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의 유형, 특징, 활용사례, 발전방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타버스의 유형, 특징, 활용사례, 발전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메타버스의 개념

2. 메타버스가 부상하는 원인
1) 기술적 요인
2) 사회적 요인
3) 산업적 요인

3. 메타버스의 유형
1) 증강현실
2) 거울 세계
3) 라이프로깅
4) 가상 세계

4. 메타버스 특징
1) 메타버스 세계 구축 시 고려해야 할 특성
2) 메타버스의 특징

5.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주요 기반기술

6. 메타버스 활용 사례
1) 메타버스 교육 활용 사례
2) 패션 등 유명 브랜드 산업
3) 메타버스 광고
4) 메타버스 금융
5) 메타버스 부동산 시장
6) K팝 팬덤 행사의 장(場)이 된 ‘제페토’

7. 메타버스 발전방향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작으로 ‘제페토’는 비대면 시대의 K팝 스타와 팬덤이 소통할 수 있는 장(場)이 되어주었다. ‘제페토’는 댄스 퍼포먼스 공개(블랙핑크와 셀레나 고메즈, 트와이스), 컴백쇼 개최(선미) 등 다양한 K팝 스타의 이벤트를 메타버스로 옮겨와 개최함으로써 스타와 국내외 팬덤을 연결지어주는 공간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SM의 신인가수 에스파(aespa)는 현실과 가상세계의 멤버가 디지털 세계를 통해 성장하는 콘셉트로 데뷔한 그룹이다. 기존 멤버 4인과 가상공간 속에 존재하는 또 다른 자아(아이, ae) 4인으로 구성되어 현실과 가상을 넘나든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음. SM은 에스파의 공식 SNS 계정 등을 통해 현실세계 멤버와 가상세계의 아바타가 소통하는 영상들을 공개하며 꾸준히 세계관을 정립해나가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2021). 메타버스와 콘텐츠. 한국콘텐츠진흥원, KOCCA포커스 통권 134호.
7. 메타버스 발전방향
① 표준안 마련
메타버스의 지속 가능성과 유용성, 확장성 관점에서 산업 전체 혹은 글로벌 수준에서 합의된 프로토콜 및 교환방식에 대한 공개 표준화가 필요하다. 메타버스 시장에서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국제표준안 마련 및 국제표준기구의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한 영향력 확대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민·관 협의체 구성을 통해, 유망 IT 기업의 메타버스 서비스, 콘텐츠, 플랫폼 등에 개방형 표준 도입 등을 위한 노력을 이어나가야 한다.
② 기술기반 확충 지원
XR 하드웨어, 마이크로디스플레이, 5G·6G 등 기반이 되는 인프라, 하드웨어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사용자 제한 없이 대규모의 다중 이용자가 접속하여 동시성을 가질 수 있는 기술 아키텍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소프트웨어·콘텐츠 단의 서비스도 중요하지만, 메타버스 시장 선점 및 점유율 확대를 위해서는 하드웨어·디바이스 개발 및 투자 비중 확대가 필요하며, 관련 정책지원 및 전략적 접근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현실-가상의 실시간 데이터 연결 및 상호작용에 있어서 초고속 네트워크(5G·6G) 기술 및 클라우드, 데이터 인프라의 지속적인 확대가 필요하다. 고미현(2021). 비대면이 일상으로, 메타버스(Metaverse)의 부상과 새로운 기회.
③ 메타버스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문제는 ‘경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보다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제도적윤리적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④ 현재 MZ세대를 중심으로 10대 주도하고 있는 메타버스 시장에 대한 접근성 강화를 통해 디지털 격차 해소가 필요하다. 향후 메타버스가 일상생활의 플랫폼으로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비하여 다양한 계층들(장년층, 노년층 등)이 메타버스에 어려움 없이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⑤ 현재의 법·제도와 메타버스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최신화를 지속해야 할 필요도 있다. 또한 메타버스에서 이루어진 활동에 대해 현실적 효력을 인정할 수 있는지, 상거래가 이루어질 경우 불공정거래 등에 대해 분쟁에 대해서는 어떠한 기준으로 해결해야 할지, 메타버스 시스템이 해킹되거나 침해될 경우 이용자 보호는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대한 정책적 고려도 필요하다. 허민영(2021). 메타버스 관련 주요 논의 동향과 소비자이슈.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동향 제117호.
8. 참고문헌
고미현(2021). 비대면이 일상으로, 메타버스(Metaverse)의 부상과 새로운 기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고선영,김종인,신용태(2021). 메타버스의 개념과 발전 방향. 정보처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김상균(2020). 메타버스(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플랜비디자인.
김상균(2020).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메타버스. 플랜비디자인.
김상균,신병호(2021).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 베가북스.
관계부처합동(2022).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 관계부처합동.
신석영(2021). 메타버스의 부상과 금융업의 변화. 하나금융그룹.
이유택,김묘은 외(2021). 서울형 메타버스 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이진규(2021). 메타버스와 프라이버시, 그리고 윤리-논의의 시작을 준비하며.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2021). 메타버스와 콘텐츠. 한국콘텐츠진흥원, KOCCA포커스 통권 134호.
허민영(2021). 메타버스 관련 주요 논의 동향과 소비자이슈.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정책동향 제117호.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6.14
  • 저작시기202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0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