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우리말의역사(공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우리말의역사(공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어사(우리말의 역사)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강 참조)
1) 연구의 목적
2) 연구 방법
2. 국어의 계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강 참조)
1) 람스테트
2) 포페
3. 국어의 형성과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강 참조)
1) 국어의 형성
2) 국어사 시대구분
4. 우리말을 적는 여러 가지 문자(표기) 체계와 그 변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강 참조)
1) 한문의 정착
2) 고유명사의 표기
3) 이두
4) 구결
5) 향찰
6) 훈민정음

본문내용

의 표음적 기능만을 취하는 것이다. 둘째, 표음적 기능은 버리고 표의적 기능만을 사용하되 표의성을 자국어의 단어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3) 이두
이두는 한자어를 사용해 자국어의 문장을 표기하려는 노력의 결실이다. 이두는 고구려 때부터 시작되어 신라에서 본격적으로 발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두는 한문을 우리나라 식으로 고친 것으로 단어 배열이나 문장 구조를 국어의 형태로 따르고 조사 및 어미까지 표기하는 것이다. 이두는 한자의 본래 의미를 사용하지만 신라어의 어순으로 배열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이두는 고려와 조선을 통해 19세기 말까지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구결
구결은 신라 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며 설총이 구결의 발달에 공헌한 것으로 인식된다. 구결은 음독구결과 석독구결로 구분된다. 음독구결은 오늘날에도 사용되는데 한문의 원문을 읽을 때 우리나라의 문법 요소인 조사, 어미 등을 끼어 넣는 것이다. 석독구결은 오늘날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구결에 따라 원문을 읽을 때 한문이 우리말로 번역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앞선 이두의 경우 문법적인 요소를 제거하면 한문의 원문이 그대로 회복되지 않는 반면 구결은 문법적 요소를 제거하면 한문 원문이 그대로 남는다는 점에서 둘 사이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5) 향찰
향찰은 신라에서 자국어를 한자를 통해 표기하려 한 노력의 집대성이다. 향찰은 이두 및 구결의 확대로 향가 이외에서는 사용한 흔적을 찾기 어렵다. 아마도 통일신라 시대에 향가 문학이 무르익으며 향찰의 표기가 일반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6) 훈민정음
훈민정음의 창제로 국어는 완전한 문자화를 달성한다. 이는 한자와는 본질적으로 구분되는 음소적 문자 체계를 실현한 것으로 입으로 말하는 국어를 그대로 적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점에서 엄청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훈민정음은 독창성과 과학성이 두드러지는 문자 체계로 기존의 어느 계통에도 속하지 않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훈민정음은 음운 이론의 기초 위에서 만들어진 과학적인 문자이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이미 굳어진 한문의 지위는 꽤 오랫동안 지속된다. 이로 인해 훈민정음의 사용은 한문 서적의 번역이나 시가의 표기 등에 국한된다. 속도는 느렸지만 훈민정음은 점차 평민들 사이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며 온 국민의 문자로서의 지위는 19세기와 20세기 교체기에 확립된다.
참고문헌
- 이기문·이호권(2017). 국어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1.10
  • 저작시기202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18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