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양의 특성을 관측하는 방법
2.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
3. 위도에 따른 해수 연직 수온분포
4. 염분
5. 염분약층
6. 용존산소량
2.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
3. 위도에 따른 해수 연직 수온분포
4. 염분
5. 염분약층
6. 용존산소량
본문내용
표층염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증발량과 강수량이다.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다면 염분은 증가할 것이며 반대로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적다면 염분은 감소할 것이다.
5. 염분약층
깊이에 따라 염분이 급격하게 변하는 층을 염분약층이라고 한다. 보통 아열대 고압대는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높아 표층 염분이 높게 측정된다. 하지만, 깊이 증가에 따라 염분이 급격히 낮아지는 염분약층이 나타나며 염분약층보다 더욱 수심이 증가하면 점차적으로 염분이 증가한다. 반면, 적도 및 극지역의 경우 표층 염분이 낮다. 고로 적도나 극지역에서는 중위도와는 달리 깊이 증가에 따라 염분이 점차 높아지는 형태의 염분 약층이 나타난다.
6. 용존산소량
용존산소량은 바닷물에 녹아 있는 산소의 비율이다. 바닷물에 녹아 있는 기체의 약 36%가 산소이다. 보통 고위도로 갈수록 해수의 온도가 낮아지며 녹는 산소의 양이 증가해 용존산소량이 높아진다. 또한 용존산소량을 깊이에 따라 고려할 때 표층해수는 공기와 접하기 때문에 산소 농도가 높다. 심층에서는 산소 농도가 높은 해수가 침강하는 관계로 산소 농도가 높으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압이 증가하는 관계로 용존 이산화탄소량 또한 증가한다.
5. 염분약층
깊이에 따라 염분이 급격하게 변하는 층을 염분약층이라고 한다. 보통 아열대 고압대는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높아 표층 염분이 높게 측정된다. 하지만, 깊이 증가에 따라 염분이 급격히 낮아지는 염분약층이 나타나며 염분약층보다 더욱 수심이 증가하면 점차적으로 염분이 증가한다. 반면, 적도 및 극지역의 경우 표층 염분이 낮다. 고로 적도나 극지역에서는 중위도와는 달리 깊이 증가에 따라 염분이 점차 높아지는 형태의 염분 약층이 나타난다.
6. 용존산소량
용존산소량은 바닷물에 녹아 있는 산소의 비율이다. 바닷물에 녹아 있는 기체의 약 36%가 산소이다. 보통 고위도로 갈수록 해수의 온도가 낮아지며 녹는 산소의 양이 증가해 용존산소량이 높아진다. 또한 용존산소량을 깊이에 따라 고려할 때 표층해수는 공기와 접하기 때문에 산소 농도가 높다. 심층에서는 산소 농도가 높은 해수가 침강하는 관계로 산소 농도가 높으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압이 증가하는 관계로 용존 이산화탄소량 또한 증가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