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베이비박스 정의
2. 우리나라 베이비박스 실태
3. 베이비박스 유지 찬반논쟁 분석
(1) 베이비박스 유지 찬성입장 정리
(2) 베이비박스 유지 반대입장 정리
4. 찬성,반대 입장을 모두 만족시킬수 있는 대안 제시
5. 베이비박스 존치에 대한 나의의견 (찬성 입장)
(1) 찬성하는 이유
(2) 반대 측 주장 반박
2. 우리나라 베이비박스 실태
3. 베이비박스 유지 찬반논쟁 분석
(1) 베이비박스 유지 찬성입장 정리
(2) 베이비박스 유지 반대입장 정리
4. 찬성,반대 입장을 모두 만족시킬수 있는 대안 제시
5. 베이비박스 존치에 대한 나의의견 (찬성 입장)
(1) 찬성하는 이유
(2) 반대 측 주장 반박
본문내용
안전한 양육 환경을 제공한다. 베이비박스에 버려진 아기는 2`3일간 응급 처지·보호를 받은 후 관할 구청의 확인, 건강진단 등을 거쳐 임시보호 시설에 보내지고 추후 입양·시설 입소·가정 위탁 등의 보호를 받게 된다. 또, 주사랑공동체교회 이종락 목사에 의하면, 지금까지 그곳에 온 아이들 300명 중 50명 정도는 부모가 데리고 갔다고 한다. 만약 이 아이들이 베이비박스가 아닌 다른 지하철역, 골목과 같은 곳에 버려졌다면 다시 부모를 만날 수 있었을까?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3조, 6조상 아동의 생명권이 최우선으로 보장 받아야한다는 조항이 있다. 베이비박스는 버려진 영아의 생명권을 위해, 입양이 힘든 미혼모를 위해, 마음을 고쳐 먹는 부모들을 위해 폐지되지 않고 계속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베이비박스가 사라진다면, 이 아이들은 어디로 가야할까요? 생명보다 더 귀한 것은 없다..
(2) 반대 측 주장 반박
베이비박스를 반대하는 입장의 주장에 대해 반론해 보겠다.
반대 입장은 베이비박스가 아동유기를 조장한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아기를 버리는 행위를 쉽게 여기도록 만들기 때문에 아기가 생기면 베이비박스에 두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라 한다. 그러나 이미 전국에는 많은 아동복지시설이 있으며, 많은 아이들이 해마다 입소하고 있다. 베이비 박스가 아기를 버리는 행위를 조장한다는 연구결과는 없으며, 복지시설에 버려질 아기들이 베이비박스에 버려진다고 생각하는 쪽이 더 타당하다.
반대 입장은 미끄러운 경사길의 오류에 의해, 베이비박스를 설치하게 되면 결국 나중에는 아기를 버리는 것에 어떠한 도덕적 책임도 느끼지 못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기를 버린 부모는 한번은 어렵지만 두 번째는 쉬울 지도 모른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베이비박스의 설치는 아동유기의 증가와 상관관계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 논리는 전국 280여개의 아동복지시설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반대 입장은 베이비박스에 버려진 아기를 다시 되찾아가는 부모들은 아동복지시설에 버렸어도 다시 되찾아갈 것이라고 주장하며, 베이비박스는 필요 없는 것이라 말한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하면 베이비박스는 아동복지시설의 역할을 잘 해내고 있으며, 아동복지시설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결론이다. 오히려 아동복지시설보다 베이비박스가 주는 가벼운 인상과 쉬운 접근성에 의해, 길거리에 버려질 아기가 목숨을 건질 수 있다.
이상의 근거로 베이비박스의 설치를 적극 찬성한다.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3조, 6조상 아동의 생명권이 최우선으로 보장 받아야한다는 조항이 있다. 베이비박스는 버려진 영아의 생명권을 위해, 입양이 힘든 미혼모를 위해, 마음을 고쳐 먹는 부모들을 위해 폐지되지 않고 계속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베이비박스가 사라진다면, 이 아이들은 어디로 가야할까요? 생명보다 더 귀한 것은 없다..
(2) 반대 측 주장 반박
베이비박스를 반대하는 입장의 주장에 대해 반론해 보겠다.
반대 입장은 베이비박스가 아동유기를 조장한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아기를 버리는 행위를 쉽게 여기도록 만들기 때문에 아기가 생기면 베이비박스에 두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라 한다. 그러나 이미 전국에는 많은 아동복지시설이 있으며, 많은 아이들이 해마다 입소하고 있다. 베이비 박스가 아기를 버리는 행위를 조장한다는 연구결과는 없으며, 복지시설에 버려질 아기들이 베이비박스에 버려진다고 생각하는 쪽이 더 타당하다.
반대 입장은 미끄러운 경사길의 오류에 의해, 베이비박스를 설치하게 되면 결국 나중에는 아기를 버리는 것에 어떠한 도덕적 책임도 느끼지 못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기를 버린 부모는 한번은 어렵지만 두 번째는 쉬울 지도 모른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베이비박스의 설치는 아동유기의 증가와 상관관계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 논리는 전국 280여개의 아동복지시설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반대 입장은 베이비박스에 버려진 아기를 다시 되찾아가는 부모들은 아동복지시설에 버렸어도 다시 되찾아갈 것이라고 주장하며, 베이비박스는 필요 없는 것이라 말한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하면 베이비박스는 아동복지시설의 역할을 잘 해내고 있으며, 아동복지시설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결론이다. 오히려 아동복지시설보다 베이비박스가 주는 가벼운 인상과 쉬운 접근성에 의해, 길거리에 버려질 아기가 목숨을 건질 수 있다.
이상의 근거로 베이비박스의 설치를 적극 찬성한다.
추천자료
개발제한구역을 둘러싼 구조문제
현대사회의 생명윤리 - 장기매매, 대리모, 성매매
[사형제도의 역사 및 현황] 사형제도의 찬성입장 :사형제도존치론과 반대입장 : 사형제도폐지...
[올해최신자료][사형제도 존폐론 폐지론 존치론 총정리] 사형제도의 찬성입장[사형제도존치론...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아동 학대 및 유기에 관하여 사례를 제시하고 원인과 문제점 그리고 ...
낙태와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
[사형제도] 사형제도의 현황과, 역사 및, 찬반 논쟁의 주요 쟁점 등, 그에 대한 나의 입장
[정년연장 찬반] 정년연장(停年延長 / extension of retirement age)의 찬반토론 ; 정년연장...
안락사와 사회복지윤리적딜레마(안락사대안, 우리나라안락사, 호스피스, 안락사찬반론, 안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