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작아지고 약간의 출혈이 동반된다.
태반박리는 산통 분만 후 몇 분 이내에 중앙부위에서부터 시작된다.
태반 만출은 모체가 아래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복부압력이 증가하면서 자궁, 질로부터 배출된다.
태반 박리된 후 자궁은 박리 되는 과정에서 붕괴된 혈관을 결찰 하기 위해 수축한다.
② 태반박리 증상
질로부터 혈액이 분출한다 → 자궁 하연(경관)쪽으로 내려온다 → 제대가 밀려 나온다.
→ 자궁의 모양이 평원형에서 구형(globular type)으로 변한다. → 음압현상에 의해 자 궁은 올라가고 태반은 내려온다.
③ 태반배출법
자궁 조절을 겸한 제대 견인법
제대 견인은 자궁이 수축되지 않는 한 자궁 내번의 위험이 있으므로 시행하지 않는다.
제대를 잡고 서서히 산도를 따라 아래로 잡아당기다가 그 후에는 밖으로 그 후 태반이 보이면 위로 당겨서 배출시키면 막이 자궁벽에서 모두 분리되어 따라 나온다.
④ 태반의 사정
제대관찰 : 제대혈관이 2개의 제대동맥과 한 개의 제대정맥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제대길이를 측정하며 제대매듭, 혈종, 부종 등이있는지 왈톤 젤리(wharton\'s jelly)의 양을 살펴본다.
치들 상부 압박법 : 제대가 약하거나 제대견인법으로 하다가 제대가 끊어진 경우에 이용.( 치골상부에서 뒤쪽 아래방향으로 누르면 태반이 배출)
용수박리법 : 태아 만출 후 계속적으로 출혈이 있으면서 태반이 완전히 박리 되지 않을때 최종적으로 완전히 소독적으로 할 수 있다면 소독장갑을 낀 손을 자궁 내에 넣어 내막을 쾀어내듯이 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다.
⑤ 옥시토신(Oxytocin) 사용 (=pitocin)
옥시토신은 분만3기에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모든 경우에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실혈량을 최소화하고 산모에게 안정감을 제공한다.
Oxytocin(Pitocin,Syntocinon),ergomovinemaleate(Ergotrate-혈압상승위험) methylergonovine maleate(Nerthergine)이 자궁 수축을 자극하고 출혈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다.
부작용 : anti-diuertic effect를 가져올 수 있다. 그래서 전해질이 많은 양의 포도당 용액에 섞어서 사용. 주입이 끝난지 수분이내에 항이뇨작용은 사라진다.
⑥ 산도의 열상(Laceration of the Birth)
1st-degree : 음순대(fourchette), 회음부, 피부, 질점막의 손상, 근육손상은 없음
2nd-degree : 회음부 근육손상은 있으나 항문 괄약근의 손상은 없음
3rd-degree : 피부, 점막, 회음부 근육, 항문 괄약근의 전반적인 손상 있음⇒ 열상 치료는 episiotomy와 같다.
4) Fourth Stage of Labor (분만 4기)
태반만출 이후 분만 후의 산모가 안정을 찾을 때까지 이다.
(보통 분만 후 2~3시간 정도)
출혈과 같은 합병증을 관찰하며, 자궁수축제를 투여한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보건복지부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퍼시픽 간호사 국가고시 대비 기념서 모성간호학
네이버 지식백과
태반박리는 산통 분만 후 몇 분 이내에 중앙부위에서부터 시작된다.
태반 만출은 모체가 아래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복부압력이 증가하면서 자궁, 질로부터 배출된다.
태반 박리된 후 자궁은 박리 되는 과정에서 붕괴된 혈관을 결찰 하기 위해 수축한다.
② 태반박리 증상
질로부터 혈액이 분출한다 → 자궁 하연(경관)쪽으로 내려온다 → 제대가 밀려 나온다.
→ 자궁의 모양이 평원형에서 구형(globular type)으로 변한다. → 음압현상에 의해 자 궁은 올라가고 태반은 내려온다.
③ 태반배출법
자궁 조절을 겸한 제대 견인법
제대 견인은 자궁이 수축되지 않는 한 자궁 내번의 위험이 있으므로 시행하지 않는다.
제대를 잡고 서서히 산도를 따라 아래로 잡아당기다가 그 후에는 밖으로 그 후 태반이 보이면 위로 당겨서 배출시키면 막이 자궁벽에서 모두 분리되어 따라 나온다.
④ 태반의 사정
제대관찰 : 제대혈관이 2개의 제대동맥과 한 개의 제대정맥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제대길이를 측정하며 제대매듭, 혈종, 부종 등이있는지 왈톤 젤리(wharton\'s jelly)의 양을 살펴본다.
치들 상부 압박법 : 제대가 약하거나 제대견인법으로 하다가 제대가 끊어진 경우에 이용.( 치골상부에서 뒤쪽 아래방향으로 누르면 태반이 배출)
용수박리법 : 태아 만출 후 계속적으로 출혈이 있으면서 태반이 완전히 박리 되지 않을때 최종적으로 완전히 소독적으로 할 수 있다면 소독장갑을 낀 손을 자궁 내에 넣어 내막을 쾀어내듯이 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다.
⑤ 옥시토신(Oxytocin) 사용 (=pitocin)
옥시토신은 분만3기에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모든 경우에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실혈량을 최소화하고 산모에게 안정감을 제공한다.
Oxytocin(Pitocin,Syntocinon),ergomovinemaleate(Ergotrate-혈압상승위험) methylergonovine maleate(Nerthergine)이 자궁 수축을 자극하고 출혈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다.
부작용 : anti-diuertic effect를 가져올 수 있다. 그래서 전해질이 많은 양의 포도당 용액에 섞어서 사용. 주입이 끝난지 수분이내에 항이뇨작용은 사라진다.
⑥ 산도의 열상(Laceration of the Birth)
1st-degree : 음순대(fourchette), 회음부, 피부, 질점막의 손상, 근육손상은 없음
2nd-degree : 회음부 근육손상은 있으나 항문 괄약근의 손상은 없음
3rd-degree : 피부, 점막, 회음부 근육, 항문 괄약근의 전반적인 손상 있음⇒ 열상 치료는 episiotomy와 같다.
4) Fourth Stage of Labor (분만 4기)
태반만출 이후 분만 후의 산모가 안정을 찾을 때까지 이다.
(보통 분만 후 2~3시간 정도)
출혈과 같은 합병증을 관찰하며, 자궁수축제를 투여한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보건복지부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퍼시픽 간호사 국가고시 대비 기념서 모성간호학
네이버 지식백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