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교육과정][공통형, 지정형2] ➀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적 변화, 흐름 등을 ➁교육과정의 역사적 변화와 더불어 간단히 설명하시오. ➀교육과정 평가의 개념과 ➁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2 교육과정][공통형, 지정형2] ➀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적 변화, 흐름 등을 ➁교육과정의 역사적 변화와 더불어 간단히 설명하시오. ➀교육과정 평가의 개념과 ➁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➀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이나 사회적 변화, 흐름 등을 ➁교육과정의 역사적 변화와 더불어 간단히 설명하시오.
    1) 교육과정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학 이론, 사회적 변화, 흐름
       ① 사회학 이론
       ② 사회적 변화와 흐름
    2)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화와 더불어 설명
  2. ➀교육과정 평가의 개념과 ➁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2) 교육과정 평가 방법
       ① 학교 교육과정
       ② 유아 교육과정
       ③ 수행평가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제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기존의 표준화 검사나 측정 도구에만 의존하는 것을 넘어 유아를 실제적으로 이해하는 데 깊이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③ 수행평가
수행평가는 관련 있는 과제에 대해 유아나 학생들의 실제적인 수행을 검사하고 판단한다는 점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평가자는 학습자들이 수행하는 과정을 관찰하여 어떤 교육적인 판단을 하거나 학생들의 산출물을 판단한다. 수행평가는 비교적 폭넓은 용어로서 유아들이나 학생들에게 답이나 산출물을 만들어 냄으로써 그들의 지식이나 능력을 입증하도록 요구하는 다양한 전략들이 있으며, 다양한 접근 방식 때문에 수행평가는 여러 가지 용어들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대안적 평가, 직접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등의 용어가 그것인데, 이러한 용어들은 강조점이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전통적인 표준화 성취 검사의 대안이라는 점과 일상생활과 관련된 의미 있는 과제에 대해 학교 학생이나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아동의 수행을 직접 검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흔히 사용되는 수행평가형 방법으로는 서술형 검사, 논술형 검사, 구술시험, 토론법, 실기시험, 실험, 실습법, 면접법, 관찰법, 자기 평가 보고서법, 동료평가 보고서법, 연구보고서법, 프로젝트법, 포트폴리오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자기 나름의 세계를 재창조해 가는 과정을 강조하는 최근의 새로운 교수학습 이론에 힘입어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 사고기능을 신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기존의 교육과정 평가와 수행평가형 방법을 비교해 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분류
기존의 평가
수행평가
평가 목적
선발, 분류, 배치, 한 줄 세우기
지도, 조언, 개선, 여러 줄 세우기
평가 내용
단순 암기력이나 이해력
비판적ㆍ창의적 사고능력
평가 범위
결과로서의 지식
과정으로서의 지식+결과로서의 지식
평가 방법
선택형 지필 검사
그 외의 다양한 방법
평가 상황
인위적인 시험 상황
실제 상황이나 유사 모의 상황
평가 시기
학습활동이 종료되는 시점, 교수ㆍ학습과 평가활동 관리
학습활동의 모든 과정, 교수ㆍ학습과 평가활동 통합
평가방법의 성격
간접적(검사 위주)
직접적(관찰 위주)
수행평가는 교육과정의 달성 여부를 가능한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실제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직접적으로 평가를 해야 한다. 수행평가는 학습목표에 따라 학습을 한 후 평가를 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학생이 어떠한 학습목표를 얼마나 잘 성취했는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사실ㆍ정보ㆍ기능을 결과적으로 얼마나 성취했는지 뿐만 아니라 어떠한 방법이나 절차를 거쳐 그러한 성취를 이루었는가 하는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해 준다는 장점도 있다. 반면, 선택형 검사에 비해 채점 결과의 객관성, 정확성, 일관성이 떨어지고 준비에 따른 과중한 지식과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수행평가와 교수학습을 연계하는데 많은 준비가 필요하고, 평가시간이 과중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Ⅲ. 결 론
본문에서 살펴보았듯이 교육과정의 심리ㆍ사회학 이론과 사회적 변화는 교육과정의 역사에 잘 드러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교육과정 개발의 패러다임은 현재 학교 현장의 실천가들을 위한 매뉴얼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교육과정이라는 것을 학교 수업 현장을 이끌어나가기 위한 하나의 지침 및 안내서 정도의 수단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교육과정의 이해라는 패러다임의 역사를 보면 오늘날 교육과정을 공부한다는 것은 교육과정 분야에서 다양한 학자들이 펼치고 있는 다양한 담론과 관점을 토대로 이들의 견해를 기초로 교육에 관한 생각과 경험을 연구하고 발전시켜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의 평가 방법을 학교 교육과정과 유아교육과정, 그리고 이 두 교육과정에 동시적으로 적용되는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과 수많은 평가 방법들을 살펴본 결과, 발달 측면에서는 유아, 아동, 학생들이 연령에 맞게 발달하고 있는지 그리고 교육을 통해 아이들의 전인적인 성장과 발달에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잘 알 수 있었다. 교사 측면에서는 의사소통, 학급 운영 등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더 나은 교수학습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수업의 질적인 향상을 기할 수 있고, 부모 측면에서는 자녀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기관이나 학교 측면에서는 각 기관이 정하고 있는 교육의 목표가 제대로 달성되고 있는지,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에 보완할 점은 없는지,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교육과정이 이루어지는지 등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교육과정 평가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목표, 목적, 프로그램의 내용의 적합성에 초점을 맞추어 통합된 교육과정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Ⅳ. 참고 문헌
1. 홍순정ㆍ김재춘(2020), 교육과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 이경진(2020), 초등교사의 통합교과교육과정 운영과 영향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3. 박창언(2017), 현대 교육과정학, 학지사.
4. 김대현(2017), 교육과정의 의해, 학지사.
5. 김규태(2016), 최신 교육학의 이해, 양서원.
6. 김석진(2015), 특수교육 교사의 교육과정 접근법에 대한 인식과 수업문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7. 정향윤(2011), 실체적 구조’에 비추어 본 교육과정 연구 비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8. 김영미(2010),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 평가의 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9. 임수현(2010),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정지성(2008), 학교장이 인식하는 교육과정운영상의 갈등관리방안, 강원대학교 대학원.
11. 고석종(2007), 초등학교 학급교육과정 평가 준거에 따른 평가 실태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2. 최락원(2006), 학교교육과정평가체제 분석을 통한 교사평가체제 개선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2.03.17
  • 저작시기202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5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