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Ι. 서론
Ⅱ. 본론
1. 이반 일리치의 생애에 대한 간단한 평(아프기 전까지)
2. 발병 후부터 죽음까지
3. 책으로 보는 삶과 죽음의 의미
Ⅲ. 맺음말
Ⅱ. 본론
1. 이반 일리치의 생애에 대한 간단한 평(아프기 전까지)
2. 발병 후부터 죽음까지
3. 책으로 보는 삶과 죽음의 의미
Ⅲ. 맺음말
본문내용
. 톨스토이는 사람이 죽는 것이 지극히 당연하다는 것을 밝히면서도 여기서 더 나아가 살아온 삶이 쾌락주의적이면 허무하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물론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필자가 생각했을 때. 이반 일리치 정도의 쾌락주의는 정말 평범한 사람들이 추구하는 쾌락에 불과할 뿐, 엄청난 수준의 쾌락이라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톨스토이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아마도 그는 약간 금욕주의적인 색채를 가진 사람이 아니었나 싶다.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마무리하려면 내가 사후세계를 믿는지, 혹은 믿지 않는지부터 말해야할 것만 같다. 왜냐하면, 주인공이 마지막에 이야기한 것 역시 약간의 사후세계 혹은 비현실세계가 개입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사후세계를 신봉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있다고 믿고 있는 사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죽음이 완전히 끝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오히려 현실 세계에서 사후세계를 위해서라도 조심해야할 점에 대해 분명히 견지하고 있기도 하다. 물론 죽음은 상당히 두렵다. 조금 다치기만 해도 아픈데, 주인공처럼 예기치 못한 죽음일 경우 얼마나 두려울까? 최소한 나는 예고된 죽음이 닥치지 않기를 바란다.
물론 이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필자가 생각했을 때. 이반 일리치 정도의 쾌락주의는 정말 평범한 사람들이 추구하는 쾌락에 불과할 뿐, 엄청난 수준의 쾌락이라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톨스토이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아마도 그는 약간 금욕주의적인 색채를 가진 사람이 아니었나 싶다.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마무리하려면 내가 사후세계를 믿는지, 혹은 믿지 않는지부터 말해야할 것만 같다. 왜냐하면, 주인공이 마지막에 이야기한 것 역시 약간의 사후세계 혹은 비현실세계가 개입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사후세계를 신봉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있다고 믿고 있는 사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죽음이 완전히 끝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오히려 현실 세계에서 사후세계를 위해서라도 조심해야할 점에 대해 분명히 견지하고 있기도 하다. 물론 죽음은 상당히 두렵다. 조금 다치기만 해도 아픈데, 주인공처럼 예기치 못한 죽음일 경우 얼마나 두려울까? 최소한 나는 예고된 죽음이 닥치지 않기를 바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