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유튜브의 장점
2) 유튜브의 단점
3. 결론
- 참고 문헌 -
2. 본론
1) 유튜브의 장점
2) 유튜브의 단점
3.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가 벌어질 수 있다는 점도 하나의 단점에 꼽힐 수 있다. 공통적으로 나온 유튜브라는 미디어가 국내 기업도 아닌 해외 기업이라는 점에서도 언제든지 그 자료가 사라질 수 있다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중요한 내용이기도 하다. 하나의 의존하기에는 유튜브라는 것이 위험성이 크다는 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해킹에 대한 내용들도 적지 않게 등장하기에, 그에 대한 내용 소실 또한 벌어질 수 있다.
마지막 오락기능에 있어서 단점이 되는 부분은 다양한 컨텐츠가 나오는 것은 좋지만 언제나 컨텐츠들이 긍정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조금은 괴팍하면서도 특이하며, 퇴폐적이거나 폭력적인 내용들도 자유롭게 올라갈 수 있는 것이 유튜브이다. 물론 국내의 경우에는 성인인증을 통하여 이와 같은 자료가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돌파하는 방법 또한 적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이 보면 안 되는 장면이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여러 광고에서도 성인과 관련된 물품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들이 난입하여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도 있다. 결국 오락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모두가 다 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이자 유튜브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3. 결론
끝으로 유튜브는 오늘날 사람들의 문화속에 깊숙이 들어온 미디어 중 하나이다. 모든 미디어들은 각자 순기능과 역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있으며, 그 미디어의 특수성에 따라 순기능과 역기능의 모습도 달라진다. 처음에는 구전을 통해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해진 이야기로 시작하여 그림과 문자가 나오게 되었고, 이후에는 라디오가 나왔으며 오늘날 유튜브로 발전할 때까지 많은 과정들이 있었다. 이런 과정 속에서 나중에는 유튜브를 대처할 수 있는 더욱 좋은 미디어가 등장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과정들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본다. 결국 언젠가는 대체될 정도로 훌륭한 미디어가 등장할 것이라는 생각과 함께 오늘날 대처해야 할 점은 유튜브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
참고 문헌 -
대니얼 킴 “유튜브 수익? 몽땅 미국 취재에 재투자하죠” [엠스플 유튜브 스타]/mbc sports plus/배지헌 기자.
밀레니얼 취향 저격 K-ASMR…“문화유산은 ‘노잼’ 편견 깼다” / 경향신문 / 이유진 기자
캐나다 연구팀 \"유튜브에서 많이 본 코로나19 영상 넷 중 하나는 \'가짜뉴스\'\" / 동아사이언스 / 조승한 기자
마지막 오락기능에 있어서 단점이 되는 부분은 다양한 컨텐츠가 나오는 것은 좋지만 언제나 컨텐츠들이 긍정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조금은 괴팍하면서도 특이하며, 퇴폐적이거나 폭력적인 내용들도 자유롭게 올라갈 수 있는 것이 유튜브이다. 물론 국내의 경우에는 성인인증을 통하여 이와 같은 자료가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돌파하는 방법 또한 적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이 보면 안 되는 장면이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여러 광고에서도 성인과 관련된 물품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들이 난입하여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도 있다. 결국 오락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모두가 다 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이자 유튜브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3. 결론
끝으로 유튜브는 오늘날 사람들의 문화속에 깊숙이 들어온 미디어 중 하나이다. 모든 미디어들은 각자 순기능과 역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있으며, 그 미디어의 특수성에 따라 순기능과 역기능의 모습도 달라진다. 처음에는 구전을 통해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해진 이야기로 시작하여 그림과 문자가 나오게 되었고, 이후에는 라디오가 나왔으며 오늘날 유튜브로 발전할 때까지 많은 과정들이 있었다. 이런 과정 속에서 나중에는 유튜브를 대처할 수 있는 더욱 좋은 미디어가 등장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과정들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본다. 결국 언젠가는 대체될 정도로 훌륭한 미디어가 등장할 것이라는 생각과 함께 오늘날 대처해야 할 점은 유튜브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
참고 문헌 -
대니얼 킴 “유튜브 수익? 몽땅 미국 취재에 재투자하죠” [엠스플 유튜브 스타]/mbc sports plus/배지헌 기자.
밀레니얼 취향 저격 K-ASMR…“문화유산은 ‘노잼’ 편견 깼다” / 경향신문 / 이유진 기자
캐나다 연구팀 \"유튜브에서 많이 본 코로나19 영상 넷 중 하나는 \'가짜뉴스\'\" / 동아사이언스 / 조승한 기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