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과 종류 기술
1. 재가노인복지서비스란?
2.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
3.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종류
Ⅱ본론
-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국내·외 실태와 현황, 주변 사례의 제시(주변 사례 없을 시 드라마 또는 영화의 사례 인용 가능)
1.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국내·외 실태와 현황
2. 주변 사례
Ⅲ결론
- 사례와 연관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장단점과 개선방안, 본인 의견 기술
-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과 종류 기술
1. 재가노인복지서비스란?
2.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
3.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종류
Ⅱ본론
-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국내·외 실태와 현황, 주변 사례의 제시(주변 사례 없을 시 드라마 또는 영화의 사례 인용 가능)
1.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국내·외 실태와 현황
2. 주변 사례
Ⅲ결론
- 사례와 연관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장단점과 개선방안, 본인 의견 기술
본문내용
정도는 아니지만 간호를 받아야 하는 만성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제공하는 공식적인 기관으로는 지역보건당국의 Community Unit NHS 산하의 독립적인 운영체계인 지역사회 트러스트이다.
*주변의 사례*
87세의 김할머니는 경북의 한 시골에서 혼자살고 계신다.
40대에 남편을 잃고 6명의 자식들을 모두 키워 결혼을 시켰다. 큰아들은 결혼 후 아들 1명, 딸 2명을 낳고 이혼 후 할머니께 자식을 맡겨두고 혼자 살고 있다. 할머니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배추밭 일과 고추 따기 등 저녁에는 마늘 까기 부업을 하여 손주들을 키우셨다.
다른 자식들이 함께 살자고 해도 혼자가 편하다시며 홀로 살아가고 게신데 지역사회에 가정돌봄을 신청하여 일주일에 두세 번 돌봄 선생님이 오셔서 말동무도 해드리고 집안일도 도와주신다고 한다. 그런데 애석하게도 올해에 치매가 조금 온 듯하여 보건소를 방문했으나 급수를 받아 요양원에 들어갈 만큼의 침해가 아니라며 치매 급수 미등급을 받으셨다. 년초에는 치매로인한 계단에서 넘어지시고, 집 비밀번호 잊어버리고 말씀도 못하신 채 멍하니 앉아계시다고 자식들에게 연락이 와서 자식들이 가보니 온몸에 멍이 든 상태로 아무것도 기억이 안난다고 하셨다. 큰병원으로 모시고 가서 머리 MRI를 찍어보니 치매 진행이 조금있고 머리에 넘어지면서 다쳤는지 피가 고여 입원을 하여야 한다고 했다. 지금은 치료를 받고 다시 혼자 살고 계시는데 자식들이 그나마 다행으로 생각하는게 가정돌봄 선생님이 들여다보신다는 것이다. 아쉬운점은 치매가 있더라도 나라에서 인정하는 급수를 받지 못하면 요양원에 들어갔을 때 비용보조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Ⅲ 결론
-사례와 연관된 재가노인 복지서비스의 장단점과 개선방안, 본인 의견 기술
이상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국내·외 실태(일본, 영국)와 현황, 주변 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우리나라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질적 수준에 있어서도 다른 나라들에 비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한다.
지금의 노인세대의 생각은 가족중심 돌봄을 대부분 희망한다. 과거에 시설이용에 대한 편견으로 부모를 내다 버리는 현대판 고려장이라고 하는 생각에서 이제는 조금은 완화된 생각으로 돌아섰다. 이를 완충작용하는 것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호응을 얻고 있다. 단 재가복지가 시설복지와는 달리 노인을 24시간 돌볼 수 없고 장시간의 관찰을 할 수 없다는 것과 노인의 필요한 욕구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없고, 시설과 달리 치료와 재활을 위한 장비와 시설을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위 사례의 김할머니의 경우에도 일주일에 두세 번이 아닌 매일매일 방문하여 할머니의 상태를 파악하고 말동무를 해 줄 수 있는, 영국처럼 전반적인 가정봉사 서비스를 해주는 그런 서비스로 발전했으면 한다.
홀로 사는 노인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 사회는 욕구의 변화에 따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프로그램에 좀 더 많은 연구를 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참조
에듀윌 노인복지론 교재
*주변의 사례*
87세의 김할머니는 경북의 한 시골에서 혼자살고 계신다.
40대에 남편을 잃고 6명의 자식들을 모두 키워 결혼을 시켰다. 큰아들은 결혼 후 아들 1명, 딸 2명을 낳고 이혼 후 할머니께 자식을 맡겨두고 혼자 살고 있다. 할머니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배추밭 일과 고추 따기 등 저녁에는 마늘 까기 부업을 하여 손주들을 키우셨다.
다른 자식들이 함께 살자고 해도 혼자가 편하다시며 홀로 살아가고 게신데 지역사회에 가정돌봄을 신청하여 일주일에 두세 번 돌봄 선생님이 오셔서 말동무도 해드리고 집안일도 도와주신다고 한다. 그런데 애석하게도 올해에 치매가 조금 온 듯하여 보건소를 방문했으나 급수를 받아 요양원에 들어갈 만큼의 침해가 아니라며 치매 급수 미등급을 받으셨다. 년초에는 치매로인한 계단에서 넘어지시고, 집 비밀번호 잊어버리고 말씀도 못하신 채 멍하니 앉아계시다고 자식들에게 연락이 와서 자식들이 가보니 온몸에 멍이 든 상태로 아무것도 기억이 안난다고 하셨다. 큰병원으로 모시고 가서 머리 MRI를 찍어보니 치매 진행이 조금있고 머리에 넘어지면서 다쳤는지 피가 고여 입원을 하여야 한다고 했다. 지금은 치료를 받고 다시 혼자 살고 계시는데 자식들이 그나마 다행으로 생각하는게 가정돌봄 선생님이 들여다보신다는 것이다. 아쉬운점은 치매가 있더라도 나라에서 인정하는 급수를 받지 못하면 요양원에 들어갔을 때 비용보조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Ⅲ 결론
-사례와 연관된 재가노인 복지서비스의 장단점과 개선방안, 본인 의견 기술
이상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국내·외 실태(일본, 영국)와 현황, 주변 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우리나라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질적 수준에 있어서도 다른 나라들에 비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한다.
지금의 노인세대의 생각은 가족중심 돌봄을 대부분 희망한다. 과거에 시설이용에 대한 편견으로 부모를 내다 버리는 현대판 고려장이라고 하는 생각에서 이제는 조금은 완화된 생각으로 돌아섰다. 이를 완충작용하는 것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호응을 얻고 있다. 단 재가복지가 시설복지와는 달리 노인을 24시간 돌볼 수 없고 장시간의 관찰을 할 수 없다는 것과 노인의 필요한 욕구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없고, 시설과 달리 치료와 재활을 위한 장비와 시설을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위 사례의 김할머니의 경우에도 일주일에 두세 번이 아닌 매일매일 방문하여 할머니의 상태를 파악하고 말동무를 해 줄 수 있는, 영국처럼 전반적인 가정봉사 서비스를 해주는 그런 서비스로 발전했으면 한다.
홀로 사는 노인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 사회는 욕구의 변화에 따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프로그램에 좀 더 많은 연구를 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참조
에듀윌 노인복지론 교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