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유론 줄거리 요약
2. 가장 인상깊었던 구절
3. 자유론에서 새롭게 배운점
4. 책내용에 대한 비판제기
5. 느낀점 (독후감)
2. 가장 인상깊었던 구절
3. 자유론에서 새롭게 배운점
4. 책내용에 대한 비판제기
5. 느낀점 (독후감)
본문내용
방하기 때문이다.’라는 말을 했다.
이러한 말을 한 밀의 시대적 배경을 보면 그때 당시에는 풍부한 지식을 갖춘 지식인조차 제국주의적인 생각으로 무장해있던 시대였다. 그렇기에 밀이 한 말은 그럴만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제러미 벤담은 밀의 견해와는 달랐다. 벤담은 전쟁을 최대 규모의 해악으로 규정했고 식민지에 대한 폭력적 지배를 전 지구적 분쟁과 인류의 고통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했다. 밀은 자신의 아버지인 제임스 밀이 인도인의 자치 능력을 신뢰하지 않은 책 [영국령 인도의 역사]를 썼다. 밀도 자신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인도인의 미개성 때문에 인도인은 자립할 능력이 없다고 생각했다. 밀이 쓴 모든 책에서 영국에 의해 발생한 인도인에 대한 폭력과 억압에 대한 글은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면 밀은 왜 영국 제국주의에 대해 우호적이었던 것일까?
5. 느낀점 (독후감)
우리가자유를침해당하는이유는자신보다다른사람들의전통과관습,행동규범이우선시 되어버린사회풍토때문이다.
잘생각해보면내가결정하지않은것들로내시간을사용하거나근심하는경우가많다. 모두가 그렇게 생각한다고 확신할지라도 그방식이맞지않은사람도있다는것을인정해야한다. 우리가 자유를 누려야하는 것은 개인의 개성과 다양성이 존중됨으로써, 사회에 활력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자유가 없는 일율적인 국가는 죽은 사회나 다름없다. 예로들어, 북한처럼 말이다. 하지만, 모두가 원하는 것을 하도록 자유를 부여할 수 없다. 이는 틀림없이 누군가는 손해를 봐야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유론을 읽다보니 현재의 코로나 상황이 떠올랐다. 코로나 관련 뉴스가 뜰 때마다 이 시국에 하고 싶은대로 다 하는게 말이 되냐는 쪽과 자기 마음인데 어떠냐는 쪽으로 나뉘어 매섭게 싸우는 경우를 종종 보았다. 이런 문제는 아마 ‘사회가 개인의 자유를 얼마나 제한할 수 있느냐?’로 규정지을 수 있을 듯한데 밀은 국가 개입이 타인의 자유를 침해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 코로나 시국에 자유란 존재하기 힘들다.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남에게 피해가 가기 때문에 대부분의 나라들은 적절한 제재를 가한다. 물론 여기서 국가의 개입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국민의 반발이 심해지고 시위가 발생하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나라 같은 경우 적절하게 잘 대응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처럼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자유를 내세우기보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서로 배려했으면 좋겠다.
이러한 말을 한 밀의 시대적 배경을 보면 그때 당시에는 풍부한 지식을 갖춘 지식인조차 제국주의적인 생각으로 무장해있던 시대였다. 그렇기에 밀이 한 말은 그럴만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제러미 벤담은 밀의 견해와는 달랐다. 벤담은 전쟁을 최대 규모의 해악으로 규정했고 식민지에 대한 폭력적 지배를 전 지구적 분쟁과 인류의 고통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했다. 밀은 자신의 아버지인 제임스 밀이 인도인의 자치 능력을 신뢰하지 않은 책 [영국령 인도의 역사]를 썼다. 밀도 자신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인도인의 미개성 때문에 인도인은 자립할 능력이 없다고 생각했다. 밀이 쓴 모든 책에서 영국에 의해 발생한 인도인에 대한 폭력과 억압에 대한 글은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면 밀은 왜 영국 제국주의에 대해 우호적이었던 것일까?
5. 느낀점 (독후감)
우리가자유를침해당하는이유는자신보다다른사람들의전통과관습,행동규범이우선시 되어버린사회풍토때문이다.
잘생각해보면내가결정하지않은것들로내시간을사용하거나근심하는경우가많다. 모두가 그렇게 생각한다고 확신할지라도 그방식이맞지않은사람도있다는것을인정해야한다. 우리가 자유를 누려야하는 것은 개인의 개성과 다양성이 존중됨으로써, 사회에 활력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자유가 없는 일율적인 국가는 죽은 사회나 다름없다. 예로들어, 북한처럼 말이다. 하지만, 모두가 원하는 것을 하도록 자유를 부여할 수 없다. 이는 틀림없이 누군가는 손해를 봐야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유론을 읽다보니 현재의 코로나 상황이 떠올랐다. 코로나 관련 뉴스가 뜰 때마다 이 시국에 하고 싶은대로 다 하는게 말이 되냐는 쪽과 자기 마음인데 어떠냐는 쪽으로 나뉘어 매섭게 싸우는 경우를 종종 보았다. 이런 문제는 아마 ‘사회가 개인의 자유를 얼마나 제한할 수 있느냐?’로 규정지을 수 있을 듯한데 밀은 국가 개입이 타인의 자유를 침해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 코로나 시국에 자유란 존재하기 힘들다.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남에게 피해가 가기 때문에 대부분의 나라들은 적절한 제재를 가한다. 물론 여기서 국가의 개입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국민의 반발이 심해지고 시위가 발생하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나라 같은 경우 적절하게 잘 대응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처럼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자유를 내세우기보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서로 배려했으면 좋겠다.
추천자료
세계문화이해를 읽고
서울대 최종학 교수의 숫자로 경영하라 독후감, 느낀점, 상세한 책의 줄거리, 장문독후감
파피용 독후감 - 파피용 목차별 줄거리요약 및 파피용에 대한 비판과 읽고나서 느낀점 및 서평
다른 방식으로 보기 독후감 - 다른 방식으로 보기 내용 요약과 인상깊었던 내용 새롭게 배운...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독후감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독후감 -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인상깊었던 내용과 새롭게 배운점 ...
팩트풀니스 독후감 - 팩트풀니스 내용요약과 기억에 남는내용 및 책을 읽고 새롭게 배운점과 ...
프로이트의 의자 독후감 - 프로이트의 의자 목차별 줄거리 요약 및 인상깊었던 문장과 새롭게...
당신이 옳다 줄거리 요약 및 새롭게 배운점과 당신이 옳다에서 기억에 남는구절과 나의생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