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자들의 기를 꺾어 수혜자들의 변화를 늦춘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그는 그러한 복지 혜택은 그 나라의 사람들이 일자리와 관련된 위험을 감수하고 변화에 더 개방적이 되도록 돕는다고 주장한다. 이는 복지가 그러한 위험에 대해 어느 정도 내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금융시장은 지금보다 덜 효율적일 필요가 있다. 그들은 금융 시장의 빠른 발전이 몇몇 자본주의 국가들이 좋은 경제 실적에 많은 기여를 하도록 도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금융시장의 효율이 오히려 경제를 전반적으로 더 불안정하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금융권과 실물권의 속도차가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훌륭한 경제학자들은 좋은 경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다. 그들은 정부 정책의 성공은 누가 결정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정부 관료들은 경제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들 관료들은 경제 정책에 손을 놓고 정부의 역할을 최소화해야 한다. 하지만, 그는 좋은 경제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좋은 경제학자들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나는 역사적으로 가장 좋은 경제를 운영해온 경제 관료들을 증거로 들었다. 그들은 모두 경제학을 전공한 것은 아니었다.
추천자료
[A+평가독후감]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
[독서감상문]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그들이말하지않는23
[독후감] 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 (장하준 저)
(A+ 레포트) 장하준,<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를 읽고
[독후감]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_ 장하준 저
[(올해최신A+)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_장하준 저 그들이말하지않는23가지독후감][그들이...
[경제학 독후감]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를 읽고 _ 장하준 저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감상문, 서평, 요약문] _ 장하준 저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_ 장하준 저 [독후감/서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