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수요가 촉발된 요인
▣ 최근 사회복지행정 분야의 발전 현황을 알 수 있는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수요가 촉발된 요인
▣ 최근 사회복지행정 분야의 발전 현황을 알 수 있는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라 아동·청소년들이 가정 같은 보금자리에서 바르게 자라고 학교생활에도 잘 적응하며 지내는 모습을 보며 학교에서도 이러한 아동·청소년들이 생활하는 그룹홈과 연계하여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가 근무하는 직장에서 아동학대로 몇몇 아이들이 가정을 떠나 다른 곳에 가서 기거를 하고 또 비밀전학을 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 아이들이 생활하는 곳이 무척 궁금했었는데 그곳이 바로 그룹홈이라는 것을 알았다. 아이들이 가정을 떠나서 생활하고자하는 의사를 물었을 때 망설이지 않고 시청의 사회복지사를 따라가는 모습을 보고 너무나 안타까웠던 적이 있다. 오죽했으면 부모를 떠나 사회복지사를 따라갈까라고 생각하면서 그 아이들의 생활이 궁금했었는데 그룹홈에서 가정 같은 주택에서 처지가 비슷한 몇 명 아이들이 사회복지사들의 보호를 받으며 부모같은 원장님과 함께 생활하는 모습을 직접 보니 아이들에게 더욱 정이 가고 내가 실습하는 기간만이라도 따뜻하게 사랑으로 보듬어 주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대집단이 아닌 그리고 가정과 가까운 곳에서 가족같은 분위기에서 생활하게 하는 그룹홈이 있어 참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그룹홈 아이들의 특성을 보면 대부분의 아이들이 ADHD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과잉행동이나 분노조절장애를 가진 아이는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집어 던지는 행동을 서슴지 않고 했으며, 아토피나 희귀병을 가지고 있어 정기검진 및 치료를 하고 있었다. 도벽증이 심한 아이도 1명 있었다. 또한 만 18세까지 돌봄이라 그 이후에는 자립을 해야하는 고3 학생도 2명이나 있었는데 진로에 대한 고민과 자립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복지사의 돌봄속에서도 아이들은 정서적으로 불안정해보였고 그들끼리의 갈등이나 다툼도 많아 보였다.
그룹홈에서 가장 절실한 우선과제는 하루 3끼를 해결해야하는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식사재료준비, 요리를 하는 조리사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사회복지사가 남, 여로 나누어 남자집, 여자집에서 각자 식사를 준비하여 식사를 해 주고 있어 어려움이 많아보였다. 식사준비를 하는 조리원이 꼭 필요하였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에 대한 처우도 개선되었으면 한다. 휴게공간고 없이 열악한 환경속에서 근무하는 모습이 안스러웠다.
그룹홈 실습을 통해 아동복지에 대한 생각의 폭이 넓어졌으며 아울러 학교와 시설(고아원, 그룹홈 등)에 있는 아이들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으며 학교와 연계한 아이들에 대한 학업 및 생활지도, 특기지도 등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연계지도의 필요성도 절실하였다.
우리 아이들이 해맑은 모습으로 사회에 나가서도 당당하게 적응하고 어려움을 이겨내며 행복한 생활을 할수 있도록 아동복지가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참고 문헌 >
유해숙, 김영빈(2015). 학교사회복지. 방송대 출판문화원
문병기, 남석훈 공저(2017). 사회복지행정론. 방송대 출판문화원
주경필(2021). 사회복지실천론, 방송대 출판문화원
인터넷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 공동생활가정이란?
제가 근무하는 직장에서 아동학대로 몇몇 아이들이 가정을 떠나 다른 곳에 가서 기거를 하고 또 비밀전학을 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 아이들이 생활하는 곳이 무척 궁금했었는데 그곳이 바로 그룹홈이라는 것을 알았다. 아이들이 가정을 떠나서 생활하고자하는 의사를 물었을 때 망설이지 않고 시청의 사회복지사를 따라가는 모습을 보고 너무나 안타까웠던 적이 있다. 오죽했으면 부모를 떠나 사회복지사를 따라갈까라고 생각하면서 그 아이들의 생활이 궁금했었는데 그룹홈에서 가정 같은 주택에서 처지가 비슷한 몇 명 아이들이 사회복지사들의 보호를 받으며 부모같은 원장님과 함께 생활하는 모습을 직접 보니 아이들에게 더욱 정이 가고 내가 실습하는 기간만이라도 따뜻하게 사랑으로 보듬어 주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대집단이 아닌 그리고 가정과 가까운 곳에서 가족같은 분위기에서 생활하게 하는 그룹홈이 있어 참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그룹홈 아이들의 특성을 보면 대부분의 아이들이 ADHD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과잉행동이나 분노조절장애를 가진 아이는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집어 던지는 행동을 서슴지 않고 했으며, 아토피나 희귀병을 가지고 있어 정기검진 및 치료를 하고 있었다. 도벽증이 심한 아이도 1명 있었다. 또한 만 18세까지 돌봄이라 그 이후에는 자립을 해야하는 고3 학생도 2명이나 있었는데 진로에 대한 고민과 자립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복지사의 돌봄속에서도 아이들은 정서적으로 불안정해보였고 그들끼리의 갈등이나 다툼도 많아 보였다.
그룹홈에서 가장 절실한 우선과제는 하루 3끼를 해결해야하는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식사재료준비, 요리를 하는 조리사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사회복지사가 남, 여로 나누어 남자집, 여자집에서 각자 식사를 준비하여 식사를 해 주고 있어 어려움이 많아보였다. 식사준비를 하는 조리원이 꼭 필요하였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에 대한 처우도 개선되었으면 한다. 휴게공간고 없이 열악한 환경속에서 근무하는 모습이 안스러웠다.
그룹홈 실습을 통해 아동복지에 대한 생각의 폭이 넓어졌으며 아울러 학교와 시설(고아원, 그룹홈 등)에 있는 아이들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으며 학교와 연계한 아이들에 대한 학업 및 생활지도, 특기지도 등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연계지도의 필요성도 절실하였다.
우리 아이들이 해맑은 모습으로 사회에 나가서도 당당하게 적응하고 어려움을 이겨내며 행복한 생활을 할수 있도록 아동복지가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참고 문헌 >
유해숙, 김영빈(2015). 학교사회복지. 방송대 출판문화원
문병기, 남석훈 공저(2017). 사회복지행정론. 방송대 출판문화원
주경필(2021). 사회복지실천론, 방송대 출판문화원
인터넷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 공동생활가정이란?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행정론 공통)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를 요약하시오 나아가 1990년대 이후 우리나...
[2020 사회복지행정론][출처표기]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를 요약하시오. 나아가, 1990년대...
[사회복지행정론 공통]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를 요약하시오. 나아가, 1990년대 이후 우리...
[사회복지행정론 4학년 공통]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를 요약하시오. 나아가, 1990년대 이...
[사회복지행정론4]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를 요약하시오. 나아가,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
(사회복지행정론, 공통)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를 요약하시오. 나아가, 1990년대 이후 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