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표
2. 관련이론
2-1 소개
2-2 기초 이론
3. 실험
3-1 실험 준비물
3-2 실험 과정
3-3 실험 결과
3-4 오차가 난 이유
3-5 실험 결과에 관한 고찰
4. 유의사항
4-1 실험 전
4-2 실험 중
4-3 실험 후
5. 참고문헌
2. 관련이론
2-1 소개
2-2 기초 이론
3. 실험
3-1 실험 준비물
3-2 실험 과정
3-3 실험 결과
3-4 오차가 난 이유
3-5 실험 결과에 관한 고찰
4. 유의사항
4-1 실험 전
4-2 실험 중
4-3 실험 후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존재한다는 것이다. 내가 임의로 설정한 R1, R2 말고도, 도선 상에서도 자그마한 저항은 존재한다. 그러므로 전류가 그 도선을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그 도선 상에 있는 자그마한 저항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의 결과처럼 이상적이론적 결과는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차가 생긴 것이다.
3-5 실험 결과에 관한 고찰
한 번 실험을 한 후, 두 번째 실험이라서 그런 지, 저항을 가져와서 그 저항의 값을 구하고, 직류 전원 공급 장치와 디지털 멀티미터의 전원을 켜서 여러 도선들을 연결하는 데 제법 자연스러워져서 내심 뿌듯하였다.
이번 실험은 키르히호프 법칙 (전압 법칙, 전류 법칙)을 직접 실험해보고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우리 조는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을 먼저 실험한 후, 전류 법칙을 이어서 실험했다. 말로만 들어왔던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직접 내 손으로 회로를 구성하고, 실험을 진행한다니, 실험을 시작하는 처음엔 두려움이 앞섰다. 저번 주에 한 번 실험을 해봐서, 실험 도구들은 비교적 자연스럽게 다룰 수 있었지만, 교재에 그려진 회로도를 브레드보드에 옮기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서 더 두려웠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 그렇게 두려움을 가진 채, 브레드보드에 회로를 한 번 만들어봤고, 결과는 예상대로 실패였다. 멀티미터에 측정되는 전류의 값이 이상하게 잡혔다. 우린 거기에서 좌절하지 않고 곧바로 회로도를 재구성하고, 전원 공급 장치와 멀티미터도 다시 시작하여 꽂았다. 결과는 성공이었다. 되돌아보니, 전원 공급 장치에서 우리가 설정을 잘 못하여 이상한 값의 전압이 잡히고 있었던 것이 실패의 원인이었다.
그렇게 각 저항을 계산하고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과 전류 법칙에 각각 대입해 본 결과, 어쩔 수 없는 오차로 인해 딱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대략적으로 법칙에 일맥상통하는 값이 나왔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얻고 난 이후에 비록, 2개의 간단한 실험이었지만 나는 많은 걸 배웠다고 생각했다. 실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다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은 느낌이었다. 특히, 첫 번째 옴의 법칙을 실험 할 때는, 조교님의 도움을 많이 받았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어려움이 있더라도 조원과 같이 이렇게도 시도해보고 저렇게도 시도해보면서, 결국 성공적인 결과를 이뤄낸 그 성취감은 이루 말 할 수 없이 기뻤다.
4. 유의사항
4.1 실험 전
실험은 직접 경험하며 체득하는 과정이므로 부품 준비와 확인, 계측기 준비와 회로 구성, 측정 등 모든 과정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
실험 전에 기본적인 이론과 계측기 사용법을 충분히 익힌다.
각종 계측기와 도구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유의하고, 감전에 주의한다.
프로젝트를 만들 때, ‘Analog or Mixed A/D’를 선택한다. 이 유형을 선택해야만 PSpice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부품을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회전하고 싶으면, 키보드의 R을 누르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때 나타나는 팝업 메뉴(Pop-up Menu)에서 ‘Rotation\'을 선택한다.
PSpice 시뮬레이션을 위한 회로도에는 반드시 접지를 연결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Node N***** is floating\'이라는 오류(error)가 표시되면서 시뮬레이션이 실행되지 않는다.
저항 값을 나타낼 때, 편의상 화면 표시에 맞추어 1[KΩ]를 그대로 1k로 표시한다.
- 멀티미터로 전류를 측정할 때는 회로 연결을 끊고 기기를 회로에 직렬로 삽입해야 하지만, 시뮬레이션에서는 전류를 측정하고 싶은 곳에 프로브를 붙이기만 하면 된다.
4.3 실험 중
디지털 멀티미터로 전류를 측정할 때에는, 회로 연결을 끊고 기기를 회로에 직렬로 삽입해야 하지만, 시뮬레이션에서는 전류를 측정하고 싶은 곳에 프로브를 붙이면 된다.
시뮬레이션을 할 때, 전압 측정 프로브는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붙일 수 있지만, 전류 측정 프로브는 부품의 단자 끝에만 붙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4.3 실험 후
실험 회로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구성한다. 구성이 완료되면, 잘못된 점이 없는지 확인하고 전원을 인가한다.
실험 장비와 시설은 공동으로 사용하므로 사용 후에는 원래 상태로 정리한다.
실험 보고서는 결과를 나열하기보다 이론과 연관 지어 결과를 정리하고, 만약 오차가 있다면 그 원인을 분석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5. 참고문헌
-기초전자실험 with PSpice 기초 지식(p.13~14), 키르히호프 법칙 실험(p.93~98)
3-5 실험 결과에 관한 고찰
한 번 실험을 한 후, 두 번째 실험이라서 그런 지, 저항을 가져와서 그 저항의 값을 구하고, 직류 전원 공급 장치와 디지털 멀티미터의 전원을 켜서 여러 도선들을 연결하는 데 제법 자연스러워져서 내심 뿌듯하였다.
이번 실험은 키르히호프 법칙 (전압 법칙, 전류 법칙)을 직접 실험해보고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우리 조는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을 먼저 실험한 후, 전류 법칙을 이어서 실험했다. 말로만 들어왔던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직접 내 손으로 회로를 구성하고, 실험을 진행한다니, 실험을 시작하는 처음엔 두려움이 앞섰다. 저번 주에 한 번 실험을 해봐서, 실험 도구들은 비교적 자연스럽게 다룰 수 있었지만, 교재에 그려진 회로도를 브레드보드에 옮기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서 더 두려웠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 그렇게 두려움을 가진 채, 브레드보드에 회로를 한 번 만들어봤고, 결과는 예상대로 실패였다. 멀티미터에 측정되는 전류의 값이 이상하게 잡혔다. 우린 거기에서 좌절하지 않고 곧바로 회로도를 재구성하고, 전원 공급 장치와 멀티미터도 다시 시작하여 꽂았다. 결과는 성공이었다. 되돌아보니, 전원 공급 장치에서 우리가 설정을 잘 못하여 이상한 값의 전압이 잡히고 있었던 것이 실패의 원인이었다.
그렇게 각 저항을 계산하고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과 전류 법칙에 각각 대입해 본 결과, 어쩔 수 없는 오차로 인해 딱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대략적으로 법칙에 일맥상통하는 값이 나왔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얻고 난 이후에 비록, 2개의 간단한 실험이었지만 나는 많은 걸 배웠다고 생각했다. 실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다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은 느낌이었다. 특히, 첫 번째 옴의 법칙을 실험 할 때는, 조교님의 도움을 많이 받았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어려움이 있더라도 조원과 같이 이렇게도 시도해보고 저렇게도 시도해보면서, 결국 성공적인 결과를 이뤄낸 그 성취감은 이루 말 할 수 없이 기뻤다.
4. 유의사항
4.1 실험 전
실험은 직접 경험하며 체득하는 과정이므로 부품 준비와 확인, 계측기 준비와 회로 구성, 측정 등 모든 과정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
실험 전에 기본적인 이론과 계측기 사용법을 충분히 익힌다.
각종 계측기와 도구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유의하고, 감전에 주의한다.
프로젝트를 만들 때, ‘Analog or Mixed A/D’를 선택한다. 이 유형을 선택해야만 PSpice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부품을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회전하고 싶으면, 키보드의 R을 누르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할 때 나타나는 팝업 메뉴(Pop-up Menu)에서 ‘Rotation\'을 선택한다.
PSpice 시뮬레이션을 위한 회로도에는 반드시 접지를 연결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Node N***** is floating\'이라는 오류(error)가 표시되면서 시뮬레이션이 실행되지 않는다.
저항 값을 나타낼 때, 편의상 화면 표시에 맞추어 1[KΩ]를 그대로 1k로 표시한다.
- 멀티미터로 전류를 측정할 때는 회로 연결을 끊고 기기를 회로에 직렬로 삽입해야 하지만, 시뮬레이션에서는 전류를 측정하고 싶은 곳에 프로브를 붙이기만 하면 된다.
4.3 실험 중
디지털 멀티미터로 전류를 측정할 때에는, 회로 연결을 끊고 기기를 회로에 직렬로 삽입해야 하지만, 시뮬레이션에서는 전류를 측정하고 싶은 곳에 프로브를 붙이면 된다.
시뮬레이션을 할 때, 전압 측정 프로브는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붙일 수 있지만, 전류 측정 프로브는 부품의 단자 끝에만 붙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4.3 실험 후
실험 회로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구성한다. 구성이 완료되면, 잘못된 점이 없는지 확인하고 전원을 인가한다.
실험 장비와 시설은 공동으로 사용하므로 사용 후에는 원래 상태로 정리한다.
실험 보고서는 결과를 나열하기보다 이론과 연관 지어 결과를 정리하고, 만약 오차가 있다면 그 원인을 분석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5. 참고문헌
-기초전자실험 with PSpice 기초 지식(p.13~14), 키르히호프 법칙 실험(p.93~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