유럽 지역의 경우에도 넷플릭스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선호를 보인다. 그러나 세계적인 규모를 자랑하는 아마존닷컴의 지원을 통해 우수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어 성장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처럼 글로벌 OTT 사업자의 국가별 동향은 미주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럽 지역의 경우에도 글로벌 서비스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의 경우 언어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해 서비스 확장이 더딘 편임을 알 수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OTT 사업 동향을 분석해보았다. OTT 사업은 언텍트 시대에 발전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고, 문화 콘텐츠의 가치가 높아지는 만큼 핵심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국내 및 국외에서 OTT 서비스를 시작하는 사업자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시장 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져야만 장기적인 사업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4. 참고문헌
닐슨코리안클릭, 「미디어 리서치 리포트」, 닐슨코리안클릭, 2020.
DMCREPORT, 「2021 국내외 OTT 플랫폼 동향 분석」, DMCREPORT, 2021.
Netflix, 「UNITED STATE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Netflix, 2020.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국내외 OTT 서비스 시장 현황 및 규제정책 연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20.
정보통신정책연구원, 「VOD와 OTT 이용행태 추이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0.
  • 가격10,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12.14
  • 저작시기2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9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