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후 증후군 케이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정지 후 증후군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 병태생리 및 원인
2. 임상 증상
3. 진단적 검사와 간호
4. 치료
5. 간호중재
6. 합병증 및 예후

Ⅲ. 사례연구
1. 대상자 사정
2.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Ⅳ. 결론(소감 및 자기성찰)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정지 후 증후군 이라는 진단명을 처음 들어보기도 했고 심정지 환자를 처음 보기도 하여서 심정지 후 증후군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원인, 증상, 치료방법, 간호제공 등에 대해 알아보고 심정지 후 증후군 환자들에게 필요한 간호를 제공하여 도움이 되고자 심정지 후 증후군을 케이스로 선정하게 되었다.
심정지
원인에 관계없이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한다.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면 각 조직으로의 혈류가 중단되므로 조직의 생체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어 조직의 기능이 정지된다. 조직으로의 혈류가 중단된 상태가 계속되면 세포가 괴사되고 각 기관의 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상실되어 사망하게 된다.
정의 심정지
원인에 관계없이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한다.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면 각 조직으로의 혈류가 중단되므로 조직의 생체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어 조직의 기능이 정지된다. 조직으로의 혈류가 중단된 상태가 계속되면 세포가 괴사되고 각 기관의 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상실되어 사망하게 된다.
심정지 후 증후군 5분 정도의 심정지 후 살아난 환자에서 다른 질환에서는 볼 수 없는 일련의 혈류, 세포, 생화학, 분자학적 과정으로 신체 전반에 걸쳐 허혈 및 재관류 손상과 이로 인해 생긴 비가역적 손상을 말한다. 심정지 후 순환이 회복된 사람의 55~71%는 병원 내에서 사망하며 병원 내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심정지 후 증후군은 순환 정지에 의한 전신의 허혈, 심폐소생술 및 순환회복에 따른 재관류에 의하여 여러 장기에 발생하는 복합 현상을 말한다. 심정지 후 증후군은 심정지 후 뇌손상, 심정지후 심근 기능 부전, 전신의 허혈-재관류 손상 및 심정지를 유발한 원인의 지속에 의하여 나타나는 병리 현상이다. 심정지 후 증후군의 발생 양상은 심정지 기간, 원인, 심정지 이전 환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심정지 후 증후군 중 환자의 장기 예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는 뇌손상이다. 심정지로부터 5분 이상이 경과한 후 소생된 환자의 대부분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뇌손상이 발생한다. 그 결과로 심정지 후 소생된 환자가 혈압 등 생체 징후는 안정 상태로 회복된 후에도 대부분 중증의 뇌손상으로 인하여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다. 심정지 후 뇌손상은 허혈과 재관류 손상에 의하여 발생하며 해마, 대뇌피질, 소뇌, 줄무늬체, 시상 부위에 주로 발생한다. 또한 뇌의 미세 관류장애에 의한 허혈, 이차 재관류 손상 및 조직부종, 뇌혈관 저항 증가에 따른 뇌 혈류량 감소 등이 소생 후에도 뇌손상을 지속시키는 원인이 된다.
심정지 후 살아난 환자에서 다른 질환에서는 볼 수 없는 일련의 혈류, 세포, 생화학, 분자학적 과정으로 신체 전반에 걸쳐 허혈 및 재관류 손상과 이로 인해 생긴 비가역적 손상임상증상 심정지 후 증후군의 중증도는 심정지 원인과 기간에 따라 다양하고 동반되는 뇌 손상, 심근 기능부전, 전신 허혈/재관류 반응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일 수 있다. 심정지 후 뇌손상은 혼수, 발작, 다양한 수준의 신경인지 장애 그리고 뇌사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뇌 미세순환장애, 뇌 자동 조절능 손상, 저혈압, 저탄산혈증, 저산소혈증, 고열, 저혈당, 고혈당 그리고 발작 등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심정지 후 심근기능부전은 심정지 후 흔히 발생하지만 대개는 2~3일 내에 회복된다. 전신 허혈/ 재관류 반응은 면역과 응고기전에 영향을 미쳐 다발성 장기 부전을 초래하고,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 가격4,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22.06.13
  • 저작시기2022.03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1170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