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사회복지] 구황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의 사회복지] 구황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인보호사업
2. 시식(施食)사업
3. 진휼 및 진대사업
4. 조적 및 방곡사업
5. 고조(顧助)
6. 견감
7. 원납(願納)
8. 인보상조
9. 구황방

본문내용

규(適失相規), 예속상교(禮博相交), 환난상휼(患難相) 등의 4개 덕목의 실천을 근본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그 중에서도 환난상휼은 구호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구체적인 사업으로는 위급한 곤란의 구제, 질병의 구제, 빈궁의 진휼, 노약자의 부양, 가자(家資)의 보급, 사상(死喪)의 조위. 사창의 경영 등의 7개 사업을 규정하고 있으나 그 외에도 각 지방의 실정과 필요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되었다. 이와 같이 향약은 주민의 정신적 물질적 생활문제를 전반적으로 해결함으로써 향리 주민의 생활에 큰 도움이 되었다. 또 향약은 관권에 대등한 일종의 지방자치단체로서 성원은 그 지방의 유력한 양반 토족 및 유생(儒生)들로 구성되고 유교에 기초를 둔 생활 실천조목을 규정하여 이를 실천함으로써 지방 풍교의 유지와 생업의 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다.
9. 구황방
고래로 우리나라 재민이나 빈민들은 초근목피 등으로 연명하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하여 중병이나 병사하는 예가 허다하였다. 세종은 구황청(救禁廳)으로 하여금 이들 초근 및 목피 가운데서 식용 가능한 것을 연구 조사하여 이를 대용식물로 선정하고 그 식용방법을 책으로 만들어 백성들에게 알리게 하였다. 즉, 이것이 \"구황방\" 또는 \"구황활요\"인데 명종 9년(1554)에 처음으로 인쇄되어 백성에게 보급되었다. \"구황방\"은 흉년에만 한하지 않고 평상시에도 대용식으로 혼용하여 식량을 절약할 수 있었으므로 영조 38년(1762)에 \"구황잘요\"를 재판하여 민간에 널리 배부하였다. 또 \"구황촬요\" 외에도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황촬유\", “구황본초“ 등의 책이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개념,   특징,   특성,   시대,   사회,   노인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6.07
  • 저작시기202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01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