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s
Ⅲ Major concepts & Definitions
Ⅳ Assumptions
Ⅴ Statements & Propositions
Ⅵ Evaluation
Ⅶ Applications
Ⅷ Strengths, weakness, prospect/potential
Ⅱ Backgrounds
Ⅲ Major concepts & Definitions
Ⅳ Assumptions
Ⅴ Statements & Propositions
Ⅵ Evaluation
Ⅶ Applications
Ⅷ Strengths, weakness, prospect/potential
본문내용
라 사회적 압력이나 행위 계획 책무 장려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
상황적 영향은 직접적으로 건강행위에 영향을 주고, 간접적으로도 행위 계획 책무를 통해 건강행위에 영향을 준다.
행위 계획 책무는 개인적으로 피할 수 없는 모순된 요구나 발생을 저지할 수 없는 모순된 선호가 없는 한 개인을 행위 속으로 그리고 행위를 통해 추진하게 한다.
Ⅵ Evaluation
명확성
모형에서 제시된 개념들은 실증적 증거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정의
개념들 간의 관계 그림으로 명확하게 나타남
간결성
이해하기 쉬움
요인들이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요인간의 관계는 이론적 주장에 명확하게 제시
요인들은 독립적으로 보이면서도 행위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 있음
일반성
개념들의 정의가 주로 건강에 대한 인지와 지각을 가지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중환자실 환자나 어린이들에게 일반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웠으나 2006년 10~16세를 대상으로 모델 검증 연구가 수행되었음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것의 여부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범위는 넓음
접근성
펜더와 다른 학자들에 의한 모델검증을 통하여 이 모델은 건강증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틀로 지지
계획적인 연구 프로그램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음
지역사회 맥락 내의 개인을 위한 근거기반, 효과적인 건강증진 전략에 대한 연구가 계속 연구의 중심이 될 것
중요성
건강증진에서의 환경의 역할을 고려하여 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냄
간호의 역할은 모든 연령대의 사람이 정치적, 사회적, 개인적 환경 하에서 건강증진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
미래의 기회에 대한 사고를 풍부하게 하고 건강예방, 건강증진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전자의료기록 등의 기술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
Ⅶ Applications
실무
교육
연구
전 생애에 걸쳐 다양한 상황 에서 적용 가능
→간호전문가에게
매우 적합
소비자들이 어떻게 개인의 건강을 획득하기 위해 동기 화 될 수 있는 가를 이해하 는 수단을 제공
→건강정책과 의료개혁서
간호해결책으로 기여
학부 교육에서 널리 사용,
미국의 대학원 간호교육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
건강평가, 정신간호 사회,
건강중심 코스 측면에서
점점 더 HPM이
간호수업에 포함되고 있음
연구를 위한 도구
많은 연구 보고서들이
참조의 틀로서 사용
건강행위 변화에 영향을
준다고 믿어지는
요소들의 개인적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
⇒ 건강증진모델의 가정에 따른 인간의 능동적인 통제력을 일깨워 주기 위해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인 기억력 및 인지력과 판단력 강화를 통해 정신병동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Ⅷ Strengths, weakness, prospect/potential
강점
전 생애에 걸쳐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간호사가 적용할 수 있고, 사람들은 점점 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기 때문에 어떠한 간호현장에서도 대상자들에 대한 건강사정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함
약점
개념들의 정의가 주로 건강에 대한 인지와 지각을 갖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정신병동과 같은 특수한 환경에서는 적용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된 사례가 드물지만 실무에 적용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간호교육에서도 중요하게 다룰 필요성이 있음
잠재성
많은 연구 보고서들이 참조의 틀로써 사용하고 있고 연구를 위한 도구로서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다양한 대상자에서 연구가 수행되고 보완된다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
더 나아가 건강증진은 앞으로 몇 년 안에 의료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
상황적 영향은 직접적으로 건강행위에 영향을 주고, 간접적으로도 행위 계획 책무를 통해 건강행위에 영향을 준다.
행위 계획 책무는 개인적으로 피할 수 없는 모순된 요구나 발생을 저지할 수 없는 모순된 선호가 없는 한 개인을 행위 속으로 그리고 행위를 통해 추진하게 한다.
Ⅵ Evaluation
명확성
모형에서 제시된 개념들은 실증적 증거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정의
개념들 간의 관계 그림으로 명확하게 나타남
간결성
이해하기 쉬움
요인들이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요인간의 관계는 이론적 주장에 명확하게 제시
요인들은 독립적으로 보이면서도 행위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 있음
일반성
개념들의 정의가 주로 건강에 대한 인지와 지각을 가지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중환자실 환자나 어린이들에게 일반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웠으나 2006년 10~16세를 대상으로 모델 검증 연구가 수행되었음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것의 여부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범위는 넓음
접근성
펜더와 다른 학자들에 의한 모델검증을 통하여 이 모델은 건강증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틀로 지지
계획적인 연구 프로그램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음
지역사회 맥락 내의 개인을 위한 근거기반, 효과적인 건강증진 전략에 대한 연구가 계속 연구의 중심이 될 것
중요성
건강증진에서의 환경의 역할을 고려하여 간호사와 대상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냄
간호의 역할은 모든 연령대의 사람이 정치적, 사회적, 개인적 환경 하에서 건강증진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
미래의 기회에 대한 사고를 풍부하게 하고 건강예방, 건강증진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전자의료기록 등의 기술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
Ⅶ Applications
실무
교육
연구
전 생애에 걸쳐 다양한 상황 에서 적용 가능
→간호전문가에게
매우 적합
소비자들이 어떻게 개인의 건강을 획득하기 위해 동기 화 될 수 있는 가를 이해하 는 수단을 제공
→건강정책과 의료개혁서
간호해결책으로 기여
학부 교육에서 널리 사용,
미국의 대학원 간호교육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
건강평가, 정신간호 사회,
건강중심 코스 측면에서
점점 더 HPM이
간호수업에 포함되고 있음
연구를 위한 도구
많은 연구 보고서들이
참조의 틀로서 사용
건강행위 변화에 영향을
준다고 믿어지는
요소들의 개인적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
⇒ 건강증진모델의 가정에 따른 인간의 능동적인 통제력을 일깨워 주기 위해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인 기억력 및 인지력과 판단력 강화를 통해 정신병동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Ⅷ Strengths, weakness, prospect/potential
강점
전 생애에 걸쳐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간호사가 적용할 수 있고, 사람들은 점점 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기 때문에 어떠한 간호현장에서도 대상자들에 대한 건강사정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함
약점
개념들의 정의가 주로 건강에 대한 인지와 지각을 갖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정신병동과 같은 특수한 환경에서는 적용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된 사례가 드물지만 실무에 적용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간호교육에서도 중요하게 다룰 필요성이 있음
잠재성
많은 연구 보고서들이 참조의 틀로써 사용하고 있고 연구를 위한 도구로서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다양한 대상자에서 연구가 수행되고 보완된다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
더 나아가 건강증진은 앞으로 몇 년 안에 의료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