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배워야 하는 시각장애인과 같다. 이번에는 외국인 여성이 카드 인출 방법을 몰라 자원봉사자와 교육생들이 동행해 은행 인출기가 어디 있는지, 교통카드 비용이 얼마인지 등을 안내해주면서 이주여성들이 같은 이웃이자 친구라는 것을 우리 사회가 느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이런 지원제도에 박수를 보낸다. 이주여성들이 지역사회 내 민간단체들의 적극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우리와 이웃으로 함께 살고 있음에도 이들의 고충을 들어주려는 정치권의 노력이 너무 미약하다. 외국인이 편하게 사는 사회, 외국인으로서 차별받지 않는 사회, 가족과 자녀가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는 사회가 상식사회이자 선진사회라는 점에서 우리 정치인들이 외국인과 다문화에 대한 관심과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길 기대해본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정책론]일본과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 정책 비교 및 조사 - 다문화가정의 증가 배경...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적인 삶을 위한 행위전략연구 - 경기도 농촌 지역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
다문화 가정
가족복지 코시안의 집 다가정문화
[사회복지개론] 다문화자녀 [정의 개념 현황 증가원인 문제점]
(사회복지문화와 다양성 공통) 문화적 다양성의 배경을 가진 외국인(주민) 또는 다문화가족이...
우리나라 결혼이주여성 문제에 대해 조사하고, 정책적 제언에 대하여 본인의 생각을 정리해서...
우리나라 결혼이주여성 문제에 대해 조사하고, 정책적 제언에 대하여 본인의 생각을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