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게임중독 역학; 모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게임중독 역학; 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터넷, 게임중독이란?
2. 알코올, 게임중독의 역학
3. 인터넷중독의 접근 : 모델
4. 인터넷, 게임중독의 동반질환
5. 인터넷, 게임중독의 예방과 치료

본문내용

⚫ 물질중독 vs 행위중독
- 전통적으로 중독은 어떤 물질 혹은 약물이 인간의 뇌에 작용하여 신경적응과정을 통해 내성과 금단을 일으키며, 부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갈망이 생기면 반복적으로 물질을 사용하게 되는 만성적이고 재발하는 뇌질한을 의미.
- 물질이 뇌에 들어가지 않아도 인간의 행동만으로 중독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 과연 인간의 일상적인 행동이 중독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인가? 질병으로 정의되는 것이 적 절하고 정당한가?
- 일부 학자들은 행위중독은 과도한 진단이며, 지나친 질병화, 의료화 현상이라고 비판 통제가 안 되는 행동은 단지 의지의 부족이나 성격적 결함으로 발생하는 문제로 치부
- 행위중독 학자들은 오히려 행위중독이야말로 중독의 핵심을 보여준다고 주장 : 알코올이나 약물에 의한 중독, 즉 물질중독은 물질이 뇌에 들어가서 중독 현상을 나타내므로 물질의 독성 효과를 배제할 수 없지만, 비물질중독 즉 행위중독은 어떤 물질도 뇌에 들어가지 않으면서도 보상회로에 영향을 주고 내성, 금단, 조절력 상실과 같은 중독 현상이 일어나
기 때문에 오히려 중독의 본질을 더 잘 관찰할 수 있음

⚫ 인터넷, 게임중독이란?
- 인터넷중독은 과도한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조절되지 않은 집착, 충동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가정, 직장, 학교 등에서 행동, 심리적 문제와 장애가 발생하는 것
- 학자들마다 개념의 차이를 보였음: 인터넷중독장애(Goldberg, 1996), 인터넷중독(Young, 1998), 인터넷의존(Dowling NA, 2009; Fortson BL, 2007; Lavin MJ, 2001), 문제성 인터넷 사용 (Shapira NA, 2000; Goldsmith TD, 2003), 가상현실중독(Reyre A, 2013), 컴퓨터 중독(Shaffer HJ, 2000; Beutel ME, 2011)
- DSM-5 에서 ‘인터넷게임사용장애(internet gaming disorder)’ 라는 용어와 진단기준이 제시되어 통일된 개념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됨
- 게임중독자에게 게임 사진을 보여주었을 때 게임중독자의 뇌는 정상인에 비하여 우측 안와전두피질, 우측 측좌핵, 양쪽 앞쪽 대상피질, 내측 전두엽피질, 우측 배외측 전두피즐 등 쾌락중추와 연관된 부위에서 활성도의 차이가 나게 증가하였음. 이 부위는 알코올이나 마약 중독자에게 술 또는 마약 사진을 보여주었을 때 활성화되는 뇌 부위와 유사함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2.04.04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11664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