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평화와 통일의 정의
2. 남한과 북한이 나뉜 이유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의 견해
Ⅱ. 본론
1. 통일해야 하는 이유
2. 북한의 이해
3. 남북한 통일방안 비교
4. 통일을 위한 노력
5. 남북통일의 영향
Ⅲ. 결론
1. 느낀점
Ⅳ. 참고문헌
1. 평화와 통일의 정의
2. 남한과 북한이 나뉜 이유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의 견해
Ⅱ. 본론
1. 통일해야 하는 이유
2. 북한의 이해
3. 남북한 통일방안 비교
4. 통일을 위한 노력
5. 남북통일의 영향
Ⅲ. 결론
1.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높은 유대 - 미연방)
공통점
- 남북의 체제 공존 인정
흡수통일 및 적화통일 사실상 포기
2개의 독립적 실체 사이의 교류협력 확대
지역 정부 간 협력 제도 설치
차이점
연방 국가의 존재 여부
군사, 외교 행사의 주체나 강도
합의
나라의 통일을 위한 남측의 연합제와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
통일을 위한 노력
① 이산가족 상봉
남북으로 헤어져 만나지 못하는 이산가족들은 분단의 아픔을 누구보다도 크게 느끼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아픔을 달래기 위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꾸준히 열고 있다. 2018년까지 21번의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되었다.
② 남북 단일팀 구성과 문화 교류
탁구나 축구 경기에서 남북 단일팀을 만들어서 올림픽 등 국제스포츠경기대회에 참가한다. 남북이 합동해서 애니메이션을 만들거나 예술단이 공연하는 때도 있다.
예) 민간 경제 지원(1998), 금강산 육로 관광(2003), 개성 공단 건설(2003) 등
③ 6·15 남북 공동 선언
2000년 6월에 남북이 분단된 이래 처음으로 남한과 북한의 정상이 만났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직접 만나서 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2007년 10월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도 북한을 방문하여 남북의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남북통일의 영향긍정적인 영향
부정적인 영향
영토가 2배 이상 넓어져서 국력에 도움이 되고 천연자원이 많이 있는 북한의 영토는 경제적으로 좋은 영향을 가진다.
대륙과 육로가 연결되어 만들어지면 북한의 위쪽인 중국, 러시아 쪽으로 기차를 타고 여행을 갈 수 있고 교역을 하게 되면 운반비를 줄일 수 있다.
북한의 인구가 합쳐서 인구가 늘어나면 내수시장이 제대로 돌아갈 수 있고 외부 시장 상황에 더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북한의 아직 개발하지 못한 곳을 국토개발을 하게 되면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고 경제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직접 전쟁을 하게 될 상대가 없어지게 되어 비정상적으로 많은 육국 병력이 불필요하게 된다. 징병제에서 모병제로 바뀔 가능성이 있고 국방비를 다른 곳에 투자할 수 있다.
남한의 국내총생산이 북한보다 높으므로 통일은 곧 대북 원조로 이어지게 된다. 현재 실업률이 높고 어려운 상황에서 세금 부담이 늘어난다.
북한과는 한민족이긴 하지만 분단이 거의 70년여간 이어진 탓에 많은 문화적 차이가 나타난다. 서로의 사고방식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며 갈등이 생길 것이다.
남한의 민주주의 체제와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의 차이를 하루아침에 받아들일 수 없다, 아직 이념이 통합되지 않아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북한 지역에 지원이 늘어나갈수록 남한의 경제력은 약화 될 것이다. 일시적으로 생길 수 있지만, 과도한 경제력 격차로 통일 시기가 앞당겨지면 양측에 적지 않은 경제적 충격이 나타날 수 있다.
통일되면 중요한 사회문제로 빈부격차가 극심해질 것이다.
Ⅲ. 결론
느낀점
평소에 통일의 필요성을 느끼기는 하지만 통일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냉정한 것 같다. 그래서 막상 통일되면 좋은 점보다는 안 좋은 점이 더 눈에 들어오고 통일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노력뿐만 아니라 국민 개인이 통일에 관한 관심을 가지고 준비와 노력을 하는 것도 중요하고 생각했다. 그중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이해이다. 앞서 말한 ‘통일의 부정적인 영향’에 작성한 것과 같이 오랜 분단을 통해 문화적 차이가 발생하여 다양성이 존중되지 않는다면 차별이 발생해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민족이 다름을 인정하고 타인을 존중하는 성숙한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으로서 그들을 인정하고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게 되면 남북통일로 나아갈 수 있는 소중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느꼈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이라는 교양과목을 처음에는 신설과목이고 평소에 통일에 관한 관심이 많이 있어서 호기심으로 신청하게 되었다. 그러나 교수님께서 첫 시간에 평화와 통일의 정의를 말씀해주며 북한의 현 상태를 알게 되어 약간의 충격과 심각성을 알게 되었다. 특히 지금 이 과제를 하며 북한에 대해 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평소에 헷갈렸던 통일은 왜 해야 하고 통일을 하게 되면 어떤 것이 바뀔지에 대해 알게 되어 뜻깊은 시간이었다.
남북통일은 우리가 평생 헤져나가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하고 지금의 우리와 미래의 후손이 더욱더 편안하고 안전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평화적으로 올바른 해결방안이 필요하고 서로의 조건·가치관이 맞아야겠다고 생각했다.
Ⅳ. 참고문헌
임석진 외 3명, “평화”, 네이버 지식백과, 200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88879&cid=41978&categoryId=41985
고민순 외 5명, 통일, 네이버 지식백과, 20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60197&cid=47305&categoryId=47305
통일연구원, “한반도 통일에 대한 동북아 4국의 인식”, 2013
https://repo.kinu.or.kr/bitstream/2015.oak/2265/1/0001461824.pdf
통일부 통일교육원,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 2018-08-28
https://unikorea.go.kr/books/archive/archive/?boardId=bbs_0000000000000043&mode=view&cntId=47367&category=&pageIdx=
“남과 북, 연대별 통일 위한 노력”
http://www.korearoot.net/unikorea/uniclass/tongil22_1.htm
무한상상, “통일을 해야하는 이유, 통일이 되면 좋은점 7가지”, 네이버 블로그, 2017-07-07, https://blog.naver.com/uwhole/221046219337
리뷰의 여신, “#68 남북통일, 남한과 북한이 통일을 하면 안좋은점”, 네이버 블로그, 2018-06-13, https://blog.naver.com/cni-company/221298037930
공통점
- 남북의 체제 공존 인정
흡수통일 및 적화통일 사실상 포기
2개의 독립적 실체 사이의 교류협력 확대
지역 정부 간 협력 제도 설치
차이점
연방 국가의 존재 여부
군사, 외교 행사의 주체나 강도
합의
나라의 통일을 위한 남측의 연합제와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
통일을 위한 노력
① 이산가족 상봉
남북으로 헤어져 만나지 못하는 이산가족들은 분단의 아픔을 누구보다도 크게 느끼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아픔을 달래기 위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꾸준히 열고 있다. 2018년까지 21번의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되었다.
② 남북 단일팀 구성과 문화 교류
탁구나 축구 경기에서 남북 단일팀을 만들어서 올림픽 등 국제스포츠경기대회에 참가한다. 남북이 합동해서 애니메이션을 만들거나 예술단이 공연하는 때도 있다.
예) 민간 경제 지원(1998), 금강산 육로 관광(2003), 개성 공단 건설(2003) 등
③ 6·15 남북 공동 선언
2000년 6월에 남북이 분단된 이래 처음으로 남한과 북한의 정상이 만났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직접 만나서 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2007년 10월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도 북한을 방문하여 남북의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남북통일의 영향긍정적인 영향
부정적인 영향
영토가 2배 이상 넓어져서 국력에 도움이 되고 천연자원이 많이 있는 북한의 영토는 경제적으로 좋은 영향을 가진다.
대륙과 육로가 연결되어 만들어지면 북한의 위쪽인 중국, 러시아 쪽으로 기차를 타고 여행을 갈 수 있고 교역을 하게 되면 운반비를 줄일 수 있다.
북한의 인구가 합쳐서 인구가 늘어나면 내수시장이 제대로 돌아갈 수 있고 외부 시장 상황에 더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북한의 아직 개발하지 못한 곳을 국토개발을 하게 되면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고 경제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직접 전쟁을 하게 될 상대가 없어지게 되어 비정상적으로 많은 육국 병력이 불필요하게 된다. 징병제에서 모병제로 바뀔 가능성이 있고 국방비를 다른 곳에 투자할 수 있다.
남한의 국내총생산이 북한보다 높으므로 통일은 곧 대북 원조로 이어지게 된다. 현재 실업률이 높고 어려운 상황에서 세금 부담이 늘어난다.
북한과는 한민족이긴 하지만 분단이 거의 70년여간 이어진 탓에 많은 문화적 차이가 나타난다. 서로의 사고방식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며 갈등이 생길 것이다.
남한의 민주주의 체제와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의 차이를 하루아침에 받아들일 수 없다, 아직 이념이 통합되지 않아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북한 지역에 지원이 늘어나갈수록 남한의 경제력은 약화 될 것이다. 일시적으로 생길 수 있지만, 과도한 경제력 격차로 통일 시기가 앞당겨지면 양측에 적지 않은 경제적 충격이 나타날 수 있다.
통일되면 중요한 사회문제로 빈부격차가 극심해질 것이다.
Ⅲ. 결론
느낀점
평소에 통일의 필요성을 느끼기는 하지만 통일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냉정한 것 같다. 그래서 막상 통일되면 좋은 점보다는 안 좋은 점이 더 눈에 들어오고 통일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차원에서의 노력뿐만 아니라 국민 개인이 통일에 관한 관심을 가지고 준비와 노력을 하는 것도 중요하고 생각했다. 그중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이해이다. 앞서 말한 ‘통일의 부정적인 영향’에 작성한 것과 같이 오랜 분단을 통해 문화적 차이가 발생하여 다양성이 존중되지 않는다면 차별이 발생해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민족이 다름을 인정하고 타인을 존중하는 성숙한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으로서 그들을 인정하고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게 되면 남북통일로 나아갈 수 있는 소중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느꼈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이라는 교양과목을 처음에는 신설과목이고 평소에 통일에 관한 관심이 많이 있어서 호기심으로 신청하게 되었다. 그러나 교수님께서 첫 시간에 평화와 통일의 정의를 말씀해주며 북한의 현 상태를 알게 되어 약간의 충격과 심각성을 알게 되었다. 특히 지금 이 과제를 하며 북한에 대해 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평소에 헷갈렸던 통일은 왜 해야 하고 통일을 하게 되면 어떤 것이 바뀔지에 대해 알게 되어 뜻깊은 시간이었다.
남북통일은 우리가 평생 헤져나가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하고 지금의 우리와 미래의 후손이 더욱더 편안하고 안전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평화적으로 올바른 해결방안이 필요하고 서로의 조건·가치관이 맞아야겠다고 생각했다.
Ⅳ. 참고문헌
임석진 외 3명, “평화”, 네이버 지식백과, 200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88879&cid=41978&categoryId=41985
고민순 외 5명, 통일, 네이버 지식백과, 20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60197&cid=47305&categoryId=47305
통일연구원, “한반도 통일에 대한 동북아 4국의 인식”, 2013
https://repo.kinu.or.kr/bitstream/2015.oak/2265/1/0001461824.pdf
통일부 통일교육원,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 2018-08-28
https://unikorea.go.kr/books/archive/archive/?boardId=bbs_0000000000000043&mode=view&cntId=47367&category=&pageIdx=
“남과 북, 연대별 통일 위한 노력”
http://www.korearoot.net/unikorea/uniclass/tongil22_1.htm
무한상상, “통일을 해야하는 이유, 통일이 되면 좋은점 7가지”, 네이버 블로그, 2017-07-07, https://blog.naver.com/uwhole/221046219337
리뷰의 여신, “#68 남북통일, 남한과 북한이 통일을 하면 안좋은점”, 네이버 블로그, 2018-06-13, https://blog.naver.com/cni-company/221298037930
추천자료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분석
국제정치의 변화와 한반도(북핵문제와 통일문제 중심으로)
한반도의 분단과정과 통일문제
[동북아시아]동북아다자안보협력(동북아시아다자간안보협력)의 부재원인, 동북아다자안보협력...
[규범][규범적 이미지][규범적 효력]미디어의 규범적 이미지, 단체협약의 규범적 효력, 한반...
[통일][남북통일]통일(남북통일)의 정의, 통일(남북통일)의 필요성, 통일(남북통일)의 당위성...
국제정치에서의 통합이론(한반도통일,독일통일)
[남북화해협력, 통일정책, 통일교육, 통일환경, 남북접촉, 언론]남북화해협력과 통일정책, 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