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과정론 2022 출석] 1. 비정상 호흡음 2. 심음 청진 방법(청진 순서, 위치, 주위사항 등) 3. 12개 뇌 신경의 각 유형(감각, 운동, 혼합)과 기능 4. 심부건 반사의 예를 3가지 이상 제시하고, 사정 방법 5. 간의 타진 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과정론 2022 출석] 1. 비정상 호흡음 2. 심음 청진 방법(청진 순서, 위치, 주위사항 등) 3. 12개 뇌 신경의 각 유형(감각, 운동, 혼합)과 기능 4. 심부건 반사의 예를 3가지 이상 제시하고, 사정 방법 5. 간의 타진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비정상 호흡음을 3가지 이상 제시하고, 특성을 설명하시오. (5점)
1) 나음
2) 악설음
3) 수포음
4) 천명음
5) 흉막 마찰음
6) 협착음

2. 심음 청진 방법(청진 순서, 위치, 주위사항 등)에 대해 설명하시오. (5점)
1) 심음 청진 순서
2) 심음 청진 위치
3) 주의사항

3. 12개 뇌 신경(cranial nerve)의 각 유형(감각, 운동, 혼합)과 기능을 설명하시오. (10점)
1) 후신경
2) 시신경
3) 동안신경
4) 활차신경
5) 삼차신경
6) 외전신경
7) 안면신경
8) 청신경
9) 설인신경
10) 미주신경
11) 부신경
12) 설하신경

4. 심부건 반사의 예를 3가지 이상 제시하고, 사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5점)
1) 심부건 반사의 예
2) 사정방법

5. 간의 타진 방법을 설명하시오. (5점)

6.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두근건 반사, 삼두근건 반사, 상완요근건 반사, 회요골근건 반사, 슬개건 반사, 아킬레스건 반사 등이 있다.
2) 사정방법
(1) 아두근건 반사
대상자에게 발의 긴장을 풀도록 한다. 대상자의 팔을 45~90° 사이로 구부리게 하고 검진자는 대상자의 팔 아래를 받친다. 전주와의 주름 바로 위인 건 위에 검진자의 엄지를 댄 후, 그 위를 반사해머로 친다. 이두근과 팔꿈치의 수축을 관찰한다.
(2) 상완요근건 반사
대상자의 팔을 받치고 45° 로 구부리게 한다. 요골의 추상돌기 위, 상완요골근 건 부위를 반사해머로 친다. 전완의 굴곡과 회외를 관찰한다.
(3) 삼두근건 반사
대상자의 팔을 받치고 45~90° 사이로 구부리게 한 상태에서 주두돌기 위, 삼두근건의 부착 부위를 반사해머로 친다. 삼두근의 수축과 팔의 신전을 관찰한다.
(4) 슬개건반사
슬개반사를 사정한다. 대상자를 검진대 가장자리에 앉도록 하고 늘어뜨리게 한다. 슬개골 바로 밑의 무릎 부위를 반사해머로 친다. 사두근의 수추고가 다리의 신전을 관찰한다. 김연숙 외(2013). 건강사정. 포널스출판사.
(5) 아킬레스건 반사
① 피검자가 진찰대 끝에 앉아 다리를 늘어뜨리게 한다. 배측굴곡시켜 건을 약간 신장시킨다.
② 검사자는 엄지 손가락과 또 한 손가락을 환자의 아킬레스건 양측의 연부조직의 함몰부에 놓고 아킬레스건을 찾는다.
③ 반사망치의 편평한 부분으로 아킬레스건을 두드리면 불수의적인 저측굴곡이 일어난다. LEWIS HEITKEMPER 저, 신경림 역(2010). 성인간호학 3. 현문사.
5. 간의 타진 방법을 설명하시오. (5점)
전면 액와선, 쇄골중앙선 및 흉골중앙선에서 상부와 하부 경계를 결정하기 위해 간(liver)를 타진한다. 경계를 구분하기 위하여 표시된 부분의 거리를 잰다.
< 간(liver)의 타진 방법 >
제대(배꼽) 수준에서 타진을 시작하여 흉곽과 우측 쇄골 중앙선 쪽을 따라 움직이며 타진한다.
처음 나는 소리를 공명음인지 들어야 한다. 둔탁음이 들리면 간의 하부경계를 찾은 것이다. 피부용 표시펜으로 표시를 한다. 정상적으로 간의 하부경계는 늑골연이다.
우측 쇄골중앙선을 따라 제4늑간근 아래를 타진한다. 맨 처음에는 폐 부분을 타진하였으므로 공명음이 들려야 한다. 둔탁음이 들릴 때까지 아래쪽으로 타진해 내려간다. 둔탁음이 들리기 시작하는 지점이 간의 위쪽 경계선이다. 펜으로 이 지점을 표시한다. 위쪽 경계선은 제6늑간근 공간의 위치여야 한다.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거리는 대략 5~10cm(2~4인치)여야 한다. 이 거리를 liver scan이라 한다.
앞서 기술한바와 같은 방법으로 흉골중앙선을 따라 아래로 방향으로 타진한다. 흉골중앙선 쪽에서의 간의 크기는 대략 4~8cm(1.5~3인치)여야 한다.
호흡에 따른 간의 움직임을 결정하기 위하여 대상자에게 심호흡을 하게 한 후 잠시 멈추게 한다. 쇄골중앙선의 연장선을 따라 위쪽 방향으로 타진한다.
간의 아래쪽 경계는 약 1인치 정도이어야 한다. 간의 크기는 나이, 성별, 신장(키)과 질병 과정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기억한다. D Amico, Barbarito 저,김금순 역(2014). 건강사정 Handbook. 포널스.
6. 참고자료
최윤경,이수진(2022). 간호과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조경숙 외(2016). 성인간호학. 현문사.
LEWIS HEITKEMPER 저, 신경림 역(2010). 성인간호학 3. 현문사.
김연숙 외(2013). 건강사정. 포널스출판사.
D Amico, Barbarito 저,김금순 역(2014). 건강사정 Handbook. 포널스.
김연화(2022). 고등학교 인체구조와 기능. 포널스출판사.
Joyce M. Black 저, 이영휘 역(2011).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가이도 다케루,요시타케 신스케 저, 서혜영 역(2020). 내 몸의 지도를 그리자. 니케북스.
김정훈(2007). 후각 수용체의 후각 기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주현,박민철,홍지은,박지원,조은희(2021). 사암침으로 호전된 동공산대를 동반한 동안신경마비 1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35권 제2호.
조은희 외(2016). 외전신경 마비환자에 대한 한방치험 1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9권 제2호(2016년 5월).
김일동(2010). 심음 분석을 위한 주파수 특성에 기반한 매칭퍼슈잇 방법.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혜인의료재단 한국병원 홈페이지.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4.11
  • 저작시기202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6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