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계획
2.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문헌고찰
1) 다문화가정 청소년 특성
2)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
3) 다문화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
4) 문화수용과 학교부적응의 관계
4. 참고문헌
2.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문헌고찰
1) 다문화가정 청소년 특성
2)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
3) 다문화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
4) 문화수용과 학교부적응의 관계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김혜미원서진최선화, 2011).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사용의 어려움은 친구로 부터 차별의 원인이 되어 심리적 적응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이영주, 2009) 문제행동의 원인(이덕희, 2010)이 된다는 점을 보고하고 있다.
3) 다문화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
다문화가족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학교폭력은 우울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간주된다(김정민 외, 2015).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된 연구에서도 학교폭력의 피해자는 일반 가정청소년 보다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더 많은 경험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오승환, 2016)이로 인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살계획이나 자살시도 경험이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하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김정민 외, 2015).
이상과 같이 청소년기에는 학교에서의 시간이 가정에서의 시간보다 더 많고, 친구의 중요성이 매우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생활이 우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경우외모차별, 낮은 언어능력,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학교에서의 폭력피해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우울을 가중시키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4) 문화수용과 학교부적응의 관계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비(非)다문화청소년과 다르게 두 가지 이상의 문화를 경험하게 되며 언어, 가치관, 문화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차이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이중문화를 어떠한 태도로 수용하느냐에 따라 적응 결과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Berry, 2006). 국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외국계 부모님의 문화와 주류문화를 모두 이중으로 수용하게 되면 자신의 존재를 가치 있게 여기고 차별에 의한 영향도 덜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rown & Chu, 2012). 즉 이중문화 환경에 있는 경우 단일문화 환경에 있는 사람들보다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다는 우호적인 관점이 보고되고 있다. 외국계 부모님의 문화와 주류문화를 모두 수용하여 균형있게 유지하는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성취와 같은 학교적응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도 제시되고 있다. 또한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임을 여러 국외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내 선행연구 결과에서도 이중문화를 모두 수용하는 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적된다.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교우관계와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신윤진, 윤찬영, 2010)를 통해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는 학교부적응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예측할 수 있으며, 사회문화적 적응의 산물로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4. 참고문헌
김소연, 전종설. (2015).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공격성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김지혜. (2019).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박희훈, 오성배. (2014).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급별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송아랑, 신효정. (2015). 학교적응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조절효과. 발달지원연구.
김민경김희영. 2015.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부모와의 관계, 대처전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김석준. 2015.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특성이 차별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구』.
박명숙송사리.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행경험과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 다문화청소년의 학교폭력경험
다문화가족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학교폭력은 우울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간주된다(김정민 외, 2015).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된 연구에서도 학교폭력의 피해자는 일반 가정청소년 보다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더 많은 경험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오승환, 2016)이로 인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살계획이나 자살시도 경험이일반가정 청소년에 비하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김정민 외, 2015).
이상과 같이 청소년기에는 학교에서의 시간이 가정에서의 시간보다 더 많고, 친구의 중요성이 매우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생활이 우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경우외모차별, 낮은 언어능력,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학교에서의 폭력피해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우울을 가중시키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4) 문화수용과 학교부적응의 관계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비(非)다문화청소년과 다르게 두 가지 이상의 문화를 경험하게 되며 언어, 가치관, 문화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차이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이중문화를 어떠한 태도로 수용하느냐에 따라 적응 결과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Berry, 2006). 국외 연구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외국계 부모님의 문화와 주류문화를 모두 이중으로 수용하게 되면 자신의 존재를 가치 있게 여기고 차별에 의한 영향도 덜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rown & Chu, 2012). 즉 이중문화 환경에 있는 경우 단일문화 환경에 있는 사람들보다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다는 우호적인 관점이 보고되고 있다. 외국계 부모님의 문화와 주류문화를 모두 수용하여 균형있게 유지하는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성취와 같은 학교적응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도 제시되고 있다. 또한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임을 여러 국외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내 선행연구 결과에서도 이중문화를 모두 수용하는 태도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적된다.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교우관계와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신윤진, 윤찬영, 2010)를 통해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는 학교부적응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예측할 수 있으며, 사회문화적 적응의 산물로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4. 참고문헌
김소연, 전종설. (2015).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공격성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김지혜. (2019).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박희훈, 오성배. (2014).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급별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송아랑, 신효정. (2015). 학교적응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조절효과. 발달지원연구.
김민경김희영. 2015.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부모와의 관계, 대처전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김석준. 2015.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특성이 차별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구』.
박명숙송사리.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행경험과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조사방법론 B형] 청소년 학교폭력과 관련한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계획서(서론, 문헌...
사회조사방법론 청소년 시민교육에 대한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계획서(서론, 문헌고찰, ...
사회조사방법론 B형 청소년 학교폭력과 관련한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계획서(서론, 문...
(사회조사방법론, B형) 부모와 관련한 주제(가정폭력, 부모교육, 양육태도, 부모-자녀 관계 ...
사회조사방법론B형) 청소년 학교폭력과 관련한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계획서(서론, 문헌고...
[사회조사방법론 A형 3학년] 학교폭력과 관련한 주제를 선정하여 연구계획서에 들어갈 서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