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2. 외상 후 성장과정
3. 전문가가 제시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극복법
: 의도적 반추를 돕는 기법을 중심으로
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극복법 제시
5. 생각 및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2. 외상 후 성장과정
3. 전문가가 제시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극복법
: 의도적 반추를 돕는 기법을 중심으로
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극복법 제시
5. 생각 및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면서였다. 대표적인 주창자 중 한 명은 월터 제이콥슨(Walter E. Jacobson) 박사로, 환자 혹은 대상자가 자신이 겪거나 현재 처해있는 상황과 비슷한 성질을 띄는 영화 속 인물에게 감정 이 입·동일시 과정을 느끼면서 그 상황에 대해 이해 및 극복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시네마 테라피는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영화 감상을 하거나, 영화를 제작하는 것이다. 영화 감상을 통한 치료는 자기 조력적 치료 및 상호작용적 치료를 내포한다. 자기 조력적 치료는 영화 감상을 통해 대상자가 스스로 치유 과정을 겪는 것이며, 상호작용적 치료는 영화를 통해 치료자와 대상자가 의사소통을 이루며 대상자의 문제 해결의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영화 제작으로 치료하는 것은 동영상 제작 치료 및 극영화 제작 치료가 있다. 동영상 제작 치료는 1인 다큐멘터리, 영상편지 등이고, 극 영화 제작 치료는 웹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Ⅲ. 결론
이상의 논의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의 주요 주제와, 극복 방법에 대해 다양하게 접근해 보았다. 외상 사건을 겪었다고 하더라도 결국 살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극복을 통해 더욱 통합되고 발전된 자기를 만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스스로 해볼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있다는 것이 중요한 골자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종교는 믿지 않지만, 신의 존재는 믿는다. 그분께서 필연적으로 구성해놓은 일련의 사건에는 결국 뜻이 있다고 생각하며,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존재의 존귀함을 스스로 느낄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 ‘결국, 이 또한 지나가리라’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을 단편적으로 보면 시련이 지나간다는 것 같지만, 심층적으로 해석해 보면 기쁨도 슬픔도 지나간다는 뜻으로 일희일비(一喜一悲) 하지 않으며, 힘든 감정에 오래 머물러 있지 말라는 뜻이 아닐까 생각해 보며 글을 맺는다.
Ⅳ. 참고문헌
김경수(2017),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후유증 극복을 위한 시네마테라피 활용에 관한 고찰 : 이해와 치유 중심으로 한 <레인 오버 미(Rain Over Me)> 등장인물의 동일시 과정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13권 2호. 7p ~ 31p.
김예슬, 이종선(2017),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외상 경험과 침습적 반추의 효과: 미래 인지와 성차의 조절된 조절된 매개‘.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25p ~ 338p.
시네마 테라피는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영화 감상을 하거나, 영화를 제작하는 것이다. 영화 감상을 통한 치료는 자기 조력적 치료 및 상호작용적 치료를 내포한다. 자기 조력적 치료는 영화 감상을 통해 대상자가 스스로 치유 과정을 겪는 것이며, 상호작용적 치료는 영화를 통해 치료자와 대상자가 의사소통을 이루며 대상자의 문제 해결의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영화 제작으로 치료하는 것은 동영상 제작 치료 및 극영화 제작 치료가 있다. 동영상 제작 치료는 1인 다큐멘터리, 영상편지 등이고, 극 영화 제작 치료는 웹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Ⅲ. 결론
이상의 논의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의 주요 주제와, 극복 방법에 대해 다양하게 접근해 보았다. 외상 사건을 겪었다고 하더라도 결국 살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극복을 통해 더욱 통합되고 발전된 자기를 만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스스로 해볼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있다는 것이 중요한 골자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종교는 믿지 않지만, 신의 존재는 믿는다. 그분께서 필연적으로 구성해놓은 일련의 사건에는 결국 뜻이 있다고 생각하며,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존재의 존귀함을 스스로 느낄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 ‘결국, 이 또한 지나가리라’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을 단편적으로 보면 시련이 지나간다는 것 같지만, 심층적으로 해석해 보면 기쁨도 슬픔도 지나간다는 뜻으로 일희일비(一喜一悲) 하지 않으며, 힘든 감정에 오래 머물러 있지 말라는 뜻이 아닐까 생각해 보며 글을 맺는다.
Ⅳ. 참고문헌
김경수(2017),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후유증 극복을 위한 시네마테라피 활용에 관한 고찰 : 이해와 치유 중심으로 한 <레인 오버 미(Rain Over Me)> 등장인물의 동일시 과정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13권 2호. 7p ~ 31p.
김예슬, 이종선(2017),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외상 경험과 침습적 반추의 효과: 미래 인지와 성차의 조절된 조절된 매개‘.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25p ~ 338p.
추천자료
심리학에게묻다 2021 기말 교재와 영상강의 10장의 삶의 폭풍 지나가기를 참고하여, 외상 후 ...
[심리학에게묻다 1공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해 설명한 후, 외상을 극복하고 외상 후 ...
심리학에게묻다 기말]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기도 한...
(심리학에게묻다 1학년 공통)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기도 한다. 교재와 영상강의 10...
[심리학에게묻다 2021년 기말과제]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
[심리학에게묻다 기말 2021년]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해 설명한 후, 외상을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을 이루기 위해 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해 설명한 후, 외상을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을 이루기 위해 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