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진단명
2. 정의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Ⅱ. 자료수집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별 문진
5) 입원 중의 투약과 처치
i. 수혈
ii. 수혈 시 간호
6) 진단검사
i. 종합적 의의
III. 간호문제 목록
IV.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1. 저알부민혈증과 관련된 체액 과다
2. 감염과 관련된 불안정한 발열
3. 질병과 관련된 통증
Ⅴ. 참고문헌
1. 진단명
2. 정의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Ⅱ. 자료수집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별 문진
5) 입원 중의 투약과 처치
i. 수혈
ii. 수혈 시 간호
6) 진단검사
i. 종합적 의의
III. 간호문제 목록
IV.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1. 저알부민혈증과 관련된 체액 과다
2. 감염과 관련된 불안정한 발열
3. 질병과 관련된 통증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43
albumin 감소▼
4월 9일: 2.3, 4월 12일: 2.1, 4월 13일: 2.4
Hb 감소▼
4월 9일: 9.8, 4월 12일: 7.6, 4월 13일: 10.2
간호진단
저알부민혈증과 관련된 체액 과다
간호목표
장기목표: 2주 내에 I/O 수치가 +500이하로 측정된다.
단기목표: 5일 이내에 Na 수치가 정상범위로 측정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체액배출을 도와주는 이뇨제를
투여한다.
3. 저염식이를 제공한다.
4. 혈중 전해질을 사정한다.
5. 수분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6. 처방에 따라 알부민을 투여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것은 대상자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관찰하고 위험요인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2. 체내에 불필요한 체액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3. 저염식이는 체액저류를 예방한다.
4. 체내 수분 불균형의 지표가 된다.
5. 체내 수분 불균형의 지표가 된다.
간호중재
저염식이를 제공한다.
알레르기 제한식이(아침)를 제외한 나머지 식이는 전부 저염식이를 제공함
2. 혈중 전해질을 사정한다.
BUN 4월 9일: 12.0, 4월 12일: 9.7, 4월 13일: 16.0
3. 수분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I/O 5월 2일: 3854/3685, 5월 8일: 4166/3950, 5월 14일: 3866/3420
4. 처방에 따라 알부민을 투여한다.
SK Albumin 20% inj.(100ML)를 IVD로 투여함
평가
달성
장기목표: 5월 2일과 5월 8일에 I/O 수치가 +169, +216으로 +500이하로 측정되었다.
단기목표: 4월 17일에 Na 수치가 142로 정상범위 이내로 측정되었다.
2) 감염과 관련된 불안정한 발열
2021년 6월 4일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계속 덥고 입안이 타네요... 창문 좀 더 열어주실래요?
객관적 자료
BT 상승
4월 9일: 37.5℃, 4월 12일: 38.3℃, 5월 28일: 37.8℃, 6월 1일: 39.7℃
간호진단
감염과 관련된 불안정한 발열
간호목표
장기목표: 3일 이내 대상자가 고체온으로 인한 탈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단기목표: 6시간 이내에 대상자의 체온을 37.5도 미만으로 유지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고열 발생의 원인을 찾는다.
2.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체온, 맥박, 혈압, 호흡수를 측정한다.
3. 오한이나 발한이 없을 경우 얼음팩을 제공한다.
4.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준다.
5. 처방된 해열제(denogan)를 투여한다.
1. 원인(감염 등)을 찾아 해결하기 위함이다.
2. 고체온은 오한과 함께 갑작스럽게 발병하며, 급속한 발열 또는 빈호흡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3. 얼음팩으로 열감을 내리기 위함이다.
4. 찬바람을 쐬어 발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고열 발생의 원인을 찾는다.
-대상자는 현재 괴사성 근막염을 진단받고 candida albicans에 감염되어 있는 상태로, 고열 발생의 원인이 감염임을 발견함
2. 오한이나 발한이 없을 경우 얼음팩을 제공한다.
-병실에 있는 냉동고에서 얼음팩을 꺼내 제공함
3.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준다.
-대상자의 부탁으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주었으며, 스스로 창문을 열어놓고 있는 모습 또한 여러 번 관찰됨
4. 처방된 해열제(denogan)를 투여한다.
-Denogan inj. 2g을 IVSM으로 투여함
평가
부분달성
장기목표: 대상자는 탈수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달성)
단기목표 (미달성)
4월 12일: 38.3℃37.2℃ (O),
5월 28일: 37.8℃37.0℃ (O),
6월 1일: 39.7℃37.9℃ (X)
3) 질병과 관련된 통증
2021년 6월 4일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아아악! 너무 아파요!
선생님, 진통제 좀 더 놓아주실 수 있나요?
객관적 자료
NRS 6점(4월 9일, 4월 13일, 4월 15일, 5월 10일, 5월 28일)
얼굴을 찡그리고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장기목표: 일주일 내에 대상자가 PCA 작동 방법이나 부작용을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단기목표: 24시간 내에 NRS 점수가 3점 이하로 측정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PCA 전후 통증의 유형을 통증측정도구(NRS)를 사용하여 통증의 양상을 사정한다.
2. PCA 사용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3. PCA를 중단하기 전 대상자의 지속적인 진통제 요구를 평가한다.
4.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진통제 사용의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한다.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대처방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2. 대상자가 스스로 통증 조절을 함으로써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3. 통증의 강도를 사정하고, 진통제의 과도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1. PCA 전후 통증의 유형을 통증측정도구(NRS)를 사용하여 통증의 양상을 사정한다.
NRS
4월 13일 6점2점, 4월 15일 6점2점,
5월 10일 6점2점, 5월 28일 6점2점
2. PCA 사용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대상자는 PCA 방법에 대해 교육받았으며, 스스로 버튼을 누르려다가 줄이 꼬여서 푸는 모습을 관찰함
3.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진통제 사용의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한다.
Tylenol 8hr ER tab 1300mg을 PO로 투여함
평가
달성
장기목표: 대상자가 일주일 이내에 PCA 부작용인 오심과 구토에 대해 말하였으며, PCA 작동 방법을 손짓으로 시범을 보였다.
단기목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기 전에 6점이었던 NRS 점수가 진통제를 투여한 후 2점으로 측정되었다.
Ⅴ. 참고문헌
양선희(2020), 기본간호학1, 현문사
황옥남, 유양숙 외 3명(2018),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이은희, 김유정 외 8명(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이창대 외 5명(1996), 『괴사성 근막염: 단순 촬영과 CT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5(5), 805-810
주석규 외 4명(2002), 『하지에 발생한 괴사성 근막염』,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7(6), 822-824
albumin 감소▼
4월 9일: 2.3, 4월 12일: 2.1, 4월 13일: 2.4
Hb 감소▼
4월 9일: 9.8, 4월 12일: 7.6, 4월 13일: 10.2
간호진단
저알부민혈증과 관련된 체액 과다
간호목표
장기목표: 2주 내에 I/O 수치가 +500이하로 측정된다.
단기목표: 5일 이내에 Na 수치가 정상범위로 측정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체액배출을 도와주는 이뇨제를
투여한다.
3. 저염식이를 제공한다.
4. 혈중 전해질을 사정한다.
5. 수분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6. 처방에 따라 알부민을 투여한다.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것은 대상자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관찰하고 위험요인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2. 체내에 불필요한 체액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3. 저염식이는 체액저류를 예방한다.
4. 체내 수분 불균형의 지표가 된다.
5. 체내 수분 불균형의 지표가 된다.
간호중재
저염식이를 제공한다.
알레르기 제한식이(아침)를 제외한 나머지 식이는 전부 저염식이를 제공함
2. 혈중 전해질을 사정한다.
BUN 4월 9일: 12.0, 4월 12일: 9.7, 4월 13일: 16.0
3. 수분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
I/O 5월 2일: 3854/3685, 5월 8일: 4166/3950, 5월 14일: 3866/3420
4. 처방에 따라 알부민을 투여한다.
SK Albumin 20% inj.(100ML)를 IVD로 투여함
평가
달성
장기목표: 5월 2일과 5월 8일에 I/O 수치가 +169, +216으로 +500이하로 측정되었다.
단기목표: 4월 17일에 Na 수치가 142로 정상범위 이내로 측정되었다.
2) 감염과 관련된 불안정한 발열
2021년 6월 4일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계속 덥고 입안이 타네요... 창문 좀 더 열어주실래요?
객관적 자료
BT 상승
4월 9일: 37.5℃, 4월 12일: 38.3℃, 5월 28일: 37.8℃, 6월 1일: 39.7℃
간호진단
감염과 관련된 불안정한 발열
간호목표
장기목표: 3일 이내 대상자가 고체온으로 인한 탈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단기목표: 6시간 이내에 대상자의 체온을 37.5도 미만으로 유지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고열 발생의 원인을 찾는다.
2.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체온, 맥박, 혈압, 호흡수를 측정한다.
3. 오한이나 발한이 없을 경우 얼음팩을 제공한다.
4.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준다.
5. 처방된 해열제(denogan)를 투여한다.
1. 원인(감염 등)을 찾아 해결하기 위함이다.
2. 고체온은 오한과 함께 갑작스럽게 발병하며, 급속한 발열 또는 빈호흡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3. 얼음팩으로 열감을 내리기 위함이다.
4. 찬바람을 쐬어 발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고열 발생의 원인을 찾는다.
-대상자는 현재 괴사성 근막염을 진단받고 candida albicans에 감염되어 있는 상태로, 고열 발생의 원인이 감염임을 발견함
2. 오한이나 발한이 없을 경우 얼음팩을 제공한다.
-병실에 있는 냉동고에서 얼음팩을 꺼내 제공함
3.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준다.
-대상자의 부탁으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주었으며, 스스로 창문을 열어놓고 있는 모습 또한 여러 번 관찰됨
4. 처방된 해열제(denogan)를 투여한다.
-Denogan inj. 2g을 IVSM으로 투여함
평가
부분달성
장기목표: 대상자는 탈수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달성)
단기목표 (미달성)
4월 12일: 38.3℃37.2℃ (O),
5월 28일: 37.8℃37.0℃ (O),
6월 1일: 39.7℃37.9℃ (X)
3) 질병과 관련된 통증
2021년 6월 4일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아아악! 너무 아파요!
선생님, 진통제 좀 더 놓아주실 수 있나요?
객관적 자료
NRS 6점(4월 9일, 4월 13일, 4월 15일, 5월 10일, 5월 28일)
얼굴을 찡그리고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장기목표: 일주일 내에 대상자가 PCA 작동 방법이나 부작용을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단기목표: 24시간 내에 NRS 점수가 3점 이하로 측정된다.
간호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PCA 전후 통증의 유형을 통증측정도구(NRS)를 사용하여 통증의 양상을 사정한다.
2. PCA 사용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3. PCA를 중단하기 전 대상자의 지속적인 진통제 요구를 평가한다.
4.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진통제 사용의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한다.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대처방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2. 대상자가 스스로 통증 조절을 함으로써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3. 통증의 강도를 사정하고, 진통제의 과도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1. PCA 전후 통증의 유형을 통증측정도구(NRS)를 사용하여 통증의 양상을 사정한다.
NRS
4월 13일 6점2점, 4월 15일 6점2점,
5월 10일 6점2점, 5월 28일 6점2점
2. PCA 사용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대상자는 PCA 방법에 대해 교육받았으며, 스스로 버튼을 누르려다가 줄이 꼬여서 푸는 모습을 관찰함
3.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진통제 사용의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한다.
Tylenol 8hr ER tab 1300mg을 PO로 투여함
평가
달성
장기목표: 대상자가 일주일 이내에 PCA 부작용인 오심과 구토에 대해 말하였으며, PCA 작동 방법을 손짓으로 시범을 보였다.
단기목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기 전에 6점이었던 NRS 점수가 진통제를 투여한 후 2점으로 측정되었다.
Ⅴ. 참고문헌
양선희(2020), 기본간호학1, 현문사
황옥남, 유양숙 외 3명(2018),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이은희, 김유정 외 8명(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이창대 외 5명(1996), 『괴사성 근막염: 단순 촬영과 CT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5(5), 805-810
주석규 외 4명(2002), 『하지에 발생한 괴사성 근막염』,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7(6), 822-82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