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건강상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평가한 후 총점과 구체적인 취약 항목 등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서술하시오.
2. 1번에 서술한 내용을 토대로 구체적인 건강관리 전략과 계획을 세우시오.
3. 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을 5가지 이상 기술한 후 편견과 객관적 사실을 구별하여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합리적 이유를 설명하시오
4. 정신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5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5. 참고문헌
2. 1번에 서술한 내용을 토대로 구체적인 건강관리 전략과 계획을 세우시오.
3. 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을 5가지 이상 기술한 후 편견과 객관적 사실을 구별하여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합리적 이유를 설명하시오
4. 정신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5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안을 5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필자가 생각하는 정신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방안은 크게 가지이다. 먼저, 정신장애인이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켰을 경우 지나치게 대대적으로 보도를 하는 것이 문제이다. 앞서 말했듯, 우리는 조현병을 가진 사람이 살인을 했다는 기사를 상당히 많이 접했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조현병을 상당히 위험한 질병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인구대비 살인사건이 훨씬 적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정신질환으로 인한 살인기사를 다루고 싶다면, 인구대비 비율도 적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야만 대중매체에 약한 국민들 역시 인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 아닌가?
두 번째, 현재 정신장애인 고용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 월페어뉴스 2020년 5월 29일 기사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73981 참조.
에 의하면 2019년 기준 정신장애인의 고용률은 11.6%로 15개 장애유형별 고용률 순위에서 최하위로 나타났다. 이렇게 정신장애인의 고용률이 낮다는 것은 그들에 대한 인식이 매우 좋지 못하다는 이야기이다. 원래라면 인식을 좋게 만들어 고용률을 높여야겠지만, 현 상황에서 그런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필자는 정부가 주도하여 정신장애인의 고용률이 각종 장애유형의 평균정도는 되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신장애인이 사회 곳곳에 퍼져서 일을 하게 된다면 인식이 좋아지게 될 것이다.
세 번째, 여러 공익 광고나 캠페인을 통해 정신장애인이 불치병이 아님을 알리고 ‘잠재적 범죄자’라는 인식을 벗게 해줘야만 한다. 그래야만 정신장애인이 자신의 병세를 타인에게 알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고 더 나아가 자연스럽게 치료를 받게 될 것이라 본다.
네 번째,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시민단체에게 지원금을 주어 지역사회에서부터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시도해야만 한다. 다섯 번째, 의무교육이 이루어지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부터 정신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게 된다면 정신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점차 증가할 것이기에 인식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5. 참고문헌
한성대신문(https://www.hansungnews.com).
헬스조선 뉴스(https://m.health.chosun.com).
정신의학신문(http://www.psychiatricnews.net).
필자가 생각하는 정신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방안은 크게 가지이다. 먼저, 정신장애인이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켰을 경우 지나치게 대대적으로 보도를 하는 것이 문제이다. 앞서 말했듯, 우리는 조현병을 가진 사람이 살인을 했다는 기사를 상당히 많이 접했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조현병을 상당히 위험한 질병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인구대비 살인사건이 훨씬 적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정신질환으로 인한 살인기사를 다루고 싶다면, 인구대비 비율도 적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야만 대중매체에 약한 국민들 역시 인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 아닌가?
두 번째, 현재 정신장애인 고용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 월페어뉴스 2020년 5월 29일 기사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73981 참조.
에 의하면 2019년 기준 정신장애인의 고용률은 11.6%로 15개 장애유형별 고용률 순위에서 최하위로 나타났다. 이렇게 정신장애인의 고용률이 낮다는 것은 그들에 대한 인식이 매우 좋지 못하다는 이야기이다. 원래라면 인식을 좋게 만들어 고용률을 높여야겠지만, 현 상황에서 그런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필자는 정부가 주도하여 정신장애인의 고용률이 각종 장애유형의 평균정도는 되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신장애인이 사회 곳곳에 퍼져서 일을 하게 된다면 인식이 좋아지게 될 것이다.
세 번째, 여러 공익 광고나 캠페인을 통해 정신장애인이 불치병이 아님을 알리고 ‘잠재적 범죄자’라는 인식을 벗게 해줘야만 한다. 그래야만 정신장애인이 자신의 병세를 타인에게 알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고 더 나아가 자연스럽게 치료를 받게 될 것이라 본다.
네 번째,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시민단체에게 지원금을 주어 지역사회에서부터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시도해야만 한다. 다섯 번째, 의무교육이 이루어지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부터 정신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게 된다면 정신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점차 증가할 것이기에 인식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5. 참고문헌
한성대신문(https://www.hansungnews.com).
헬스조선 뉴스(https://m.health.chosun.com).
정신의학신문(http://www.psychiatricnews.net).
키워드
추천자료
생활과건강 2022년] 건강상태 질문지(교재 147-148, 표4-3)를 이용하여 자신의건강상태를 평...
생활과건강4)신체 및 정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강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관리 ...
[2022 생활과건강][출처표기] 1.신체 및 정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강상태에 대한 지...
[생활과건강 2022] 1. 건강상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평가한 후 총점과 구체...
2022년 방송대 생활과건강] 건강상태 질문지(교재 147-148, 표4-3)를 이용하여 자신의건강상...
(생활과건강, 공통) 1. 신체 및 정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강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평...
[생활과건강 2022년] 1. 건강상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평가한 후 총점과 구...
방송대 생활과건강 2022] 1) 건강상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신의건강상태를 평가 총점과 구체...
건강상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평가한 후 총점과 구체적인 취약 항목 등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