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차-1. 그리스신화의 기원 및 신들의 탄생
1주차-2. 그리스신화의 기원 및 신들의 탄생
2주차-1. 제우스와 올림포스 신들
2주차-2. 제우스와 올림포스 신들
3주차. 인류를 멸망시킨 대홍수와 이오를 사랑한 제우스
4주차. 인간을 사랑한 프로메테우스
5주차. 운명의 여인들, 판도라와 프쉬케의 사랑
6주차. 아르고호 원정대 - 이아손과 메데이아의 사랑과 파멸
7주차. 아르고호 원정대-이아손과 메데이아의 사랑과 파멸
1주차-2. 그리스신화의 기원 및 신들의 탄생
2주차-1. 제우스와 올림포스 신들
2주차-2. 제우스와 올림포스 신들
3주차. 인류를 멸망시킨 대홍수와 이오를 사랑한 제우스
4주차. 인간을 사랑한 프로메테우스
5주차. 운명의 여인들, 판도라와 프쉬케의 사랑
6주차. 아르고호 원정대 - 이아손과 메데이아의 사랑과 파멸
7주차. 아르고호 원정대-이아손과 메데이아의 사랑과 파멸
본문내용
옷과 황금 관을 신부 클라우케에게 선물
=> 이 옷과 장신구를 몸에 두르거나, 옷을 걸친 신부를 만지면 죽음
2) 클라우케, 멋진 옷과 장신구에 유혹
=> 몸에 걸치자 갑자기 안색이 변하고 몸을 비틀며 바닥에 쓰러짐
=> 메데이아는 가부장적 폭군을 피해온 난민이기 때문에 돌려보낼 수 없음
3) 약과 마법에 능한 메데이아의 독약에 의하여 부녀가 살해
(3) 친자식들을 죽이는 메데이아
1) 자식들의 전한 옷과 장신구에 의해 크레온 왕과 클라우케가 살해
=> 자식들이 무사하지 않음
2) 메데이아, 엄청난 혼란과 갈등에 빠짐 \'과연 내가 자식들을 죽여야 하는가\'
3) 메데이아의 갈등 심리 상태 에우리피데스 극에 절묘하게 묘사
4) 낭만주의 화가 들라크루아의 그림
=> 자식을 죽이는 메데이아의 격노한 모습
=> 동굴의 어둠과 옷자락의 붉은 색, 피부의 흰색 등의 대비 효과로 표현
(4) 헬리오스의 수레를 타고 사라지는 메데이아
1) 메데이아 - 태양의 신 헬리오스의 손녀
2) 헬리오스가 준 용이 끄는 수레에 아이들의 시신을 안고 지붕 위에 나타남
3) 아이들의 시신은 아크로폴리스에 사는 여신의 성역에 묻을 것임
4) 헤라의 여신 : 정식결혼의 수호여신, 정식결혼을 파기한 이아손에 대한 여신의 벌 암시
(5) 이아손의 비참한 죽음
1) 메데이아 \"그대는 당연한 응보로 아르고호의 파편에 머리가 박살나 악인답게 비참한 죽음을 맞게 될 거예요.\"
2) 이아손 - 아르고호 고물 밑에서 잠자다가 배의 선체 일부가 떨어져 그 파편에 죽음
3) 목숨을 걸고 도와준 부인을 배신한 이아손의 초라한 죽음 => 신화가 주는 교훈
5. 심화학습 (메데이아, 독부인가 가부장제의 희생자인가)
(1)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
1) 에우리피데스 -> 메데이아를 지독한 악녀로 묘사
=> 이아손의 새로운 부인을 독약으로 살해하고, 그녀의 자식들까지 죽이기 때문
2) 비극 속 메데이아의 대화를 통해 본 메데이아
=> 메데이아 역시 피해자. 자식을 죽일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한 여인
3) 초라한 모습으로 등장하는 영웅 이아손 -> 에우리피데스의 의도
->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
4) 영웅적 성격의 이아손이 황금양피를 얻기 위해 교활한 말과 결혼으로 메데이아를 유혹 후에, 결혼에 대한 생각의 차이로 이아손은 메데이아를 배신
=> 결혼 -> 메데이아(사랑), 이아손(자신을 위한 정략적 결혼)
=> 메데이아는 남성 중심의 신화 세계에서 최대 피해자
5) 이아손에게 인생의 전부를 걸고 있었던 메데이아
6) 이아손의 배신 -> 메데이아를 비참한 존재로 만들고 있는 것
7) 메데이아의 한탄조의 자기 비하 \"여자들이 가장 비참한 존재들\"
=> 뿌리 깊은 남성 중심 사회의 단면을 보여줌
(2) 볼프의 \"메데이아\"
1) 독일의 여성학자 볼프가 쓴 메데이아
=> 인물들의 독백 형식으로 쓰여짐
=> 메데이아는 콜키스와 코린토스의 두 가부장적 정치 권력의 희생자
2) 메데이아가 압쉬르토스를 죽였다는 것, 자식들을 죽였다는 것
=> 남성사회가 그녀에게 뒤집어씌운 누명
=> 여성을 비하하고 여성을 피해자로 만드는 그런 신화 담론 자체를 부정하고, 메데이아를 재탄생시킨 것
3) 볼프의 시각 -> 신화 해석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제시했다는 점에 큰 의미
* 학습정리
1. 메데이아 황금양피를 이아손의 일행이 찾아갈 수 있도록 적극 개입
2. 조국과 아버지를 배신하고 아르고호를 타고 그리스로 도피
3. 콜키스 함대의 위기에 오빠 압쉬르토스 살해
4. 그리스에서의 행복은 잠시, 이아손의 배신으로 인한 질투와 분노
=> 이아손의 새여자를 살해하고 자신의 두 아들 마저 죽임
5. 메데이아의 운명의 해석은 <이아손과 메데이아의 사랑과 파멸>의 최대의 질문
6. 가부장제도의 사회, 남성 중심적 사회를 피로 응답
*그리스 3대 비극 작가가 아닌 사람은 누구인가요? 1
1) 오비디우스 -> 변신이야기의 저자
2) 아이스퀼로스
3) 소포클레스
4) 에우리피데스
*아버지 우라노스의 성기를 낫으로 베어버리고 세계의 지배권을 획득한 아들은 누구인가요? 2
1) 휘페리온
2) 크로노스
3) 프로메테우스
4) 아폴론
*다음 4명의 신들 중에서 올림포스 12신에 들어가지 않는 신은 누구인가요? 2
1) 헤르메스
2) 에오스
3) 헤라
4) 헤파이스토스
*크로노스의 아들로서, 크로노스를 제압하고 올림포스의 으뜸 신으로 등극하는 신은 누구인가요? 제우스
*제우스의 형제로 바다를 통치하게 될 신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포세이돈
*청동인간으로서 영웅시대에까지 살아남아 있었던 자는 누구인가요? 탈로스
* 대홍수에도 살아남아 새 인류의 아버지가 된 자의 이름은 무엇일가요? 데우칼리온
* 제우스와 동침한 이후, 암소로 변한 여인 이름은 무엇일까요? 이오
* 제우스의 아들로서 그리스 최고의 영웅이며 사후에 신의 반열에 오른 자는 누구인가요? 헤라클레스
* 헤라클레스가 종살이를 했던 옴팔로스의 여왕 이름은 무엇일까요? 옴팔레
* 영원히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벌을 받은 신은 누구인가요? 아틀라스
* 프로메테우스가 사슬에 묶여 유배되어 있던 산 이름은 무엇인가요? 카우카소스
* 프로메테우스를 풀어주게 될 영웅은 누구인가요? 헤라클레스
* \"언젠가는 제우스도 그 아들의 손에 당하리라\"라고 예언한 대지의 여신 이름은 무엇인가요? 가이아
* 제우스를 앞서는 아들을 낳게 되어 있다는 여신은 누구인가요? 테티스
* 쇠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를 해방시켜주는 자는 누구인가요? 헤라클레스
* 제우스가 만든 인류 최초의 여자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판도라
* 에로스와 사랑하다가 아프로디테로부터 모진 시련을 겪는 여인은 누구인가요? 프쉬케
*황금양을 타고 그리스를 탈출하여 콜키스로 도망치는데 성공한 자는 누구인가요? 프릭소스
* 그리스 영웅 55인이 타고 콜키스로 떠난 배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아르고호
* 콜키스의 공주로서 이아손을 사랑하는 여인은 누구인가요? 메데이아
* 이아손에 의해 살해당한 메데이아의 오빠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압쉬르토스
* 메데이아가 이아손과 함께 돌아온 그리스 나라 이름은? 이올코스
* 그리스 3대 비극 작가로서 \"메데이아\"를 쓴 작가 이름은 무엇일까요? 에우리피데스
=> 이 옷과 장신구를 몸에 두르거나, 옷을 걸친 신부를 만지면 죽음
2) 클라우케, 멋진 옷과 장신구에 유혹
=> 몸에 걸치자 갑자기 안색이 변하고 몸을 비틀며 바닥에 쓰러짐
=> 메데이아는 가부장적 폭군을 피해온 난민이기 때문에 돌려보낼 수 없음
3) 약과 마법에 능한 메데이아의 독약에 의하여 부녀가 살해
(3) 친자식들을 죽이는 메데이아
1) 자식들의 전한 옷과 장신구에 의해 크레온 왕과 클라우케가 살해
=> 자식들이 무사하지 않음
2) 메데이아, 엄청난 혼란과 갈등에 빠짐 \'과연 내가 자식들을 죽여야 하는가\'
3) 메데이아의 갈등 심리 상태 에우리피데스 극에 절묘하게 묘사
4) 낭만주의 화가 들라크루아의 그림
=> 자식을 죽이는 메데이아의 격노한 모습
=> 동굴의 어둠과 옷자락의 붉은 색, 피부의 흰색 등의 대비 효과로 표현
(4) 헬리오스의 수레를 타고 사라지는 메데이아
1) 메데이아 - 태양의 신 헬리오스의 손녀
2) 헬리오스가 준 용이 끄는 수레에 아이들의 시신을 안고 지붕 위에 나타남
3) 아이들의 시신은 아크로폴리스에 사는 여신의 성역에 묻을 것임
4) 헤라의 여신 : 정식결혼의 수호여신, 정식결혼을 파기한 이아손에 대한 여신의 벌 암시
(5) 이아손의 비참한 죽음
1) 메데이아 \"그대는 당연한 응보로 아르고호의 파편에 머리가 박살나 악인답게 비참한 죽음을 맞게 될 거예요.\"
2) 이아손 - 아르고호 고물 밑에서 잠자다가 배의 선체 일부가 떨어져 그 파편에 죽음
3) 목숨을 걸고 도와준 부인을 배신한 이아손의 초라한 죽음 => 신화가 주는 교훈
5. 심화학습 (메데이아, 독부인가 가부장제의 희생자인가)
(1)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
1) 에우리피데스 -> 메데이아를 지독한 악녀로 묘사
=> 이아손의 새로운 부인을 독약으로 살해하고, 그녀의 자식들까지 죽이기 때문
2) 비극 속 메데이아의 대화를 통해 본 메데이아
=> 메데이아 역시 피해자. 자식을 죽일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한 여인
3) 초라한 모습으로 등장하는 영웅 이아손 -> 에우리피데스의 의도
->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
4) 영웅적 성격의 이아손이 황금양피를 얻기 위해 교활한 말과 결혼으로 메데이아를 유혹 후에, 결혼에 대한 생각의 차이로 이아손은 메데이아를 배신
=> 결혼 -> 메데이아(사랑), 이아손(자신을 위한 정략적 결혼)
=> 메데이아는 남성 중심의 신화 세계에서 최대 피해자
5) 이아손에게 인생의 전부를 걸고 있었던 메데이아
6) 이아손의 배신 -> 메데이아를 비참한 존재로 만들고 있는 것
7) 메데이아의 한탄조의 자기 비하 \"여자들이 가장 비참한 존재들\"
=> 뿌리 깊은 남성 중심 사회의 단면을 보여줌
(2) 볼프의 \"메데이아\"
1) 독일의 여성학자 볼프가 쓴 메데이아
=> 인물들의 독백 형식으로 쓰여짐
=> 메데이아는 콜키스와 코린토스의 두 가부장적 정치 권력의 희생자
2) 메데이아가 압쉬르토스를 죽였다는 것, 자식들을 죽였다는 것
=> 남성사회가 그녀에게 뒤집어씌운 누명
=> 여성을 비하하고 여성을 피해자로 만드는 그런 신화 담론 자체를 부정하고, 메데이아를 재탄생시킨 것
3) 볼프의 시각 -> 신화 해석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제시했다는 점에 큰 의미
* 학습정리
1. 메데이아 황금양피를 이아손의 일행이 찾아갈 수 있도록 적극 개입
2. 조국과 아버지를 배신하고 아르고호를 타고 그리스로 도피
3. 콜키스 함대의 위기에 오빠 압쉬르토스 살해
4. 그리스에서의 행복은 잠시, 이아손의 배신으로 인한 질투와 분노
=> 이아손의 새여자를 살해하고 자신의 두 아들 마저 죽임
5. 메데이아의 운명의 해석은 <이아손과 메데이아의 사랑과 파멸>의 최대의 질문
6. 가부장제도의 사회, 남성 중심적 사회를 피로 응답
*그리스 3대 비극 작가가 아닌 사람은 누구인가요? 1
1) 오비디우스 -> 변신이야기의 저자
2) 아이스퀼로스
3) 소포클레스
4) 에우리피데스
*아버지 우라노스의 성기를 낫으로 베어버리고 세계의 지배권을 획득한 아들은 누구인가요? 2
1) 휘페리온
2) 크로노스
3) 프로메테우스
4) 아폴론
*다음 4명의 신들 중에서 올림포스 12신에 들어가지 않는 신은 누구인가요? 2
1) 헤르메스
2) 에오스
3) 헤라
4) 헤파이스토스
*크로노스의 아들로서, 크로노스를 제압하고 올림포스의 으뜸 신으로 등극하는 신은 누구인가요? 제우스
*제우스의 형제로 바다를 통치하게 될 신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포세이돈
*청동인간으로서 영웅시대에까지 살아남아 있었던 자는 누구인가요? 탈로스
* 대홍수에도 살아남아 새 인류의 아버지가 된 자의 이름은 무엇일가요? 데우칼리온
* 제우스와 동침한 이후, 암소로 변한 여인 이름은 무엇일까요? 이오
* 제우스의 아들로서 그리스 최고의 영웅이며 사후에 신의 반열에 오른 자는 누구인가요? 헤라클레스
* 헤라클레스가 종살이를 했던 옴팔로스의 여왕 이름은 무엇일까요? 옴팔레
* 영원히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벌을 받은 신은 누구인가요? 아틀라스
* 프로메테우스가 사슬에 묶여 유배되어 있던 산 이름은 무엇인가요? 카우카소스
* 프로메테우스를 풀어주게 될 영웅은 누구인가요? 헤라클레스
* \"언젠가는 제우스도 그 아들의 손에 당하리라\"라고 예언한 대지의 여신 이름은 무엇인가요? 가이아
* 제우스를 앞서는 아들을 낳게 되어 있다는 여신은 누구인가요? 테티스
* 쇠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를 해방시켜주는 자는 누구인가요? 헤라클레스
* 제우스가 만든 인류 최초의 여자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판도라
* 에로스와 사랑하다가 아프로디테로부터 모진 시련을 겪는 여인은 누구인가요? 프쉬케
*황금양을 타고 그리스를 탈출하여 콜키스로 도망치는데 성공한 자는 누구인가요? 프릭소스
* 그리스 영웅 55인이 타고 콜키스로 떠난 배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아르고호
* 콜키스의 공주로서 이아손을 사랑하는 여인은 누구인가요? 메데이아
* 이아손에 의해 살해당한 메데이아의 오빠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압쉬르토스
* 메데이아가 이아손과 함께 돌아온 그리스 나라 이름은? 이올코스
* 그리스 3대 비극 작가로서 \"메데이아\"를 쓴 작가 이름은 무엇일까요? 에우리피데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