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논리 모델의 구성요소와 그 요소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하고, 코로나 19시대에
아동, 노인, 장애인, 지역사회 등 문제 상황을 중심으로 논리 모델을 적용하여,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 사례(1가지)를 제시하시오
2) 우리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를 왜 해야하는지 그 필요성 및
중요성을 설명하고, 졸업 후 프로그램 전문가로서 어떤 역할과 자세로 임할 것인지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시오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논리 모델의 구성요소와 그 요소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하고, 코로나 19시대에
아동, 노인, 장애인, 지역사회 등 문제 상황을 중심으로 논리 모델을 적용하여,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 사례(1가지)를 제시하시오
2) 우리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를 왜 해야하는지 그 필요성 및
중요성을 설명하고, 졸업 후 프로그램 전문가로서 어떤 역할과 자세로 임할 것인지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시오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긴급돌봄인력 수급의 어려움에 대한 기사를 접하고 지원하여 격리시설로 오신 어르신을 단기로 돌봐드리는 업무를 하게 되었다. 내가 맡게 된 어르신은 장기요양등급을 받으시고 주간보호센터에 다니시다가 코로나 확진자가 생겨서 다니던 주간보호센터가 문을 닫고 돌봐드릴 가족이 없어서 격리시설로 오시게 된 경우였다. 안타깝게도 내가 경험이 부족하다보니 기관에서 제공해준 많은 프로그램과 자료가 있었지만 어르신의 병변에 맞추어서 활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방 한켠에서 며칠을 갇힌 생활을 하실 어르신의 단조로운 일과에 활력을 드리고 싶었으나 어르신이 내 마음처럼 따라주지 않으셨고 나도 어르신의 돌발행동에 당황하고 대처하기가 어려웠다.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실전적인 경험을 쌓아서 윤리의식을 기반으로 참여자에게 동기와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소통하는 전문가가 되도록 해야겠다.
3. 결론
코로나 상황에서 단순히 서비스 제공의 방법을 바꾸려고만 하는건 아닐까 프로그램을 기획하면서 고민이 들었다. 비대면이라는 방법을 활용했을 때 또 다시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소외계층이 생기는 것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돌봄의 방향이 중앙정부가 아니라 지역사회로 세분화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역할 확대와 재정적인 지원에 대한 논의 또한 필요하겠다. 사회와 경제의 변화에 사회복지도 따라가야 하고 코로나와 같은 새로운 위험에 대해 계속적인 고민이 필요하겠다.
4. 참고문헌
정무성. 2005. 사회복지프로그램개발론. 학현사.
이민홍·정병오,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나눔의 집, 2012.
황성철,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10.
3. 결론
코로나 상황에서 단순히 서비스 제공의 방법을 바꾸려고만 하는건 아닐까 프로그램을 기획하면서 고민이 들었다. 비대면이라는 방법을 활용했을 때 또 다시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소외계층이 생기는 것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돌봄의 방향이 중앙정부가 아니라 지역사회로 세분화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역할 확대와 재정적인 지원에 대한 논의 또한 필요하겠다. 사회와 경제의 변화에 사회복지도 따라가야 하고 코로나와 같은 새로운 위험에 대해 계속적인 고민이 필요하겠다.
4. 참고문헌
정무성. 2005. 사회복지프로그램개발론. 학현사.
이민홍·정병오,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나눔의 집, 2012.
황성철,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