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울혈성 심부전(CHF) 이란?
2. 울혈성 심부전 발생과정과 원인질환
(1) 발생과정
(2) 원인질환
3. 발생기전
4. 병태생리
5. 울혈성 심부전 치료법
(1) 약물요법
(2) 식이요법
6. 울혈성 심부전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3) 간호목표
- 단기목표
- 장기목표
(4) 간호중재
-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참고자료>
2. 울혈성 심부전 발생과정과 원인질환
(1) 발생과정
(2) 원인질환
3. 발생기전
4. 병태생리
5. 울혈성 심부전 치료법
(1) 약물요법
(2) 식이요법
6. 울혈성 심부전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3) 간호목표
- 단기목표
- 장기목표
(4) 간호중재
-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참고자료>
본문내용
염 및 나트륨의 제한은 울혈성 심부전 식사요법의 기본이 된다.
일반적으로는 하루에 7g 이하의 식염을 섭취하도록 한다.
2) 당질
당질 자체는 문제될 것은 없으나 섬유질이 많은 고구마, 채소 및 과실류 등을 먹으면 장내에서 가스가 발생되어 심장을 자극하므로 제한한다. 설탕을 다량 섭취하면 체중과 다가 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3) 단백질
울혈성 심부전은 저단백질증이나 저알부민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저알부민혈증은 교질삼투압을 저하시켜 부종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심근 대사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주게 되므로 심부전의 치료를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췄해야 한다. 단백질은 체중 kg당 1g이상을 섭취하도록 하며 육류, 생선, 달걀, 두부, 저지방우유 등을 매일 먹도록 한다.
4) 열량
심부전의 중환일 경우, 반기아상태로 하면 혈압과 맥박 그리고 기초대사도 저하되어서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키므로 신체의 생리기능을 유지할 정도의 수준으로 열량을 제한하는 저열량식을 준다. 과식해서 배가 부르면 횡경막을 압박해서 호흡곤란을 일으키므로 매 끼의 식사량을 줄이고 횟수를 늘리는 편이 좋다. 과식은 소화 흡수시키는 데 몸의 대사가 항진하여 식후에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된다.
5) 수분 제한
하루에 1,200-1,500cc, 중환기에는 1,000cc 이내로 제한한다. 1,000cc란 식사시에 국은 없고 우유 1병마다 약을 복용할 때 물 반 컵 정도 마시는 것에 해당된다.
6) 지방
지방은 열량이 높기 때문에 다량 섭취하면 곧 총열량의 섭취량이 높아져서 비만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과식하지 않도록 한다.
가능한 한 식물성 유지류에서 지방을 섭취하면 신선한 기름을 사용한다. 그러나 울혈에 의해 간도 비대해지고 간기능이 저하될 수도 있고, GOT, GPT가 상승하거나 황달지수, 비릴빈치가 상승할 때도 있다. 따라서 간의 부담을 덜기 위해서도 지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7) 알코올 제한
알코올은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심박수를 증가시키므로 심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알코올 섭취를 제한한다.
6. 울혈성 심부전 간호과정
(1) 간호진단
폐의 수분축적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 폐포-모세혈관막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결핍 또는 과잉된 상태
(2)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 가슴이 답답해요.”
“ 심장이 두근거리고 숨 쉬기 힘들어요”
“기침을 자주 하고, 밤에 특히 숨쉬기 힘들어하더라고요” by 보호자
2) 객관적 자료
얼굴이 창백한 모습이 관찰됨
누워있을 때 숨쉬기 더 힘든 모습이 관찰됨
기좌호흡의 모습이 관찰됨
폐청진 시 crackles, wheezing sound 들림
심음 청진 시 gallop sound 들림
시간
12/9
BP
PR
T(고막)
RR
SpO₂
22:00
100/60
150
37.2
36
88
22:30
110/60
145
37.3
34
92
23:00
100/60
140
37.1
28
93
- 동맥혈 가스분석(ABGA) 결과상 호흡성 알칼리증 보임
pH
pO₂
pCO₂
HCO₃-
SaO₂
10/9
7.48
72mmHg
32mmHg
23mEq/L
88%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 2일 이내, 대상자의 SpO2 수치가 정상이 될 것이다.
- 3일 이내, 대상자는 숨 쉬기가 편해졌다고 말할 것이다.
2) 장기목표
- 퇴원시, 대상자의 ABGA 수치가 정상범위로 돌아올 것이다.
(4) 간호중재
1) 간호계획
① 진단적 계획
- 대상자의 V/S과 SpO2 수치를 4시간마다 측정한다.
- 대상자에게 ABGA 검사를 시행한다.
② 치료적 계획
- 대상자에게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 대상자에게 Nasal cannula를 O2 3L/min으로 적용해준다.
-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이뇨제(Lasix 주)를 투여한다.
③ 교육적 계획
-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수분과 염분의 섭취 제한에 대해 교육한다.
2) 이론적 근거
① 진단적 계획
- V/S과 SpO2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즉각적인 중재를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 대상자에게 ABGA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대상자의 호흡능력을 평가하고, 가스교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치료적 계획
- 대상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 대상자에게 시원하고 가습화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 이뇨제는 폐에 축적된 체액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③ 교육적 계획
- 수분과 염분의 섭취 제한은 축적된 체액과 염분을 제거시킬 수 있다.
<참고자료>
조병희,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일반적으로는 하루에 7g 이하의 식염을 섭취하도록 한다.
2) 당질
당질 자체는 문제될 것은 없으나 섬유질이 많은 고구마, 채소 및 과실류 등을 먹으면 장내에서 가스가 발생되어 심장을 자극하므로 제한한다. 설탕을 다량 섭취하면 체중과 다가 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3) 단백질
울혈성 심부전은 저단백질증이나 저알부민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저알부민혈증은 교질삼투압을 저하시켜 부종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심근 대사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주게 되므로 심부전의 치료를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췄해야 한다. 단백질은 체중 kg당 1g이상을 섭취하도록 하며 육류, 생선, 달걀, 두부, 저지방우유 등을 매일 먹도록 한다.
4) 열량
심부전의 중환일 경우, 반기아상태로 하면 혈압과 맥박 그리고 기초대사도 저하되어서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키므로 신체의 생리기능을 유지할 정도의 수준으로 열량을 제한하는 저열량식을 준다. 과식해서 배가 부르면 횡경막을 압박해서 호흡곤란을 일으키므로 매 끼의 식사량을 줄이고 횟수를 늘리는 편이 좋다. 과식은 소화 흡수시키는 데 몸의 대사가 항진하여 식후에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된다.
5) 수분 제한
하루에 1,200-1,500cc, 중환기에는 1,000cc 이내로 제한한다. 1,000cc란 식사시에 국은 없고 우유 1병마다 약을 복용할 때 물 반 컵 정도 마시는 것에 해당된다.
6) 지방
지방은 열량이 높기 때문에 다량 섭취하면 곧 총열량의 섭취량이 높아져서 비만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과식하지 않도록 한다.
가능한 한 식물성 유지류에서 지방을 섭취하면 신선한 기름을 사용한다. 그러나 울혈에 의해 간도 비대해지고 간기능이 저하될 수도 있고, GOT, GPT가 상승하거나 황달지수, 비릴빈치가 상승할 때도 있다. 따라서 간의 부담을 덜기 위해서도 지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7) 알코올 제한
알코올은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심박수를 증가시키므로 심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알코올 섭취를 제한한다.
6. 울혈성 심부전 간호과정
(1) 간호진단
폐의 수분축적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 폐포-모세혈관막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결핍 또는 과잉된 상태
(2)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 가슴이 답답해요.”
“ 심장이 두근거리고 숨 쉬기 힘들어요”
“기침을 자주 하고, 밤에 특히 숨쉬기 힘들어하더라고요” by 보호자
2) 객관적 자료
얼굴이 창백한 모습이 관찰됨
누워있을 때 숨쉬기 더 힘든 모습이 관찰됨
기좌호흡의 모습이 관찰됨
폐청진 시 crackles, wheezing sound 들림
심음 청진 시 gallop sound 들림
시간
12/9
BP
PR
T(고막)
RR
SpO₂
22:00
100/60
150
37.2
36
88
22:30
110/60
145
37.3
34
92
23:00
100/60
140
37.1
28
93
- 동맥혈 가스분석(ABGA) 결과상 호흡성 알칼리증 보임
pH
pO₂
pCO₂
HCO₃-
SaO₂
10/9
7.48
72mmHg
32mmHg
23mEq/L
88%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 2일 이내, 대상자의 SpO2 수치가 정상이 될 것이다.
- 3일 이내, 대상자는 숨 쉬기가 편해졌다고 말할 것이다.
2) 장기목표
- 퇴원시, 대상자의 ABGA 수치가 정상범위로 돌아올 것이다.
(4) 간호중재
1) 간호계획
① 진단적 계획
- 대상자의 V/S과 SpO2 수치를 4시간마다 측정한다.
- 대상자에게 ABGA 검사를 시행한다.
② 치료적 계획
- 대상자에게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 대상자에게 Nasal cannula를 O2 3L/min으로 적용해준다.
-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이뇨제(Lasix 주)를 투여한다.
③ 교육적 계획
-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수분과 염분의 섭취 제한에 대해 교육한다.
2) 이론적 근거
① 진단적 계획
- V/S과 SpO2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즉각적인 중재를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 대상자에게 ABGA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대상자의 호흡능력을 평가하고, 가스교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치료적 계획
- 대상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 대상자에게 시원하고 가습화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 이뇨제는 폐에 축적된 체액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③ 교육적 계획
- 수분과 염분의 섭취 제한은 축적된 체액과 염분을 제거시킬 수 있다.
<참고자료>
조병희,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키워드
추천자료
중환자실 케이스 뇌내출혈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울혈성 심부전(CHF; Congestive Heart Failure)
협심증,PTCA
스트레스 질환의 발생요인을 설명하고,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질환 중 심혈관계 질...
CHF(Congestive 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 성인 케이스
울혈성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기초간호과학]스트레스질환의발생요인을설명하고스트레스로인해발생하기쉬운질환중심혈관계...
울혈성 심부전 간호과정 케이스 및 울혈성 심부전 원인과 병태생리 악화요인 및 치료법 및 느...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