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도시와건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도시와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다음 중 한 문제를 선택하여 답안을 작성하시오.
1. 수원 화성이 건설된 배경과 그 특징에 대해 조사해보시오.
2. 런던의 19세기 콜레라 유행과 21세기 런던의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을 비교해 보시오.
3. 함부르크의 하수 시설과 서울의 하수시설 변천에 대해 조사하고 비교해보시오.
4. 『도시로 보는 유럽사』 (백승종 저, 출판사 사우, 2020)를 읽고 서평을 쓰시오.


목차

서론

본론

1, 우리나라의 성과 성곽
2, 18세기 신도시, 화성의 탄생
3, 신읍치의 도시구조와 성곽 축조
4, 수원 화성과 실학자들
5, 화성공역의 특징
6, 화성성역의궤와 수원 화성의 특징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이다.
봉돈은 불을 비추어 행궁을 수비하고, 파수·정찰·사태를 알리는 군사·교통상의 신호시설물로 서해 바다 홍천대에서 오는 횃불 신호를 받아 용인 석성산 봉화대로 전달(동쪽에 위치)하는 역할을 했다. 중포사는 성 밖 비밀통로의 경보를 알리는 구실을 하는 건물로, 치위는 포루, 성내는 포사가 있으며 성면 담당자가 대포로 경보하면 포사 군사가 기나 대포로 응하는 것을 약속하였다.
내포사는 행궁 안 왼쪽 기슭 미로한정 북쪽 50보 거리인 화성행궁 뒷담에 설치하였다고 하나 소실되었으며 성신사는 화성 성신의 신주를 봉안한 사당으로, 병풍바위 위 동향 건물에 위치했다.
6, 화성성역의궤와 수원 화성의 특징
화성공역의 전말을 기록한 보고서인 『화성성역의궤』는 10권 9책으로 구성되었는데 화성공역이 끝난 1796년 9월~11월 마무리되어, 순조 1년인 1801년 활자로 간행되었다. 관련하여『원행을묘정리의궤』는 정조의 헌륭원 행차와 혜경궁 홍씨 환갑연을 기록한 것으로『화성성역의궤』와 같이 간행되었다. 여기에는 수원 화성 성곽설계의 과정, 건물형태, 규격특징, 자재운반기구의 도설, 감독관에서 말단 장인명단까지 또 관공서 간의 공문 등 화성공사 전반에 관해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화성 그 자체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으며, 건물의 내, 외부를 그린 도설 때문에 사람들 이 주목하는데 전쟁 대비를 위해 건설되는 성곽, 무기 사용에 따라 성곽의 축조방식을 결정하였을 뿐 아니라 수원화성은 조선 후기 건설된 성곽 중 가장 최신 시설로 건설되었다. 화성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포탄과 총알로 멸실되었으나, 『화성성역의궤』 등 정교하게 작성된 보고서를 바탕으로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될 수 있었으며 수원화성 성곽은 1997년 유네스코가 제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래의 모습이 얼마나 진실 되게 유지·관리 되었는가 평가가 하는 것이 기준인데 훼손되었다 복원되었지만 공역기록 보고서인 『화성성역의궤』를 통해 그 진실성이 확인되면서 가능해진 것이다
수원 화성이 지닌 도시적·성과사적 의미 및 특징은 우선 읍성이면서도 산성의 형태도 갖춘 조선의 마지막 성이라는 점을 들 수 있고 둘째로는 신도시 건설과 경제적 부흥정책은 백성을 중심으로 하는 근대적 사고의 산물이라는 점, 셋째는 풍수설의 핵심인 신도시의 특정 입지인 배산임수 조건에, 도로 노선에 맞추어 도시의 좌향이 결정, 되는 전통적 틀이 깨졌다는 점이다. 또 네 번째는 전통적 읍성제도 유지, 새로운 방어시설 보유(공심돈·포루·노대), 읍성과 방어성 기능을 겸비하였다는 점이며, 다섯 번째는 지형의 굴곡에 따라 산지대에는 산성, 평지에서는 읍성을 쌓아 도시가 수용되도록 계획되었으며 여섯 번째는 돌과 벽돌을 번갈아 사용하여, 돌로만 축조하던 성곽 건축기술이 업그레이드되었으며, 새로운 건축미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결론
화성건설과정의 근대적 모습이라 할 수 있는 화성은 철저한 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도시로 화성은 읍성과 산성을 일체화한 성채, 새로운 방어시설을 갖춘 획기적인 곳으로 평가된다. 정조의 부왕인 사도세자 무덤을 조성하기 위해 살고 있던 백성을 새로운 읍치로 이주시킨 것인데 성내의 경제 부흥과 성곽 건설의 과정은 현대 신도시 건설과정과 흡사하여 이채롭다. 성곽이 불규칙하더라고 백성의 주거지를 제외시키지 않고 포함하여 건설한 것은 백성들의 민생을 현실적으로 배려한 것이며 전통적 틀을 깨더라도 백성들의 안전과 경제적 손실을 위하겠다는 근대적 사고라 할 수 있어 역사적, 문화사적으로도 수원 화성 자체와 그 건설 공역 과정은 흥미롭고 매우 가치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도시로 보는 유럽사』 (백승종 저, 출판사 사우, 2020.)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5.10
  • 저작시기202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8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