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란
1) 사물인터넷의 정의
2) 사물인터넷 요소기술
3) 사물인터넷의 현황
4) 사물인터넷의 기술 동향
(1) 스마트 디바이스
(2) 진화된 네트워크
(3) 클라우드 컴퓨팅
(4) 빅 데이터 분석
2. 사물인터넷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 기술
1) 블루투스
2) 클라우드
3) 빅 데이터(Big Data)
4) 가시광 통신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5) NB-IoT
6) CoAP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란
1) 사물인터넷의 정의
2) 사물인터넷 요소기술
3) 사물인터넷의 현황
4) 사물인터넷의 기술 동향
(1) 스마트 디바이스
(2) 진화된 네트워크
(3) 클라우드 컴퓨팅
(4) 빅 데이터 분석
2. 사물인터넷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 기술
1) 블루투스
2) 클라우드
3) 빅 데이터(Big Data)
4) 가시광 통신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5) NB-IoT
6) CoAP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며 부가 및 확장 보안 부분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의 사물 인터넷 관련 기업들이 CoAP 구현을 완료하였고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 통신 표준 단체인 ETSI에서 CoAP Plugtest라는 상용 운영성 시험을 개최하여 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CoAP는 IP 계층 위에 UDP 트랜스포트 계층을 가정하고 있지만 하위 계층과 독립적으로 설계되어 있고 다른 네트워크 계층 및 트랜스포트 계층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 CoAP는 작은 메시지 크기 및 신속한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바이너리 코딩 방식을 사용한다. CoAP는확인 메시지를 받아야지만 재전송을 멈추는 확인형 메시지와 응답이 오지 않더라도 상관없는 비확인형 메시지를 지원한다.
CoAP 이외에 oneM2M에서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서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가 있다. MQTT는 IBM과 Eurotech(Arcom)에 의해 1999년 최초 발표가 이루어진 후10년 이상 유지 및 발전시킨 프로토콜이다. 리소스 점유율을 최소화하고 저속이고 품질이 낮은 네트워크 장애와 단절에 대비하여 신뢰성 있는 메시징 전달을 위해 개발되었다. 센서 및 장치, 모바일 기기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저전력 및 저사양의 다양한 기기가 연결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최적의 프로토콜로 인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민간 표준화 기구인 OASIS에서 사물 간 인터넷 통신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선정하였다. 2012년 IBM Hursley 연구소에서 MQTT 성능 및 확장성 테스트를 한 결과 한 대의 서버(Systemx3650 M3 Xeon® 5660 2.80GHz x 12Core with 32GB RAM on 10Gbit Ethernet)에 약 240,000개의 클라이어트를 동시에 연결하고 초당 480개(메시지 당 200bytes 크기를 갖음)의 메시지를 송수신 하였으며 서버는 5%미만의 CPU를 점유를 보였다. 현재 페이스북 메신저에 사용되고 있으며 페이스북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메신저 사용자는 350,000,000이다. MQTT 프로토콜은 www.mqtt.org에서 스펙 및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공개하고 있으며 C/C++, Java,안드로이드, 라즈베리파이, 아두이노 등 다양한 형태의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있다.
3. 시사점
사물인터넷이란 모든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직접 통신으로 초연결시대를 구현하는 미래 인프라 및 서비스이다. 사물인터넷이 연결하는 초연결시대에는 삶의 질 향상과 생산성 향상이 주목적으로 데이터 센싱 기반의 간헐적 발생하는 소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으로 서비스를 구현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의 특성으로 인해 사회와 산업 전반의 인프라, 인류와 지구를 위한 중추 신경계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1세기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는 사물인터넷은 향후 시장의 규모는 기존 이동통신시장의 약 10배 이상이 되며,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사물인터넷은 크게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IoT와 비셀룰러 기반의 IoT로 대분된다. 전자의 경우는 배터리 수명, 모듈가격이 고가인 점, 셀룰러 모뎀의고가 라이선스 문제로 인한 진입장벽 때문에 개발 회사의 저변이 다양하지 못한 점, 모뎀칩의 버전 변경에 따라 새롭게 구현해야 하므로 제품 수명이 짧은점, 이동통신사업자의 개개 모듈별 비싼 월정료 때문에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마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태그의 경우처럼, 태그 가격때문에 배보다 배꼽이 커서, 특정 분야 서비스를 제외하고는 비즈니스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경우와 유사하다. 후자도 센서를 기반으로 한 RFID/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시절을 10여년 겪어 오면서 모듈 가격문제, 배터리 수명문제, 통신거리 문제, 정책이나 개발회사의 거품문제 등으로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수직적인 마켓에서, 응용분야 별로, 독립적으로, 느리게 발전되어 왔다.” 사물인터넷 기술별 분석결과에 따르면 각각의 기술이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국내외 이동통신사업자는 추가적인 망 구축 없이 기존 LTE망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NB-IoT 반대진영의 사물인터넷(SigFox, LoRa) 통신방식보다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에 관하여 조사하고 사물인터넷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 기술에 관하여 서술해 보았다. 새롭게 등장한 기술이 아니라 기존의 기술에서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몇 가지 기술 혁신을 통해서 기존의 가정용 인터넷과 모바일을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시장은 통신회사에서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며,초기의 사물인터넷에 과도한 가격을 부여해서 소비자의 동기부여를 감소시키는 효과보다 공급을 통한 수요를 창출 할 수 있는 방안을 확보하고 기존의 서비스로 충분히 확보되어 있는 인프라를 통해 가정용 인터넷서비스와 사물인터넷의 융합을 진행한다면 통신사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재고 방안으로 높은 가치를 창출하고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김종덕(2014)사물인터넷 시대의 도래 :현황과 전망,텔코경영연구원.
이형규 (2014),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 동향 및 발전방향.
김현욱, 5G 이동통신 기술과 서비스, 동일출판사, 252-272, 2019.
박유경, 유성민. “IoT 기반의 스마트시티 기술 서비스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지, 13(2), 31-37, 2015.
박용석,강경철,이상우(2010). 통신 결합서비스 채택 요인 분석에 따른 마케팅적 함의.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박유미, 금창섭, 유현경, 배현주, “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기술 동향”, 전자통신연구원(ETRI),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5권 제6호, 2010.
고석갑, 오승훈, 손승철, 이병탁, “사물인터넷 표준 CoAP 기술 및 동향”,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간기술동향, 2014.
CoAP는 IP 계층 위에 UDP 트랜스포트 계층을 가정하고 있지만 하위 계층과 독립적으로 설계되어 있고 다른 네트워크 계층 및 트랜스포트 계층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다. CoAP는 작은 메시지 크기 및 신속한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바이너리 코딩 방식을 사용한다. CoAP는확인 메시지를 받아야지만 재전송을 멈추는 확인형 메시지와 응답이 오지 않더라도 상관없는 비확인형 메시지를 지원한다.
CoAP 이외에 oneM2M에서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서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가 있다. MQTT는 IBM과 Eurotech(Arcom)에 의해 1999년 최초 발표가 이루어진 후10년 이상 유지 및 발전시킨 프로토콜이다. 리소스 점유율을 최소화하고 저속이고 품질이 낮은 네트워크 장애와 단절에 대비하여 신뢰성 있는 메시징 전달을 위해 개발되었다. 센서 및 장치, 모바일 기기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저전력 및 저사양의 다양한 기기가 연결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최적의 프로토콜로 인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민간 표준화 기구인 OASIS에서 사물 간 인터넷 통신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선정하였다. 2012년 IBM Hursley 연구소에서 MQTT 성능 및 확장성 테스트를 한 결과 한 대의 서버(Systemx3650 M3 Xeon® 5660 2.80GHz x 12Core with 32GB RAM on 10Gbit Ethernet)에 약 240,000개의 클라이어트를 동시에 연결하고 초당 480개(메시지 당 200bytes 크기를 갖음)의 메시지를 송수신 하였으며 서버는 5%미만의 CPU를 점유를 보였다. 현재 페이스북 메신저에 사용되고 있으며 페이스북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메신저 사용자는 350,000,000이다. MQTT 프로토콜은 www.mqtt.org에서 스펙 및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공개하고 있으며 C/C++, Java,안드로이드, 라즈베리파이, 아두이노 등 다양한 형태의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있다.
3. 시사점
사물인터넷이란 모든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직접 통신으로 초연결시대를 구현하는 미래 인프라 및 서비스이다. 사물인터넷이 연결하는 초연결시대에는 삶의 질 향상과 생산성 향상이 주목적으로 데이터 센싱 기반의 간헐적 발생하는 소량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으로 서비스를 구현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의 특성으로 인해 사회와 산업 전반의 인프라, 인류와 지구를 위한 중추 신경계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1세기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는 사물인터넷은 향후 시장의 규모는 기존 이동통신시장의 약 10배 이상이 되며,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사물인터넷은 크게 셀룰러 이동통신 기반의 IoT와 비셀룰러 기반의 IoT로 대분된다. 전자의 경우는 배터리 수명, 모듈가격이 고가인 점, 셀룰러 모뎀의고가 라이선스 문제로 인한 진입장벽 때문에 개발 회사의 저변이 다양하지 못한 점, 모뎀칩의 버전 변경에 따라 새롭게 구현해야 하므로 제품 수명이 짧은점, 이동통신사업자의 개개 모듈별 비싼 월정료 때문에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마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태그의 경우처럼, 태그 가격때문에 배보다 배꼽이 커서, 특정 분야 서비스를 제외하고는 비즈니스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경우와 유사하다. 후자도 센서를 기반으로 한 RFID/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시절을 10여년 겪어 오면서 모듈 가격문제, 배터리 수명문제, 통신거리 문제, 정책이나 개발회사의 거품문제 등으로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수직적인 마켓에서, 응용분야 별로, 독립적으로, 느리게 발전되어 왔다.” 사물인터넷 기술별 분석결과에 따르면 각각의 기술이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국내외 이동통신사업자는 추가적인 망 구축 없이 기존 LTE망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공급이 가능함에 따라 NB-IoT 반대진영의 사물인터넷(SigFox, LoRa) 통신방식보다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에 관하여 조사하고 사물인터넷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 기술에 관하여 서술해 보았다. 새롭게 등장한 기술이 아니라 기존의 기술에서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몇 가지 기술 혁신을 통해서 기존의 가정용 인터넷과 모바일을 연동하는 사물인터넷 시장은 통신회사에서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며,초기의 사물인터넷에 과도한 가격을 부여해서 소비자의 동기부여를 감소시키는 효과보다 공급을 통한 수요를 창출 할 수 있는 방안을 확보하고 기존의 서비스로 충분히 확보되어 있는 인프라를 통해 가정용 인터넷서비스와 사물인터넷의 융합을 진행한다면 통신사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재고 방안으로 높은 가치를 창출하고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김종덕(2014)사물인터넷 시대의 도래 :현황과 전망,텔코경영연구원.
이형규 (2014),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 동향 및 발전방향.
김현욱, 5G 이동통신 기술과 서비스, 동일출판사, 252-272, 2019.
박유경, 유성민. “IoT 기반의 스마트시티 기술 서비스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지, 13(2), 31-37, 2015.
박용석,강경철,이상우(2010). 통신 결합서비스 채택 요인 분석에 따른 마케팅적 함의.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박유미, 금창섭, 유현경, 배현주, “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기술 동향”, 전자통신연구원(ETRI),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5권 제6호, 2010.
고석갑, 오승훈, 손승철, 이병탁, “사물인터넷 표준 CoAP 기술 및 동향”,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간기술동향, 2014.
추천자료
[e-비즈니스] 1) OSI 7 Layer(레이어/계층) 모델의 각 프로토콜 계층의 명칭을 기술, 그 역할...
2018년 1학기 정보통신망 중간시험과제물 A형(Connected car)
2018년 1학기 정보통신망 중간시험과제물 D형(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의 등장과 우리의 미래
2019년 1학기 정보통신망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Internet of Things)
[정보통신망 공통] 인공지능과 기계학습(AI and Machine Learning)에 관하여 조사하고 해당 ...
2021년 1학기 정보통신망 중간시험과제물 C형(Internet of Things)
[사회변화와미디어트렌드 1학년] 사물인터넷의 1) 개념을 제시하고, 2)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
2022년 1학기 정보통신망 중간시험과제물 E형(사물인터넷)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