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3
Ⅱ. 본론 3
1. 신재생에너지
1) 정의
2) 필요성
3) 종류
3-1) 신에너지
3-2) 재생 에너지
4) 장단점
4-1) 신에너지 장단점
4-2) 재생 에너지 장단점
5) 발전정책
Ⅲ. 결론 10
1. 본론 요약
2. 느낀점
Ⅳ. 참고문헌 10
Ⅱ. 본론 3
1. 신재생에너지
1) 정의
2) 필요성
3) 종류
3-1) 신에너지
3-2) 재생 에너지
4) 장단점
4-1) 신에너지 장단점
4-2) 재생 에너지 장단점
5) 발전정책
Ⅲ. 결론 10
1. 본론 요약
2. 느낀점
Ⅳ. 참고문헌 10
본문내용
오매스
공해 물질이 적다.
재생성하고 있어 고갈문제가 적다.
에너지의 활용도가 높다.
바이오에너지 원료 확보를 위해 넓은 면적의 토지가 필요하다.
산림이 많이 고갈될 우려가 있다.
풍력에너지
무제한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이다.
공해 배출을 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이다.
설치비용이 적고 설치 기간이 짧다.
발전에 최소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블랙아웃 상황에서도 가동할 수 있다.
연중 바람이 부는 곳을 찾는 것이 어렵다.
바람이 약한 곳은 발전량이 떨어진다.
전력 수요가 있는 곳과의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소음이 많이 있다.
환경 미관을 해친다는 비판이 가능하다.
소수력 에너지
한번 건설되면 직접적인 폐기물 방출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적은 편이다.
국내 부존 잠재량이 많아 보급 효과가 크다.
에너지 밀도가 높아 다른 에너지원에 비교해 꾸준한 발전 공급이 가능하다.
댐의 초기 건설의 비용이 많이 든다.
저수지를 건설할 시 지형을 침수시켜야 해서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
강수량에 좌우되기 때문에 전기 공급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해양에너지
무공해 청정에너지이고 고갈될 염려가 적다.
조력 발전은 에너지를 저장할 필요가 없다.
해양생태계 파괴할 수 있으며 에너지 밀도가 적다.
시설비용이 많이 든다.
전력 수요지와의 거리가 멀다.
지열 에너지
보급 잠재력이 높으며 발전비용이 저렴·깨끗하다.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폐기물도 나오지 않는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이다.
채산성이 떨어지며 환경적 제약이 있다.
다시 보충할 수 없고 재생할 수 없다.
땅의 침전 가능성이 있으므로 땅속 상황 파악이 어렵다.
폐기물 에너지
원료의 가격이 낮거나 처리비를 받을 수 있어 에너지 회수의 경제성이 비교적 높다.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의 방지 효과 얻을 수 있다.
고도의 기술과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폐기물 에너지화 과정에서 또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많은 처리기술 필요하다.
② 재생 에너지 장단점
발전정책
① 미국 - ‘수소·연료전지, BE 강국 건설’ 선언
2003년 1월, 기술개발에 향후 5년간 수소제조·인프라 개발에 12억 불,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에 5억 불 총 17억 불 투자를 했다.
수소 경제 국제파트너쉽(IPHE) 등 세계 주도권을 선점했다.
② 일본 태양광 분야 주도권 50% 유지, 수소·연료전지 본격 보급
2010년까지 태양광 4,820MW(1000MW 원전 5기) 보급했다.
연료전지차 5만 대, 가정용 연료전지 70만대(220만 kw) 보급했다.
③ 캐나다 미국, 일본과 수소·연료전지 개발 경쟁
정부 주도 R&D를 통해 분야별 핵심기업 ’Ballard(연료전지), Dynetek(수소저장용기), Fuel Cell Tech(시험장비)‘ 육성한다.
「h2EA프로그램」 등 수소 경제 조기 진입 노력인 수소 경제를 위한 정부·기업 간 파트너쉽 프로그램(2003.9)을 시행한다.
④ EU 2010년 총 에너지 소비의 12%, 총발전량의 22% 공급 목표
독일
세계 최대 풍력 보급을 [전세계의 36%] 2020년까지 태양광 2,600MW 보급 목표
덴마크
풍력설비시장 세계 1위(38.5%) 2~3MW급 대형 해상풍력 개발 선도
프랑스
세계 최초 조력발전소 240MW 건설 운영
영국
‘환경친화적 에너지 정책 비전’ 발표(2003), 2010년까지 180억 불 투자
⑤ 한국 - 정부 재생 에너지 3020 이행계획
전체 에너지원에서 재생 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20%까지 확대하는 전략으로 태양광과 풍력이 주력이다.
⑥ 한국 - 세계 5대 신재생에너지 강국 달성
민·관 합동 5년간(11~15) 총 40조 원(민간 33조 원, 정부 7조 원) 투자한다.
Ⅲ. 결론
본론 요약
신에너지(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와 재생 에너지(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에너지, 소수력 에너지, 해양에너지, 지열 에너지, 폐기물 에너지)가 합쳐진 용어이며 기존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해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에너지원의 9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이들 중에서 80% 이상이 화석연료가 차지하며 더욱이 이들 대부분을 국제정세가 항상 불안한 중동지역에서 수입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에너지 안보에 취약하다.
에너지 고갈에 대비하기 위하여 에너지 자원을 절약하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여 우리만의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느낀점
고유가와 기후변화협약에 능동적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확대 및 강화는 필수 과업이라고 생각한다.
재생 에너지의 기술개발은 물론이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보급 정책에 모든 국민이 인식하고 필요성을 느껴 참여해야 한다.
평소에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 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한 번 더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Ⅳ. 참고문헌
에너지신문/ 「[기고] 신재생에너지, 세계시장의 문을 두드려라」/ 2017-05-24/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937
초록발자국/ 「신재생 에너지 장단점 5가지와 필요성」/ GREEN NEWS 360/ 2020-12-03/
https://greennews360.com/renewable-energy/
한국전기안전공사/ 「신재생에너지 장단점 한 전에 보기」/ 네이버 블로그/ 2017-10-25/
https://blog.naver.com/kescomiri/221124741812
- 남기웅/ 「신재생에너지 정책」/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23/ 2013/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2132196
박순철/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정책방향」/ 한국에너지학회 학술발표회/ 29-42/ 2017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0919235
공해 물질이 적다.
재생성하고 있어 고갈문제가 적다.
에너지의 활용도가 높다.
바이오에너지 원료 확보를 위해 넓은 면적의 토지가 필요하다.
산림이 많이 고갈될 우려가 있다.
풍력에너지
무제한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이다.
공해 배출을 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이다.
설치비용이 적고 설치 기간이 짧다.
발전에 최소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블랙아웃 상황에서도 가동할 수 있다.
연중 바람이 부는 곳을 찾는 것이 어렵다.
바람이 약한 곳은 발전량이 떨어진다.
전력 수요가 있는 곳과의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
소음이 많이 있다.
환경 미관을 해친다는 비판이 가능하다.
소수력 에너지
한번 건설되면 직접적인 폐기물 방출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적은 편이다.
국내 부존 잠재량이 많아 보급 효과가 크다.
에너지 밀도가 높아 다른 에너지원에 비교해 꾸준한 발전 공급이 가능하다.
댐의 초기 건설의 비용이 많이 든다.
저수지를 건설할 시 지형을 침수시켜야 해서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
강수량에 좌우되기 때문에 전기 공급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해양에너지
무공해 청정에너지이고 고갈될 염려가 적다.
조력 발전은 에너지를 저장할 필요가 없다.
해양생태계 파괴할 수 있으며 에너지 밀도가 적다.
시설비용이 많이 든다.
전력 수요지와의 거리가 멀다.
지열 에너지
보급 잠재력이 높으며 발전비용이 저렴·깨끗하다.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폐기물도 나오지 않는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이다.
채산성이 떨어지며 환경적 제약이 있다.
다시 보충할 수 없고 재생할 수 없다.
땅의 침전 가능성이 있으므로 땅속 상황 파악이 어렵다.
폐기물 에너지
원료의 가격이 낮거나 처리비를 받을 수 있어 에너지 회수의 경제성이 비교적 높다.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의 방지 효과 얻을 수 있다.
고도의 기술과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폐기물 에너지화 과정에서 또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많은 처리기술 필요하다.
② 재생 에너지 장단점
발전정책
① 미국 - ‘수소·연료전지, BE 강국 건설’ 선언
2003년 1월, 기술개발에 향후 5년간 수소제조·인프라 개발에 12억 불,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에 5억 불 총 17억 불 투자를 했다.
수소 경제 국제파트너쉽(IPHE) 등 세계 주도권을 선점했다.
② 일본 태양광 분야 주도권 50% 유지, 수소·연료전지 본격 보급
2010년까지 태양광 4,820MW(1000MW 원전 5기) 보급했다.
연료전지차 5만 대, 가정용 연료전지 70만대(220만 kw) 보급했다.
③ 캐나다 미국, 일본과 수소·연료전지 개발 경쟁
정부 주도 R&D를 통해 분야별 핵심기업 ’Ballard(연료전지), Dynetek(수소저장용기), Fuel Cell Tech(시험장비)‘ 육성한다.
「h2EA프로그램」 등 수소 경제 조기 진입 노력인 수소 경제를 위한 정부·기업 간 파트너쉽 프로그램(2003.9)을 시행한다.
④ EU 2010년 총 에너지 소비의 12%, 총발전량의 22% 공급 목표
독일
세계 최대 풍력 보급을 [전세계의 36%] 2020년까지 태양광 2,600MW 보급 목표
덴마크
풍력설비시장 세계 1위(38.5%) 2~3MW급 대형 해상풍력 개발 선도
프랑스
세계 최초 조력발전소 240MW 건설 운영
영국
‘환경친화적 에너지 정책 비전’ 발표(2003), 2010년까지 180억 불 투자
⑤ 한국 - 정부 재생 에너지 3020 이행계획
전체 에너지원에서 재생 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20%까지 확대하는 전략으로 태양광과 풍력이 주력이다.
⑥ 한국 - 세계 5대 신재생에너지 강국 달성
민·관 합동 5년간(11~15) 총 40조 원(민간 33조 원, 정부 7조 원) 투자한다.
Ⅲ. 결론
본론 요약
신에너지(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와 재생 에너지(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에너지, 소수력 에너지, 해양에너지, 지열 에너지, 폐기물 에너지)가 합쳐진 용어이며 기존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해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에너지원의 9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이들 중에서 80% 이상이 화석연료가 차지하며 더욱이 이들 대부분을 국제정세가 항상 불안한 중동지역에서 수입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에너지 안보에 취약하다.
에너지 고갈에 대비하기 위하여 에너지 자원을 절약하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여 우리만의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느낀점
고유가와 기후변화협약에 능동적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확대 및 강화는 필수 과업이라고 생각한다.
재생 에너지의 기술개발은 물론이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보급 정책에 모든 국민이 인식하고 필요성을 느껴 참여해야 한다.
평소에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 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한 번 더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Ⅳ. 참고문헌
에너지신문/ 「[기고] 신재생에너지, 세계시장의 문을 두드려라」/ 2017-05-24/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937
초록발자국/ 「신재생 에너지 장단점 5가지와 필요성」/ GREEN NEWS 360/ 2020-12-03/
https://greennews360.com/renewable-energy/
한국전기안전공사/ 「신재생에너지 장단점 한 전에 보기」/ 네이버 블로그/ 2017-10-25/
https://blog.naver.com/kescomiri/221124741812
- 남기웅/ 「신재생에너지 정책」/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23/ 2013/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2132196
박순철/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정책방향」/ 한국에너지학회 학술발표회/ 29-42/ 2017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091923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