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2.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3.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4.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5.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6.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7.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8.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9.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10.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11. 바이러스에 의한 발병과정을 설명하시오. (10점)
12. 허혈의 발생기전을 설명하시오. (10점)
13.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정의와 과정(3단계)을 설명하시오. (10점)
14. 참고자료
2.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3.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4.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5.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6.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7.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8.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9.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10.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2점)
11. 바이러스에 의한 발병과정을 설명하시오. (10점)
12. 허혈의 발생기전을 설명하시오. (10점)
13.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정의와 과정(3단계)을 설명하시오. (10점)
14.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상, 응고 기전 장애 등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급성 비균질적 폐염증이다.
1967년 애시보프(Ashbaugh)라는 의사가 호흡곤란 및 산소공급으로도 호전되지 않는 청색증, 그리고 흉부X선상보이는 ‘양폐야침윤’의 세 가지를 보이는 12명의 환자군에 대하여“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면서부터 알려지게 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당시 신생아에서 발생하는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과 유사한 증상을 보여 “성인호흡곤란증후군”으로 명명되었으나, 실제로는 모든 연령에서 일어나므로 현재와 같이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불리고 있다.
이후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정의는 명확히 정해지지 않고 있다가, 1994년에 미국과 유럽의전문가들이 모여 ① 급성으로 시작하면서 ② 흉부X선에서 양폐야 침윤이 관찰되고, 대신 ③ 좌심방압력증가(폐모세혈관쐐기압이 18mmHg 이상)는 없으면서 ④ 흡입산소분율(FiO2)에 대한 동맥혈산소분압(PaO2)의 비율(P/F ratio)이 200mmHg 이하인 경우를 만족하는 것으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정의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후 이러한 정의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어 왔고 최근 여러 임상연구결과들을 통해 기존의 정의 기준에서 현재 임상현장에서 더 이상 그 값을 거의 측정하지 않는 폐모세혈관쐐기압의 기준을 없애고, 기존의 산소화 정도를 반영하는 P/F ratio가 201-300mmHg인 경우를 “급성폐손상(Acute Lung Injury)”으로 정의했던 것을 폐지한 대신, 산소화정도 기준에 양압환기를 적용한 상태에서 P/F ratio값의 범위에 따라 300mmHg 이하인 경우를 모두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정의하고 그 정도가 떨어질수록 심한 정도 경도에서 중증까지 구분하는 새로운 진단기준(2012년 Berlin 정의)이 제시되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2)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과정(3단계)
(1) 조기 삼출기
첫 단계는 삼출기(exudative phase)로 미만성 폐포 손상(diffuse alveolar damage)로 표현되는 병리소견이 관찰된다. 유리질막(Hyaline membrane)과 단백질이 풍부한 삼출물이 폐포에 차서 발생하는 폐부종과 상피세포의 파괴와 폐포와 간질에 호중구와 대식세포의 침착이 관찰된다. 이 시기는 57일정도 지속이 되고 다음 단계인 증식기(proliferative phase)가 나타난다. 권용수(2012). ARDS의 병태 생리. 대한호흡관리학회.
(2) 증식기
이 시기에는 유리질막(hyaline membrane)과 일부에서는 섬유화가 관찰된다. 폐포모세혈관이 막히고 폐포와 간질에 콜라겐(collagen)이 침착되는 것이 관찰이 되고 점차 폐포 내 호중구 수와 부종은 감소하게 된다. 이 시기 이후에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2주 이후 발생하는 섬유화기(fibrotic phase)가 나타나게 된다. 권용수(2012). ARDS의 병태 생리. 대한호흡관리학회.
(3) 섬유화기
많은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는 최초의 폐손상 3~4주 후에 폐기능을 회복하는 반면 일부 환자는 장기의 기계적 환기보조요법 또는 산소보충을 필요로 하는 섬유화기가 시작된다. 폐 미소순환에 있어 혈관 내막의 섬유조직의 증식은 혈관폐쇄와 폐동맥 고혈합의 진행을 초래한다. 또한 기흉의 위험성이 증가되고, 폐 유순도의 감소, 폐사강의 증가를 초래한다. 권용수(2012). ARDS의 병태 생리. 대한호흡관리학회.
14. 참고자료
이수진,최명애,안경주(2021). 기초간호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분한,최순옥(2019). 호스피스와 간호. 포널스출판사.
김희성,정년기(2015). 프로폴리스 면역 혁명. 모아북스.
권용수(2012). ARDS의 병태 생리. 대한호흡관리학회.
대한정형외과학회(2013). 정형외과학 2. 최신의학사.
양철승 외(2008). 느린 속도로 정주한 Vancomycin으로 발생한 과민반응. 대한마취통증의학회.
오윤규 외(2001). 이뇨제의 저항성과 내성 기전. 대한신장학회지 제 20권 제 5호.
조동혁(2018).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효과적인 치료. 대한당뇨병학회.
최명규(2012). 만성 설사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제 83권 제 5호.
최은영 외(2006). 고칼륨혈증으로 이뇨제 중단된 소변빈삭 환자의 한방치험 1. 대한한방내과학회.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1967년 애시보프(Ashbaugh)라는 의사가 호흡곤란 및 산소공급으로도 호전되지 않는 청색증, 그리고 흉부X선상보이는 ‘양폐야침윤’의 세 가지를 보이는 12명의 환자군에 대하여“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면서부터 알려지게 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당시 신생아에서 발생하는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과 유사한 증상을 보여 “성인호흡곤란증후군”으로 명명되었으나, 실제로는 모든 연령에서 일어나므로 현재와 같이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불리고 있다.
이후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정의는 명확히 정해지지 않고 있다가, 1994년에 미국과 유럽의전문가들이 모여 ① 급성으로 시작하면서 ② 흉부X선에서 양폐야 침윤이 관찰되고, 대신 ③ 좌심방압력증가(폐모세혈관쐐기압이 18mmHg 이상)는 없으면서 ④ 흡입산소분율(FiO2)에 대한 동맥혈산소분압(PaO2)의 비율(P/F ratio)이 200mmHg 이하인 경우를 만족하는 것으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정의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후 이러한 정의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어 왔고 최근 여러 임상연구결과들을 통해 기존의 정의 기준에서 현재 임상현장에서 더 이상 그 값을 거의 측정하지 않는 폐모세혈관쐐기압의 기준을 없애고, 기존의 산소화 정도를 반영하는 P/F ratio가 201-300mmHg인 경우를 “급성폐손상(Acute Lung Injury)”으로 정의했던 것을 폐지한 대신, 산소화정도 기준에 양압환기를 적용한 상태에서 P/F ratio값의 범위에 따라 300mmHg 이하인 경우를 모두 “급성호흡곤란증후군”으로 정의하고 그 정도가 떨어질수록 심한 정도 경도에서 중증까지 구분하는 새로운 진단기준(2012년 Berlin 정의)이 제시되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2)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의 과정(3단계)
(1) 조기 삼출기
첫 단계는 삼출기(exudative phase)로 미만성 폐포 손상(diffuse alveolar damage)로 표현되는 병리소견이 관찰된다. 유리질막(Hyaline membrane)과 단백질이 풍부한 삼출물이 폐포에 차서 발생하는 폐부종과 상피세포의 파괴와 폐포와 간질에 호중구와 대식세포의 침착이 관찰된다. 이 시기는 57일정도 지속이 되고 다음 단계인 증식기(proliferative phase)가 나타난다. 권용수(2012). ARDS의 병태 생리. 대한호흡관리학회.
(2) 증식기
이 시기에는 유리질막(hyaline membrane)과 일부에서는 섬유화가 관찰된다. 폐포모세혈관이 막히고 폐포와 간질에 콜라겐(collagen)이 침착되는 것이 관찰이 되고 점차 폐포 내 호중구 수와 부종은 감소하게 된다. 이 시기 이후에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2주 이후 발생하는 섬유화기(fibrotic phase)가 나타나게 된다. 권용수(2012). ARDS의 병태 생리. 대한호흡관리학회.
(3) 섬유화기
많은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는 최초의 폐손상 3~4주 후에 폐기능을 회복하는 반면 일부 환자는 장기의 기계적 환기보조요법 또는 산소보충을 필요로 하는 섬유화기가 시작된다. 폐 미소순환에 있어 혈관 내막의 섬유조직의 증식은 혈관폐쇄와 폐동맥 고혈합의 진행을 초래한다. 또한 기흉의 위험성이 증가되고, 폐 유순도의 감소, 폐사강의 증가를 초래한다. 권용수(2012). ARDS의 병태 생리. 대한호흡관리학회.
14. 참고자료
이수진,최명애,안경주(2021). 기초간호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분한,최순옥(2019). 호스피스와 간호. 포널스출판사.
김희성,정년기(2015). 프로폴리스 면역 혁명. 모아북스.
권용수(2012). ARDS의 병태 생리. 대한호흡관리학회.
대한정형외과학회(2013). 정형외과학 2. 최신의학사.
양철승 외(2008). 느린 속도로 정주한 Vancomycin으로 발생한 과민반응. 대한마취통증의학회.
오윤규 외(2001). 이뇨제의 저항성과 내성 기전. 대한신장학회지 제 20권 제 5호.
조동혁(2018).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효과적인 치료. 대한당뇨병학회.
최명규(2012). 만성 설사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제 83권 제 5호.
최은영 외(2006). 고칼륨혈증으로 이뇨제 중단된 소변빈삭 환자의 한방치험 1. 대한한방내과학회.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키워드
추천자료
기초간호과학 방송대 2019 1허혈의 발생기전을 제시하고 허혈이 있는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를...
[기초간호과학3학년 공통]스트레스질환의발생요인을설명 스트레스로인해 발생하기쉬운 심혈관...
기초간호과학 2019 1 허혈의 발생기전과 허혈이 있는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기초간호과학 2자...
기초간호과학] 1 허혈의 발생기전 허혈이 있는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기초간호과학 2 자가면...
기초간호과학 2019 허혈의 발생기전 허혈이 있는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기초간호과학 자가면...
(2022년 방송통신대 기초간호과학 기말과제물)바이러스에 의한 발병과정을 설명하시오 허혈의...
[기초간호과학 기말과제 2022] 1~10번 다음 빈칸에 알맞은 단어는 무엇인가, 11. 바이러스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