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에 대해 비난하며 문 후보 측이 여론조사 결과가 자신에게 불리하게 나온 것을 물고 늘어진다는 식의 기사를 보도하였다. 허균, “논란의 내일신문 여론조사, 최다 인용은 <조선>” 오마이뉴스, 2017. 04. 14 (접속일: 2017. 04. 15)
<표> 내일신문-디오피니언 여론조사와 관련하여 문재인 후보에 대한 대표적 비난 기사
신문
기사
조선일보
문재인, 안이 앞선다는 여론조사 나오자...비상식적이라며 선관위에 조사 의뢰
문 측 “안 띄우려는 질소 포장 같다” 안측 “문대세론 깨지자 현실 부정하며 언론 탓”
문·안 역전 이어지자...민주당 “양자대결 여론조사 옳지 않다”
동아일보
문 캠프 “무선전화 조사는 아예 빠져 문제” 조사업체 “무선전화로 패널 정한 뒤 설문”
중앙일보
민주, 유리할 땐 느긋 불리하니 발끈 하는가
*자료: 허균, “논란의 내일신문 여론조사, 최다 인용은 <조선>” 오마이뉴스, 2017. 04. 14
선거와 관련하여 후보자들에 대한 지지도 여론조사나 이들에 대한 언론 보도가 유권자들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존재하지만 확실한 것은 여론 형성에 언론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대부분의 미디어는 사기업이라는 것이다. 즉 언론사는 이윤을 추구하는 집단으로서 이익 창출을 위한 경영의 안정과 성장을 주요 목표로 하기 때문에 그 기업의 가치와 성향에 따라 정보의 질과 양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천승오, “여론조사와 미디어의 관계”, 업코리아, 2017. 03. 31 (접속일: 2017. 04. 05)
언론사들은 자신들의 가치와 성향에 따라 오랫동안 보수와 진보로 나누어져 있었고 잘못된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거나 왜곡된 결과와 입맛에 맞는 해석을 퍼트리기도 하였다. 특히 이 페이퍼는 지난 대선들과 이번 19대 대선과 관련하여 단어나 어휘의 선택의 차이, 문맥의 뉘앙스와 같이 작은 차이에서부터 특정 이슈를 부각하여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비판하는 보도방식과 편파적인 여론조사의 해석 등에 초점을 맞추는 등 언론사들의 잘못된 여론 형성 실태를 알아보았다. 물론 이번 19대 대선 관련 조사는 1차 TV토론이 있기 전의 기사나 보도를 중심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후에 벌어진 안철수 후보의 부진과 홍준표 후보의 약진 그리고 선거기간 동안 대두되었던 다양한 사건과 이슈들이 여론조사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모두 다루지 못하였고 이전의 대선들과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들이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 직접 모든 기사들을 하나하나 아주 세밀하게 조사하지 못한 점이 이 리포트의 한계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각각 보수와 진보 색채 띤 언론사들이 과거에도 그래왔듯이 변수가 많았던 이번 대선에서도 자신들의 성향을 대변하는 여론조사 결과와 보도를 내놓았다는 점은 확실히 확인 할 수 있었던 부분이었다. 객관성이 결여된 여론 조사와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정보를 전달하는 언론사의 행태는 결국 국가와 국민 전체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고스란히 잘못된 선택이라는 대가로 돌아오기 마련이다. 유권자들도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를 맹목적으로 수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볼 줄 아는 능력을 길러야 하며 객관적인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끊임없이 감시하고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국내문헌
강흥수 (2009) 여론조사 과학인가 예술인가. 리북. 2009 P.129
김민경 (2014) 정치여론조사보도에 대한 연구-언론사별 대선 후보 지지도 조사와 조사회사별 대통령 지지율 조사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pp.5~69
김준철 (2015) 신문의 여론조사 결과 보도 형태와 유권자의 후보 선택에 관한 연구-제 17대 대통령 선거 보도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정연구회. 『의정논총』 제 10권 제 1호. pp.94-106
박관영 (2008) 국내언론사의 17대 대선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반영된 프레임 연구-17대 대통령 선거 자체여론조사 보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P.1
최진호, 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 권력개입: 1987 이후 13~17대 대선 캠페인 기간의 주요 일간지 사설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제 12권 제 2호. pp.534-559
기사
천승오. 여론 조사와 미디어의 관계- 어디까지가 사실인가?. UpKorea. 2017. 03. 31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32 (2017. 04. 06)
유영수. 객관성 잃은 일부 여론조사 결과, 후보 간 신경전 ‘치열’. 뉴시스. 2016. 12. 28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403_0013998150&cID=10808&pID=10800 (2017. 04. 06)
이재진. 여론조사 비밀, 언론과 여론조사업체는 ‘스폰관계’. 미디어오늘. 2017. 04. 11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6152 (2017. 04. 09)
민주언론시민연합. 조중동 사설, 두달동안 ‘문재인 싫다’만 외쳤다. 오마이뉴스. 2017. 03. 24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10172 (2017. 04. 11)
민주언론시민연합. 대선주자 여론조사, <동아><조선>해석이 왜 이럴까?. 오마이뉴스. 2017. 03. 28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11524 (2017. 04. 06)
허균. 논란의 내일신문 여론조사, 최다 인용은 <조선>. 오마이뉴스. 2017. 04. 14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16515 (2017. 04. 15)
사이트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한겨레 신문 http://www.hani.co.kr/
<표> 내일신문-디오피니언 여론조사와 관련하여 문재인 후보에 대한 대표적 비난 기사
신문
기사
조선일보
문재인, 안이 앞선다는 여론조사 나오자...비상식적이라며 선관위에 조사 의뢰
문 측 “안 띄우려는 질소 포장 같다” 안측 “문대세론 깨지자 현실 부정하며 언론 탓”
문·안 역전 이어지자...민주당 “양자대결 여론조사 옳지 않다”
동아일보
문 캠프 “무선전화 조사는 아예 빠져 문제” 조사업체 “무선전화로 패널 정한 뒤 설문”
중앙일보
민주, 유리할 땐 느긋 불리하니 발끈 하는가
*자료: 허균, “논란의 내일신문 여론조사, 최다 인용은 <조선>” 오마이뉴스, 2017. 04. 14
선거와 관련하여 후보자들에 대한 지지도 여론조사나 이들에 대한 언론 보도가 유권자들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존재하지만 확실한 것은 여론 형성에 언론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대부분의 미디어는 사기업이라는 것이다. 즉 언론사는 이윤을 추구하는 집단으로서 이익 창출을 위한 경영의 안정과 성장을 주요 목표로 하기 때문에 그 기업의 가치와 성향에 따라 정보의 질과 양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천승오, “여론조사와 미디어의 관계”, 업코리아, 2017. 03. 31 (접속일: 2017. 04. 05)
언론사들은 자신들의 가치와 성향에 따라 오랫동안 보수와 진보로 나누어져 있었고 잘못된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거나 왜곡된 결과와 입맛에 맞는 해석을 퍼트리기도 하였다. 특히 이 페이퍼는 지난 대선들과 이번 19대 대선과 관련하여 단어나 어휘의 선택의 차이, 문맥의 뉘앙스와 같이 작은 차이에서부터 특정 이슈를 부각하여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비판하는 보도방식과 편파적인 여론조사의 해석 등에 초점을 맞추는 등 언론사들의 잘못된 여론 형성 실태를 알아보았다. 물론 이번 19대 대선 관련 조사는 1차 TV토론이 있기 전의 기사나 보도를 중심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후에 벌어진 안철수 후보의 부진과 홍준표 후보의 약진 그리고 선거기간 동안 대두되었던 다양한 사건과 이슈들이 여론조사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모두 다루지 못하였고 이전의 대선들과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들이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 직접 모든 기사들을 하나하나 아주 세밀하게 조사하지 못한 점이 이 리포트의 한계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각각 보수와 진보 색채 띤 언론사들이 과거에도 그래왔듯이 변수가 많았던 이번 대선에서도 자신들의 성향을 대변하는 여론조사 결과와 보도를 내놓았다는 점은 확실히 확인 할 수 있었던 부분이었다. 객관성이 결여된 여론 조사와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정보를 전달하는 언론사의 행태는 결국 국가와 국민 전체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고스란히 잘못된 선택이라는 대가로 돌아오기 마련이다. 유권자들도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를 맹목적으로 수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볼 줄 아는 능력을 길러야 하며 객관적인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끊임없이 감시하고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국내문헌
강흥수 (2009) 여론조사 과학인가 예술인가. 리북. 2009 P.129
김민경 (2014) 정치여론조사보도에 대한 연구-언론사별 대선 후보 지지도 조사와 조사회사별 대통령 지지율 조사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pp.5~69
김준철 (2015) 신문의 여론조사 결과 보도 형태와 유권자의 후보 선택에 관한 연구-제 17대 대통령 선거 보도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정연구회. 『의정논총』 제 10권 제 1호. pp.94-106
박관영 (2008) 국내언론사의 17대 대선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반영된 프레임 연구-17대 대통령 선거 자체여론조사 보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P.1
최진호, 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 권력개입: 1987 이후 13~17대 대선 캠페인 기간의 주요 일간지 사설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제 12권 제 2호. pp.534-559
기사
천승오. 여론 조사와 미디어의 관계- 어디까지가 사실인가?. UpKorea. 2017. 03. 31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132 (2017. 04. 06)
유영수. 객관성 잃은 일부 여론조사 결과, 후보 간 신경전 ‘치열’. 뉴시스. 2016. 12. 28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403_0013998150&cID=10808&pID=10800 (2017. 04. 06)
이재진. 여론조사 비밀, 언론과 여론조사업체는 ‘스폰관계’. 미디어오늘. 2017. 04. 11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6152 (2017. 04. 09)
민주언론시민연합. 조중동 사설, 두달동안 ‘문재인 싫다’만 외쳤다. 오마이뉴스. 2017. 03. 24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10172 (2017. 04. 11)
민주언론시민연합. 대선주자 여론조사, <동아><조선>해석이 왜 이럴까?. 오마이뉴스. 2017. 03. 28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11524 (2017. 04. 06)
허균. 논란의 내일신문 여론조사, 최다 인용은 <조선>. 오마이뉴스. 2017. 04. 14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16515 (2017. 04. 15)
사이트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한겨레 신문 http://www.hani.co.kr/
추천자료
이미지 정치 (석사논문)
[인터넷언론 선거보도][인터넷언론][선거보도]인터넷언론 선거보도의 특징, 인터넷언론 선거...
[티비토론][텔레비전토론][TV후보토론]TV토론(TV후보토론)과 정치, TV토론(TV후보토론)과 시...
[뉴스보도][뉴스보도 윤리][뉴스보도 연성화][자사이기주의][뉴스보도 사례]뉴스보도의 유형,...
[선거여론조사보도][언론보도][선거여론조사][여론조사][선거보도][여론조사보도]선거여론조...
[선거보도][선거보도 원칙][선거보도 공정성][선거보도 과제]선거보도의 배경, 선거보도의 기...
[인터넷선거보도][인터넷선거보도 원칙][후보검증]인터넷선거보도의 특성, 인터넷선거보도의 ...
[의식][도교의식][고향의식][근대의식][냉전의식][경제의식][노동자의식][유권자의식]의식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