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가총액
2. 영업이익과 순이익
3. PER, BPS, PBR
4. EPS
5. ROA, ROE
6. PSR
7. EV/EBITDA
2. 영업이익과 순이익
3. PER, BPS, PBR
4. EPS
5. ROA, ROE
6. PSR
7. EV/EBITDA
본문내용
성전자의 시가총액은 대략 350조이며 매출액은 대략 310조에 달한다. 즉,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인 350조를 매출액인 310조로 나눌 경우, 대략 1.13정도이다. PSR이 낮다면 매출액에 비해 기업의 시가총액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7. EV/EBITDA
EV/EBITDA는 기업의 시장가치(Enterprise Value; EV)를 세전영업이익(Earning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EBITDA)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적정 주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만약 EV/EBITDA가 2배라고 한다면 해당기업을 시장가격으로 매수했을 때 그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의 2년간 합이 투자원금과 같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EV/EBITDA의 수치는 투자원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나타내며, 이 수치가 낮다는 것은 기업이 저평가되어 있으며 영업현금흐름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삼성전자의 경우, EV/EBITDA의 수치는 2022년 3월 기준으로 3.57로 삼성전자에 투자했을 경우, 투자원금을 회수하는데 3년 7개월 정도가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7. EV/EBITDA
EV/EBITDA는 기업의 시장가치(Enterprise Value; EV)를 세전영업이익(Earning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EBITDA)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적정 주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만약 EV/EBITDA가 2배라고 한다면 해당기업을 시장가격으로 매수했을 때 그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의 2년간 합이 투자원금과 같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EV/EBITDA의 수치는 투자원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나타내며, 이 수치가 낮다는 것은 기업이 저평가되어 있으며 영업현금흐름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삼성전자의 경우, EV/EBITDA의 수치는 2022년 3월 기준으로 3.57로 삼성전자에 투자했을 경우, 투자원금을 회수하는데 3년 7개월 정도가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