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Ι. 서론
Ⅱ. 본론
1. 4.3사건에 대한 간단요약
2. 4.3 평화재단 전시에 대한 소감
1) 제주 4.3 평화공원
2) 4.3 평화기념관
3) 상설전시실 영상 소감
4) 4.3 어린이체험관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4.3사건에 대한 간단요약
2. 4.3 평화재단 전시에 대한 소감
1) 제주 4.3 평화공원
2) 4.3 평화기념관
3) 상설전시실 영상 소감
4) 4.3 어린이체험관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필자는 4.3 평화재단의 전시가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4.3에 대해서 진실부터 알려주고 수많은 연구조사를 통해서 얻은 자료를 알려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평화재단이 나아가야 할 길은 여전히 멀다고 생각한다.
4.3사건에 대해서 모르는 국민들도 많으며, 북한의 공작에 의해 발생했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들이 제주도에 가서 직접 전시를 보면 좋겠지만, 제주도가 우리나라에 있다고는 하지만, 비행기나 배를 타고 가야 하기에 결코 가깝지 않다. 그렇기에 찾아가는 사람들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찾아가는 사람들이 소수에 불과하다는 것은 4.3사건에 대해 제대로 아는 사람들이 적다는 것과 같다.
필자는 4.3 평화재단이 전시를 제주도에서만 할 것이 아니라, 육지의 대도시로 나와서 특별전시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당연히 제주도에서 전시를 행하는 것이 의미가 깊겠지만, 찾아오는 사람이 적게 된다면 전시의 의미가 퇴색될 것이라 믿기에, 반드시 서울 및 부산 등 대도시에서의 전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한겨레(https://www.hani.co.kr).
제주4·3평화재단(jeju43peace.or.kr).
4.3사건에 대해서 모르는 국민들도 많으며, 북한의 공작에 의해 발생했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들이 제주도에 가서 직접 전시를 보면 좋겠지만, 제주도가 우리나라에 있다고는 하지만, 비행기나 배를 타고 가야 하기에 결코 가깝지 않다. 그렇기에 찾아가는 사람들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찾아가는 사람들이 소수에 불과하다는 것은 4.3사건에 대해 제대로 아는 사람들이 적다는 것과 같다.
필자는 4.3 평화재단이 전시를 제주도에서만 할 것이 아니라, 육지의 대도시로 나와서 특별전시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당연히 제주도에서 전시를 행하는 것이 의미가 깊겠지만, 찾아오는 사람이 적게 된다면 전시의 의미가 퇴색될 것이라 믿기에, 반드시 서울 및 부산 등 대도시에서의 전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한겨레(https://www.hani.co.kr).
제주4·3평화재단(jeju43peace.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