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순서는 이러하고 세부내용으로 검진, 검사내용, 문헌고찰 등 들어가있습니다.
본론
결론
순서는 이러하고 세부내용으로 검진, 검사내용, 문헌고찰 등 들어가있습니다.
본문내용
관절구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③ 하루에 두 번씩 모든 관절에 대해서 능동적 관절 운동을 실시하고, 능동적 운동이 불 가능하면 수동적인 관절 운동(ROM)을 수행한다.
<근거> 이환된 부위의 관절구축 방지위해, 이환되지 않은 부위도 근육운동의 평형성 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④ 매일 Wheel Chair ambulation을 하도록 격려한다.
<근거> 근육과 관절을 사용하여 재활치료하기 위함이다.
ㆍ진단적 계획
① 관절구축 예방위해 매일 ROM을 사정한다.
<근거> 그 동안의 치료 효과 파악과 재활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② 기능적 활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기능수준을 확인한다.
<근거> 그 동안의 치료 효과 파악과 재활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③ 매일 부동 합병증(구축, 정맥울혈, 혈전증, 폐렴, 비뇨기계 염증) 징후를 관찰한다.
<근거> 그 동안의 치료 효과 파악과 재활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ㆍ교육적 계획
① 베개, 타월 등을 사용하여 관절을 기능적 체위를 유지할 것을 교육한다.
<근거> 관절 구축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② 가능한 한 움직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많이 움직이도록 권유한다.
<근거> 오랫동안 몸을 움직이지 않으면 근 위축이 생겨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
③ caregiver에게 등척성 운동(대퇴사두근 힘주기, 대둔근 힘주기 등) 운동을 가르치고 도와준다.
<근거> 압박을 경감시키고, 관절의 경축과 근육의 구축을 예방한다.
☞ 참고: 재활치료는 등척성 운동을 먼저 실시하며 점차 등장성 운동과 복합적으로 실시한다.
간호
수행
ㆍ근 위축을 예방하고 빠른 회복을 위하여 침대에 있을 때에도 관절 운동을 하는 등 가 능한 한 많이 움직일 것을 권유하였다.
ㆍ환자가 체위를 바꾸는 것을 도왔다.
ㆍcaregiver에게 등척성 운동(대퇴사두근 힘주기, 대둔근 힘주기 등)을 교육하였다.
간호
평가
ㆍ원래 침대에만 있었으나 요즘은 wheel chair로 2~3번 정도 운동 한다고 함.
ㆍ침대에 있을 때에도 보호자에게 발마사지를 자꾸 해달라고 하는 등 움직이려고 노력한 다고 하였다.
→ 부분적으로 목표 달성되었고, 중재는 계속 요구된다(11/8).
#2) 신경계의 변화: 근력의 감소와 관련된 운동장애 (Date: 11. 7 / HOD #12)
#3) 신경계의 변화: 구음장애와 관련된 의사소통장애 (Date: 11. 7 / HOD #12)
객관적 자료
ㆍdysarthria 심함: 의견을 말로 표현하는데 어려움.
ㆍtongue deviation to Rt.
ㆍDx. Lt.pontine infarction (좌뇌반구에는 언어중추가 있음.)
ㆍCT결과 → Lt. ICA 약 50%의 stenosis
ㆍFIM 52점(126점 만점): communication의 expression 영역이 4점(7점 만점).
ㆍ면담시 대상자가 말하는 것을 못 알아들어 보호자에게 물어봄.
ㆍ틀니도 하고 있고 발음을 정확히 못한다고 보호자가 말함.
ㆍ말씀하시는 건 거의 가까운 가족들만 알아듣는다고 보호자가 말함.
간호진단
신경계의 변화: 구음장애와 관련된 의사소통장애 (Date: 11. 7 / HOD #12)
간호 목표
ㆍ장기목표 : 대상자는 1달 이내에 의사소통수준에 만족함을 표현한다.
ㆍ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2주일 이내에 가족이 없이 타인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②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FIM의 communication의 expression 영역점수가 4점에서 6 점으로 상승한다.
③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보호자의 해석 없이 검진자와 10분 이상 대화한다.
간호 계획
치료적 계획
① 대상자가 의사소통을 시도하도록 격려하고 말로 자신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근거> 비언어적 의사소통보다는 언어적 의사소통을 격려하기 위함이다.
② 천천히 말하도록 하고 문장이나 단어를 구성하는데 집중하도록 격려한다.
<근거> 대상자의 회복의 의지를 복돋기 위함이다.
③ 발음이 잘 안되어도 지속적으로 의사소통 하려고 노력하고 반복 연습하도록 한다.
<근거> 의사소통 하지 않으면 기능이 점차 쇠퇴할 수 있다.
④ 환자가 휴식중이고 피곤하지 않을 때 연습하도록 한다.
<근거> 피곤할 때는 문장이나 단어구성에 집중하지 못할 수 있다.
⑤ 대상자의 과거 관심사와 습관을 파악하여 그것에 대하여 의사소통한다.
<근거> 긍정적 자극과 정서적 지지를 주기 위함이다.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의사소통상태를 매일 사정하여 기록한다.
<근거> 언어재활의 효과 평가와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② 대상자의 요구를 예상하기 위해 잘 관찰한다.
<근거>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의사소통을 계속해서 시도하기 위함이다.
교육적 계획
① caregiver에게 말을 천천히 대상자가 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하고 가능한 많은 실마 리를 줄 것을 교육한다.
<근거> 대상자의 감정, 요구를 표현하게 함으로써 의사소통을 돕는다.
간호
수행
ㆍ면담 시 대상자의 요구를 예상하기 위해 관찰하며 천천히 말하도록 격려하였다.
ㆍ보호자에게 발음이 잘 안되어도 지속적으로 의사소통 하려는 시도가 중요함과 반복 연 습할 것을 격려하였다.
간호
평가
ㆍ대상자와의 면담 시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한 말의 의미를 계속 물어보아야 했다.
→ 목표 달성되지 않았고, 중재는 계속 요구된다(11/8).
<참고문헌>
ㆍ김조자外 (2003). 성인간호학3. 서울: 현문사.
ㆍ전시자外 (2005). 성인간호학 하. 서울: 현문사.
ㆍ김금순外 (1996). 신경계간호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ㆍ이강이外 (2001). 건강사정. 서울: 현문사.
ㆍ강구일外 (2002). 간추린 약리학. 서울: 정문각.
ㆍ대한병리학회 대구, 경북지부학회(2002). 간추린 병리학. 서울:정문각.
ㆍ신문균外 (2002). 인체해부학. 서울:현문사.
ㆍ김강미자外 (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ㆍKim,M.J., McFarland,G.K. & McLane,A.M.(1997), Pocket Guide to NURSING DIAGNOSES(7th EDITION), Mosby.
<참고 웹사이트>
www.druginfo.co.kr
www.kimsonline.co.kr
③ 하루에 두 번씩 모든 관절에 대해서 능동적 관절 운동을 실시하고, 능동적 운동이 불 가능하면 수동적인 관절 운동(ROM)을 수행한다.
<근거> 이환된 부위의 관절구축 방지위해, 이환되지 않은 부위도 근육운동의 평형성 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④ 매일 Wheel Chair ambulation을 하도록 격려한다.
<근거> 근육과 관절을 사용하여 재활치료하기 위함이다.
ㆍ진단적 계획
① 관절구축 예방위해 매일 ROM을 사정한다.
<근거> 그 동안의 치료 효과 파악과 재활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② 기능적 활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기능수준을 확인한다.
<근거> 그 동안의 치료 효과 파악과 재활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③ 매일 부동 합병증(구축, 정맥울혈, 혈전증, 폐렴, 비뇨기계 염증) 징후를 관찰한다.
<근거> 그 동안의 치료 효과 파악과 재활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ㆍ교육적 계획
① 베개, 타월 등을 사용하여 관절을 기능적 체위를 유지할 것을 교육한다.
<근거> 관절 구축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② 가능한 한 움직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많이 움직이도록 권유한다.
<근거> 오랫동안 몸을 움직이지 않으면 근 위축이 생겨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
③ caregiver에게 등척성 운동(대퇴사두근 힘주기, 대둔근 힘주기 등) 운동을 가르치고 도와준다.
<근거> 압박을 경감시키고, 관절의 경축과 근육의 구축을 예방한다.
☞ 참고: 재활치료는 등척성 운동을 먼저 실시하며 점차 등장성 운동과 복합적으로 실시한다.
간호
수행
ㆍ근 위축을 예방하고 빠른 회복을 위하여 침대에 있을 때에도 관절 운동을 하는 등 가 능한 한 많이 움직일 것을 권유하였다.
ㆍ환자가 체위를 바꾸는 것을 도왔다.
ㆍcaregiver에게 등척성 운동(대퇴사두근 힘주기, 대둔근 힘주기 등)을 교육하였다.
간호
평가
ㆍ원래 침대에만 있었으나 요즘은 wheel chair로 2~3번 정도 운동 한다고 함.
ㆍ침대에 있을 때에도 보호자에게 발마사지를 자꾸 해달라고 하는 등 움직이려고 노력한 다고 하였다.
→ 부분적으로 목표 달성되었고, 중재는 계속 요구된다(11/8).
#2) 신경계의 변화: 근력의 감소와 관련된 운동장애 (Date: 11. 7 / HOD #12)
#3) 신경계의 변화: 구음장애와 관련된 의사소통장애 (Date: 11. 7 / HOD #12)
객관적 자료
ㆍdysarthria 심함: 의견을 말로 표현하는데 어려움.
ㆍtongue deviation to Rt.
ㆍDx. Lt.pontine infarction (좌뇌반구에는 언어중추가 있음.)
ㆍCT결과 → Lt. ICA 약 50%의 stenosis
ㆍFIM 52점(126점 만점): communication의 expression 영역이 4점(7점 만점).
ㆍ면담시 대상자가 말하는 것을 못 알아들어 보호자에게 물어봄.
ㆍ틀니도 하고 있고 발음을 정확히 못한다고 보호자가 말함.
ㆍ말씀하시는 건 거의 가까운 가족들만 알아듣는다고 보호자가 말함.
간호진단
신경계의 변화: 구음장애와 관련된 의사소통장애 (Date: 11. 7 / HOD #12)
간호 목표
ㆍ장기목표 : 대상자는 1달 이내에 의사소통수준에 만족함을 표현한다.
ㆍ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2주일 이내에 가족이 없이 타인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②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FIM의 communication의 expression 영역점수가 4점에서 6 점으로 상승한다.
③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보호자의 해석 없이 검진자와 10분 이상 대화한다.
간호 계획
치료적 계획
① 대상자가 의사소통을 시도하도록 격려하고 말로 자신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근거> 비언어적 의사소통보다는 언어적 의사소통을 격려하기 위함이다.
② 천천히 말하도록 하고 문장이나 단어를 구성하는데 집중하도록 격려한다.
<근거> 대상자의 회복의 의지를 복돋기 위함이다.
③ 발음이 잘 안되어도 지속적으로 의사소통 하려고 노력하고 반복 연습하도록 한다.
<근거> 의사소통 하지 않으면 기능이 점차 쇠퇴할 수 있다.
④ 환자가 휴식중이고 피곤하지 않을 때 연습하도록 한다.
<근거> 피곤할 때는 문장이나 단어구성에 집중하지 못할 수 있다.
⑤ 대상자의 과거 관심사와 습관을 파악하여 그것에 대하여 의사소통한다.
<근거> 긍정적 자극과 정서적 지지를 주기 위함이다.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의사소통상태를 매일 사정하여 기록한다.
<근거> 언어재활의 효과 평가와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
② 대상자의 요구를 예상하기 위해 잘 관찰한다.
<근거>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의사소통을 계속해서 시도하기 위함이다.
교육적 계획
① caregiver에게 말을 천천히 대상자가 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하고 가능한 많은 실마 리를 줄 것을 교육한다.
<근거> 대상자의 감정, 요구를 표현하게 함으로써 의사소통을 돕는다.
간호
수행
ㆍ면담 시 대상자의 요구를 예상하기 위해 관찰하며 천천히 말하도록 격려하였다.
ㆍ보호자에게 발음이 잘 안되어도 지속적으로 의사소통 하려는 시도가 중요함과 반복 연 습할 것을 격려하였다.
간호
평가
ㆍ대상자와의 면담 시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한 말의 의미를 계속 물어보아야 했다.
→ 목표 달성되지 않았고, 중재는 계속 요구된다(11/8).
<참고문헌>
ㆍ김조자外 (2003). 성인간호학3. 서울: 현문사.
ㆍ전시자外 (2005). 성인간호학 하. 서울: 현문사.
ㆍ김금순外 (1996). 신경계간호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ㆍ이강이外 (2001). 건강사정. 서울: 현문사.
ㆍ강구일外 (2002). 간추린 약리학. 서울: 정문각.
ㆍ대한병리학회 대구, 경북지부학회(2002). 간추린 병리학. 서울:정문각.
ㆍ신문균外 (2002). 인체해부학. 서울:현문사.
ㆍ김강미자外 (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ㆍKim,M.J., McFarland,G.K. & McLane,A.M.(1997), Pocket Guide to NURSING DIAGNOSES(7th EDITION), Mosby.
<참고 웹사이트>
www.druginfo.co.kr
www.kimsonline.co.kr
추천자료
신장암 케이스 스터디 (Renal cell carcinoma)
성인간호학 케이스, 담관암 케이스, 5가지 간호진단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추간판탈출증 HIVD 성인간호학 A+ case study
성인간호학케이스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 통증, 피부손상위험성, 낙상위험성
성인간호학 대장암외과 실습케이스스터디 자료입니다
성인간호학 급성담낭염 실습케이스 스터디 자료입니다
a++++ 칭찬받은 과제 성인간호학 수술실 or 케이스 실습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복강...
[간호과정 4개] 당뇨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