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 간호과정 케이스 연구 및 간경변 증상,병태생리 및 간경변 간호와 치료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경변 간호과정 케이스 연구 및 간경변 증상,병태생리 및 간경변 간호와 치료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경변 개념

2. 간경변 4가지 유형과 각 발생원인 분석
(1) 괴사 후 경변증 발생원인
(2) 울혈성 경변증 발생원인
(3) 담즙성 경변증 발생원인
(4) 알코올성 경변증 발생원인

3. 간경변 증상
(1) 초기단계
(2) 진행단계

4. 간경변 병태생리

5. 간경변의 진단

6. 간경변 환자의 간호

7. 간경변 치료법

8. 간경변 간호과정 케이스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1) 객관적 자료
2) 주관적 자료
(3) 간호목표
1) 장기목표
2) 단기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9. 느낀점

본문내용

먹을 필요는 없다. 단, 간에 부담을 주는 것을 피해야하므로 비만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한다.
- 약물요법
간경변증의 치료약제는 없다. 복수, 간성혼수, 식도정맥류 출혈 같은 합병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며, 생활 관리를 통해서 증세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심한 간경변증환자에 대해서는 간이식을 시행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간이식술 치료성적이 매우 향상되어 보편적인 치료법으로 정착되고 있다.
Corticosteroid가 괴사 후 경변증 환자에게 사용 될 수 있다. 비타민 B와 지용성 비타민(A,D.E.K)을 Laennec\'s 경변증 환자에게 공통적으로 투여한다. 복수에 대한 이뇨제의 투여와 같이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약제들을 사용 할 수 있다.
8. 간경변 간호과정 케이스
(1) 간호진단
흡수·대사와 관련한 영양 부족
대사요구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불충분한 영양섭취
(2) 간호사정
1) 객관적 자료
O:
-vital sign의 변화
날짜
T
P
RR
BP
입원
36.5
75
25
90/55
6/27
36.2
100
20
110/75
6/28
36.2
95
18
120/80
-I&O 측정결과
6/26
6/27
6/28
intake
500
815
920
out put
325
525
613
-식사를 잘못하는 것으로 관찰됨
-기운이 없고 축 늘어진 상태가 관찰됨
2) 주관적 자료
S:
“속이 좀 더부룩해요.”
“(배에 손을 얹고) 소화가 잘안되는 거 같아요”
“밥을 많이 못 먹겠어요”
“배가 아프고 식욕이 없어요.”
(3) 간호목표
1)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활동 수준과 대사 요구에 맞는 일일 영양 요구량을 섭취하여, 목표체중(47.5kg)을 관리하고 유지할 것이다
2) 단기목표
대상자는 12시간 이내에 영양의 중요성을 설명할 것이다.
(4) 간호계획
1) 간호계획
- 영양상태를 평가할 것이다.
- 체중을 측정할 것이다.
- 균형잡힌 식사를 하도록 지도할 것이다.
- 소량의 식사를 자주 제공할 것이다.
- 즐겁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식사하도록 할 것이다.
- 식사 전 오심을 조절할 것이다.
- 구강간호를 격려할 것이다.
- 영양의 중요성을 교육할 것이다.
2) 이론적 근거
- 영양 결핍 시 피부가 거칠어지고 피하 지방층이 얇아지며 근육의 긴장성이 상실되고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난다.
- 대사요구량을 충족하지 못하면 체중이 감소된다.
- 손상된 간세포의 회복을 돕기위해서다.
- 소량의 식사는 위의 부담을 줄인다.
- 쾌한 환경, 소리, 냄새 등과 통증이나 피로는 식욕을 떨어뜨린다.
- 구강위생은 미각을 증진한다.
(5) 간호수행
1)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날짜
영양상태
6/26
BMI-15.3, 거칠고 건조한 피부, 소화장애
6/27
BMI-15.7, 오심, 구토, 소화장애
6/28
BMI-15.9, 소화기능이 개선되면서 오심과 구토증상이 줄어듦
날짜
체중
6/26
42kg
6/27
42.3kg
6/28
43kg
2) 체중을 측정하였다.
3) 균형 잡힌 식사와 함께 입원동안 금주를 하도록 지도하였다.
알코올에 대한 심각성과 영양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었다.
4) 소량의 식사를 자주 제공하였다
병원에서는 어려운 부분이 있으므로 퇴원 후 집에서 챙길 수 있도록 보호자 교육 실시날짜
식단표
6/26
8AM: 죽1/3그릇, 시금치1/2접시, 멸치볶음1/3접시
1PM: 밥1/3공기, 미역국1/3그릇, 알타리무2개, 콩자반1/2접시
6PM:밥 1/3공기, 된장국1/3그릇, 갈치조림1/3접시, 김치1/3접시
6/27
8AM : 밥1/3공기, 김치1/3접시, 계란국1/3그릇, 고등어구이 반개, 시금치1/3접시
1PM : 밥1/3공기, 연근조림1/3접시, 더덕무침2개, 미나리무침1/2접시, 북어국1/2그릇
6PM: 밥1/3공기, 숙주나물1/2접시, 콩나물국 1/2그릇, 두부조림1/2접시,
,김치3/1접시
6/28
8AM: 죽1/3공기, 버섯볶음1/3접시, 무생채1/3접시, 고등어조림1/3접시
1PM : 밥1/3공기, 계란말이3개, 김치1/2접시, 감자볶음1/2접시, 시금치된장국1/2그릇
6PM: 밥1/3공기, 훈제오리볶음1/3그릇, 오이소박이1/3접시, 가지무침1/3그릇
5) 즐겁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식사하도록 하였다.
편안한 분위기의 조명을 틀고, 커튼을 치도록 설명하였다.
6) 식사 전 오심을 조절하였다.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고 구강 간호를 통해 식욕을 증가시켰다.
7) 구강 간호를 격려하였다.
영양 불균형 회복을 위해 구강간호의 중요성과 식욕과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8) 영양의 중요성을 교육하였다.
균형적인 영양은 간경변증 회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을 시청각 자료 등과 함께 설명하였다.
(6) 간호평가
1) 대상자는 12시간 이내에 영양의 중요성을 설명할 것이다. -목표 달성
6/26
간호수행
“한 번에 많이 먹기는 힘드니까, 소량의 양으로 밥을 나누어서 잘 먹을 수 있도록 노력해볼게요.”
“균형적으로 영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니까 골고루 다 먹어보도록 할게요.”
2) 대상자는 균형적인 영양 섭취와 목표체중(47.5kg)을 달성하고 유지하도록 관리하고 유지할 것이다. - 부분 목표 달성
날짜
체중
6/26
42kg
6/27
42.3kg
6/28
43kg
9. 느낀점
아직 간경화증에 관해서 이론적으로 자세히 배우지 못해서 간경화증이란, 어떤 질병이고 어떤 합병증을 가지는지, 또 어떤 검사 수치가 변화하는 지에 대해 전무했던 나는 이번 보고서작성을 통해 간견화에 대해 알아가며 새로운 지식을 많이 익힐 수 있었고, 그리고 간경변증대상자를 가상으로 정하여 공부하면서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과정을 수립하고 비판적 사고를 해보는 거 같아 좋은 경험이 되어주었던 거 같다.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는 말과 같이 첫 단추인 간호사정부터 탄탄히 세워나가야 그 다음 단계들을 그에 맞게 세워나갈 수 있음을 몸소 알게 되었다. 많은 것을 배움과 동시에 나 자신 스스로가 아직 부족한 것들이 많음을 느끼게 되었으며, 이번 과제를 계기로 앞으로 있을 임상 실습에 대비하여 더 열심히 배우고 준비 해야겠다는 다짐을 새기게 되었다.
  • 가격3,9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2.07.04
  • 저작시기202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2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