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자인 ) 맥락디자인(Contextual design), 소통디자인(Communicative design), 참여디자인(Participative design), 통합디자인(Integrated design), 지속가능디자인(Sustainable design),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서비스디자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디자인 ) 맥락디자인(Contextual design), 소통디자인(Communicative design), 참여디자인(Participative design), 통합디자인(Integrated design), 지속가능디자인(Sustainable design),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서비스디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2. 유니버설디자인의 사례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녀가는 사람들을 위하 셔틀버스 등이 있다.
사생활을 지키는 유니버설디자인
다음은 \"대림 산업의 오렌지 로비\"라고 할 수 있다. 독특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 1층 거주세대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때문에 1층 바닥을 1m 정도 올려서 설계하였다. 대림 산업은 로비로 진입하기 위한 계단, 램프를 통하는 과정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1층 바닥을 옥외와 일치시키고 양방향 엘레베이터로서 로비 진입 시 엘레베이터를 바로 탑승하고 반대편으로 내리는 것으로 설계하였다. 그 결과 1층 거주민들도 독립된 로비 공간을 이용하고 다른 거주민들도 계단이나 램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⑦ 일상생활의 Tip!
건축물의 디자인으로만 유니버설디자인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건축물을 통한 것은 편리함과 모든 사람이 다니고 있는 것으로 점점 변화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제품은 어떠한가? 위에 보이는 첫 번째 가위는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노인, 아이 등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그래서 더욱 편리하고 배려하는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두 번째를 보자. 두 번째는 프린트와 스캔, 그리고 그 스캔한 것을 점자로 만들어주는 프린트 기능을 가진 물건이다. 나는 예전 이러한 물건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는데 대단하게도 쉽게 구할 수는 없지만 나오는 모양이었다. 3D 프린터만 해도 미래의 물건이었는데 지금은 거의 보편화가 되어있을 수준이니 이 정도면 대단한 것이 아닐까. 이 점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것이며 프린트나 스캔 기능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것이라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다.
세 번째는 보면 알 수 있듯이 시계이다. 이것도 시각장애인을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고, 휴대전화를 이용하면서도 시간이나 이러한 것들을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니라 시계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가지고 있다.
Ⅲ 결론
유니버설디자인, 처음에는 단순히 노약자와 장애인을 배려하는 것만으로 이해하고 있던 것이었다. 그래서 특별한 어느 장소에서 이용하는 것으로 생각을 했었는데 우리의 주변에서도 정말 확실하게 확인이 가능할 정도로 일상생활에 녹아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심지어 예전에는 없었던 녹색 신호등의 점차 줄어드는 역삼각형. 그저 신호가 거의 사라져가는 시간을 보여주는 줄로만 알았는데 보기 힘든 사람들에게 쉽게 볼 수 있는 표시로 알려진 것이라니. 의미를 바로 알아보기는 힘들었지만 이러한 것들은 우리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나씩 생겨나는 것 같다.
그리고 나라별로 나라의 특성에 따라서 발전해나가고 있다. 일본의 경우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나라로 유명하고, 그러한 사회에 따라서 많은 것들을 변화시켜간다. 노인을 위하여, 아이를 위하여, 그리고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한 사람의 특별한 대우가 아닌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차별도 없애고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위에서 본 욕실이나 제품 등에서 부족한 것이 있겠지만, 점점 발전해나가는 사회에서 점점 보편화가 되어갈 것이다. 그리고 이런 것들이 도시에서만 보편화하는 것보다, 접하기 어려운 농촌 등에서도 널리 퍼져나가기를 바란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어린이병원 환자복 개발- 서울시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을 중심으로 -, 김인경/정소하
* 제주의 소리, 일본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만나다, 고현수
* 대나나다_고곰화의대단한블로그, 유니버설 디자인 사례(해외) 참고
* 대학신문 , 유니버설디자인 - 보통의 틀을 깨다, 윤미강 기자
* 의정부 디자인메이지 미술학원 - 유니버설디자인 사례참고 블로그
* 카카오페이지, 유니버설디자인? \"거참 센스있네~\"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7.26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2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